착한 의사에서 속물 의사로, <용팔이>가 그리는 세상
역시 주원은 의사가운이 잘 어울린다. <굿닥터>에서 자폐를 가진 서번트 증후군의 시온 역할에서 주원은 마음까지 보듬어주는 착한 의사의 모습을 보여줬다. 그 착한 의사라는 존재는 그래서 거꾸로 병원 조직에까지 스며든 권력 시스템을 에둘러 비판하는 인물로 부각되기도 했다. 하지만 새로 의사가운을 입은 <용팔이>에서 주원이 연기하는 김태현은 이런 착한 의사와는 거리가 멀다. 그는 돈을 준다면 어디든 달려가는 속물의사다.
'용팔이(사진출처:SBS)'
‘용한 돌팔이’. 이것이 조폭들 사이에서 김태현이 용팔이로 불리는 이유다. 칼부림과 폭력이 일상화되어 있는 조폭 세계. 하지만 병원은 갈 수 없는 그들을 위해 용팔이는 어디든 왕진을 간다. 조폭들도 고귀한 생명이니 하는 의사 윤리의식 따위는 거기에 없다. 용팔이가 그 위험한 왕진을 감행하는 이유는 하나, 바로 돈이다.
일반외과 레지던트 3년차지만 대단한 수술 실력을 가진 덕분에 병원 과장들의 구원투수로 불려 다닌다. 그들이 잘못 해놓은 수술 때문에 죽게 생긴 환자들을 수두룩 살려내지만 그렇다고 일반적인 의학드라마에서 보던 그런 존경어린 시선이나 선배 의사들의 칭찬 따위는 없다. 그는 오로지 과장들의 승률을 높여주는 구원투수로서만 취급된다. 김태현 역시 그런 걸 받기를 바라지 않는다. 대신 그는 VIP 환자 가족으로부터 사례를 받는 걸 당연시 한다.
의사라고 하면 생명을 살리는 직업으로서 그려지기 마련인 의학드라마에서 용팔이는 그 모든 행위를 ‘거래관계’로 바꿔놓는다. 돈이 오고가면 어디든 왕진을 가고, 누군가를 살려내면 거기에 합당한 돈을 받는다. 그걸 갖고 의사의 윤리 운운하는 과장에게 그는 당당하다. 과장 역시 VIP병동에서는 사례비를 받기 때문이다.
그토록 반복되어온 의학드라마라고 해도 <용팔이>가 그리는 의사는 다르게 다가온다. <용팔이>는 의사를 성인으로도, 존경받는 인물로도, 그렇다고 오로지 병원 내 권력을 쟁취하기 위한 야심가로도 그러지 않는다. 용팔이는 이 모든 것을 포기하고 있다. 대신 그 자리를 채우는 건 그래서 거래다. 제대로 된 물적 대가를 받는 것으로 꿈이나 이상 혹은 포부를 접으며 살아가는 인물이 바로 용팔이다.
물론 의사라는 특정한 직업인으로서 그려지고 있지만 용팔이의 이러한 삶의 태도는 여러모로 현재의 청춘들을 그대로 닮아있다. 이미 태생부터 결정되는 삶의 양태는 결코 노력한다고 해서 넘어설 수 없는 벽이 된 지 오래다. 제 아무리 용쓰고 노력해도 가난하게 태어난 이들이 가난을 벗어날 수 없게 된 것이 우리네 사회의 불행한 구조이지 않은가. 그러니 포기하고 현실적이고 때로는 속물적이라고 부르는 삶을 사는 것이 뭐가 잘못됐단 말인가.
물론 용팔이의 그런 속물적인 삶의 선택 이면에는 평생 투석을 받으며 살아가야 할 자신의 여동생이 있다. 그 만만찮은 병원비를 감당하기 위해서라도 그는 돈을 벌어야 한다. 아니 그는 절체절명의 상황에서조차 죽을 수도 없는 인물이다. 자신의 죽음은 여동생의 죽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제 아무리 속물화된 세상 속에서도 그 순수함을 지켜내던 <굿닥터>가 이제는 대놓고 속물을 선언하고 나선 <용팔이>로 돌아왔다는 건 의미심장한 일이다. 속물의사 용팔이가 부정적인 인물이 아니라 꽤 공감 가는 인물로서 받아들여지는 건 그 짧은 몇 년 사이 우리네 현실이 얼마나 더 절망적인 청춘들을 낳고 있는가를 말해주는 대목이다. <용팔이>는 그래서 의사가운처럼 잘 차려입은 옷으로 그럴 듯하게 꾸며지고 있지만 사실은 위선 가득한 세상에 일침을 날리는 존재로 다가온다.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영남 작가 편성불발에 담긴 진짜 의미 (0) | 2015.08.08 |
---|---|
'용팔이', 이 심상찮은 상승세에 담겨진 의미 (2) | 2015.08.08 |
'미세스캅', 김희애가 보여주는 극한 워킹맘의 초상 (2) | 2015.08.05 |
김희애부터 김태희까지, 신인들이 설 자리는 없다 (1) | 2015.08.04 |
'징비록' 종영, 9할은 김태우가 만들었다 (1) | 2015.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