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용팔이', 이 심상찮은 상승세에 담겨진 의미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용팔이', 이 심상찮은 상승세에 담겨진 의미

D.H.Jung 2015. 8. 8. 16:27
728x90

<용팔이>, 갑을 시스템 뇌관 제대로 건드렸다

 

SBS 수목드라마 <용팔이>의 상승세가 심상찮다. 첫 회 시청률 11.6%(닐슨 코리아) 자체가 이례적이다. 그런데 2회 만에 14.1%를 기록했다. 다친 조폭들을 치료해주는 왕진 의사라는 독특한 설정이 의학드라마와 액션 장르를 잘 버무려낼 수 있게 해준 게 주효했다. 첫 회는 영화라고 해도 좋을 만큼 강렬한 자동차 액션 신이 시청자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용팔이(사진출처:SBS)'

하지만 역시 드라마의 힘은 액션 신 같은 볼거리가 아니라 캐릭터와 이야기에서 나오기 마련이다. <용팔이>의 속물의사 김태현(주원)이라는 캐릭터는 제대로 시청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그가 그렇게 속물의사가 된 까닭은 결국 이다. 수술의사가 VIP병동으로 가버려 눈앞에서 어머니의 임종을 맞이하게 된 김태현에게 사람을 살리고 죽이는 건 의사의 소신이나 의지 같은 휴머니즘따위가 아니다. 그것은 힘이고 돈이다.

 

즉 돈이 있으면 살고 돈이 없으면 죽는 것이 김태현이 목도한 병원의 실상이다. 어머니를 그렇게 보낸 김태현에게는 또한 투석을 지속적으로 하지 않으면 생명이 위험한 여동생이 있다. 어머니에 대한 트라우마는 여동생에게도 이어진다. 그가 돈을 벌기 위해, 또 어떻게든 살아남기 위해 차가운 한강 물로 뛰어들고, 자신을 개처럼 굴리는 병원의 권력자들 앞에 서슴없이 무릎을 꿇는 이유다.

 

물론 <용팔이>는 극화된 이야기다. 하지만 그 이야기가 완전히 허무맹랑한 건 아니다. 실제로 지금의 대형병원은 인술을 펼치는 그런 곳이 더 이상 아니다. 그것은 엄연한 사업체이고 그렇기 때문에 수익을 내려한다. 병과 죽음 앞에 다 똑같은 인간일 뿐이지만, 병원이라는 자본의 기계는 무정하게 차등을 매겨 삶과 죽음을 갈라놓는다. 무연고에 가난한 노동자가 수술을 받지 못해 죽어가는 반면, 부자는 죽음의 문턱에서도 살아 돌아온다. 힘없는 환자는 죽고, 힘 있는 고객은 살아남는 곳. 그것이 지금의 병원 현실이다.

 

그리고 이 <용팔이>가 그리고 있는 한신병원은 우리 사회의 축소판이기도 하다. 돈과 권력이 있으면 대접받지만 그렇지 못하면 철저히 을로서 무릎 꿇려지는 사회. <용팔이>는 그래서 병원이라는 공간을 통해 말해지는 갑을 시스템 사회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갑은 살고 을은 죽는 그 병원 시스템의 이야기가 아프게도 시청자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건 그래서다.

 

병원에서 사람이 죽고 사는 건 병의 중하고 약함의 문제가 아니라 돈으로 굴러가는 자본주의 시스템의 문제라는 <용팔이>의 메시지는 우리 사회의 아픈 구석을 찌른다. 세월호 참사가 어디 사고 그 자체 때문에 벌어진 일인가. 콘트롤 타워 부재와 리더십의 실종, 심지어 위험해도 돈만 벌면 다라는 윤리의식의 부재가 만들어낸 참사가 아니던가. 메르스 공포가 확산됐던 것 역시 마찬가지다. 이제 병으로 죽는 일보다 오히려 많아진 게 잘못된 자본주의 시스템에 의해 죽는 일이 된 현실이다.

 

<용팔이>는 이 아픈 현실의 이야기를 공자님 말씀으로 전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렇게 속물이 될 수밖에 없었던 한 젊은 의사의 처절함을 통해 보여준다. 그들은 용한 돌팔이라는 뜻의 용팔이가 의미하는 것처럼 기술은 용하지만 생명 윤리적으로는 돌팔이. 그리고 이 시스템이 만들어낸 용한 돌팔이들은 병원에만 존재하는 게 아니다. 기업윤리 따위는 내팽개치고 사적 욕심을 위해 타자의 터전을 짓밟는 기업에도 있고, 국민을 호명하며 사실은 제 잇속 챙기기에 바쁜 일부 정치인들 속에도 있다.

 

<용팔이>에 대해 이토록 뜨거운 반응이 생겨난 것은 그 드라마가 잘 만들어진 것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것이 건드리고 있는 부조리한 우리 사회의 시스템이 그만큼 뜨겁다는 반증이다. 그 중심에 서 있는 문제는 결국 돈이다. 유전무죄 무전유죄의 현실이 이제는 생명을 위협하고 있는 현장을 병원이라는 공간을 통해 확인하게 된 것. 돈으로 구획되는 갑을 시스템의 뇌관을 <용팔이>는 제대로 건드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