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문영남 작가 편성불발에 담긴 진짜 의미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문영남 작가 편성불발에 담긴 진짜 의미

D.H.Jung 2015. 8. 8. 16:29
728x90

막장드라마보다 더 큰 문제는 식상한 패턴이다

 

문영남 작가의 신작 <눈물로 피는 꽃>SBS에 이어 KBS에서도 편성이 불발됐다는 소식에 의외로 대중들의 반응은 뜨거웠다. 그것이 마치 막장드라마의 패배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처럼 읽혔기 때문이다.

 


KBS연기대상(사진출처:KBS)

그도 그럴 것이 문영남 작가라고 하면 몇 년 전만해도 방송사들이 잡기 위해 줄을 서는 작가였다. <수상한 삼형제>, <조강지처 클럽>, <왕가네 식구들> 같은 그녀가 쓴 일련의 드라마들은 40%에 육박하는 시청률을 냈다. 드라마가 나올 때마다 막장 논란이 터졌지만 이 막강한 시청률은 모든 걸 덮어버릴 정도의 힘을 발휘했다.

 

바로 그런 문영남 작가이기 때문에 방송사들이 줄줄이 편성을 시키지 않았다는 것에 특별한 의미부여가 되는 것일 게다. 지난 4MBC가 임성한 작가와 더 이상 작품을 하지 않겠다고 공식 선언한 것에 이어 문영남 작가에 대한 SBS, KBS의 편성 불발은 그래서 마치 막장드라마의 종언을 의미하는 것처럼 확대 해석되기도 했다.

 

하지만 사실 엄밀히 얘기하면 막장드라마의 종언은 섣부른 이야기다. 드라마의 경쟁이 치열해지면 치열해질수록 강한 자극은 언제고 다시 나타날 수 있는 일이다. 중요한 건 막장드라마의 문제가 아니라 식상할 정도로 패턴화된 드라마들의 문제다. 사실 문영남 작가의 드라마를 막자이라고 부르는 건 그 완성도의 엉성함 때문이나 비윤리적인 설정들 때문이 아니다. 고부갈등이나 무능한 남편, 외도 같은 늘 봐왔던 패턴들이 무한 반복되고 있다는 것이 식상을 넘어 짜증을 일으켰기 때문이다.

 

문영남 작가의 신작, <눈물로 피는 꽃>이 어떤 드라마인지는 아직 아무도 모른다. 따라서 그 드라마를 막장드라마라고 말하는 건 성급하다. 다만 그 이야기가 여성으로서 삶과 어머니 역할 사이에서 갈등을 겪는 한 여자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는데서 그 내용을 유추해볼 수 있을 뿐이다. 방송사 관계자는 이 드라마의 편성불발이 막장 요소 때문이 아니라 드라마의 타깃층이 너무 나이가 많아 주중 드라마로 편성하기에 부적합하다고 얘기했다고 한다.

 

물론 여전히 문영남 작가의 패턴화된 드라마를 즐기는 시청자들도 있다. 그것은 대부분 5,60대 이상의 옛 드라마에 익숙한 시청층들이다. 하지만 최근 젊은 세대에 소구하지 못하는 드라마는 제 아무리 높은 시청률이 나와도 광고가 안 팔리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드라마가 젊어져야 한다는 당위성은 KBS 같은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시청층을 가진 방송사도 예외가 아니다.

 

최근 KBS에서 방영되고 있는 <너를 기억해><어셈블리>를 보면 KBS 역시 얼마나 젊은 시청층을 확보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는가를 느낄 수 있다. 두 드라마 모두 기존의 KBS가 해왔던 드라마들과는 사뭇 다른 장르와 전문직을 내세우고 있고 그 드라마의 몰입도 또한 과거와는 사뭇 다른 양상을 보여준다. <너를 기억해>가 잠깐 한 눈 팔면 이야기의 맥락을 놓치기 일쑤인 추리물을 보여주고 있고, <어셈블리> 역시 멜로 없는 정치판 이야기를 리얼하게 그리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KBS 드라마들과는 사뭇 다른 도전의식이 느껴진다.

 

이런 상황에서 막장드라마보다 더 설 자리가 없는 건 어디선가 늘 봐왔던 패턴들만 가득한 그런 드라마들이다. 적당한 가족이 등장하고 그 안에 지지고 볶는 이야기들. 거기에 자극제로서의 불륜이나 폭력에 가까운 고부갈등이 나오고 암 유발자 캐릭터가 극의 중심을 이끌어가는 그런 드라마. 이제 이런 드라마들의 식상함에 젊은 시청자들은 진저리를 치고 있다. 제 아무리 중견작가라도 그래서 시청률 정도는 언제든 낚을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고 하더라도, 새로움이 없다면 퇴출될 수밖에 없는 상황. 이것이 지금의 드라마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