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스', 회사가 공포물보다 더 무섭다는 건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5. 9. 6. 10:26728x90
<오피스>가 겨눈 회사의 경쟁 시스템에 대한 칼날
회사의 경쟁 시스템은 도대체 누구를 위한 것인가. 승진과 과락, 인턴과 정식사원. 밥줄을 쥐고 있는 회사는 트레이닝과 선발 과정이라는 명분으로 몇 개월씩 싸게 부려먹고는 입맛에 맞지 않고 내치기도 한다. 또 성실하게 일해 온 사원을 실적이 조금 안 나온다고 무능하다며 하루아침에 해고통보를 하기도 한다. 그렇게 밀려난 인물들이 심지어 죽음 같은 극단적인 선택을 한다고 해도 회사는 눈 하나 까닥 하지 않는다. <오피스>가 웬만한 공포물보다 더 무섭게 다가오는 건 그래서일 게다.
사진출처:영화<오피스>
영화 <오피스>는 회사를 배경으로 벌어지는 살인사건을 다룬다. 워낙 진중한 사회적 의미를 갖는 질문들이 담겨져 있기 때문에 사회극에 가깝지만 영화는 웬만한 공포물을 뛰어넘는다. <미생> 같은 작품이 회사생활이 가진 비애를 휴먼드라마에 가깝게 그려낸다면 <오피스>는 그 비애의 차원을 넘어선 분노와 그 분노가 만들어내는 공포를 담는다.
인턴으로 들어와 4개월 차에 접어든 이미례(고아성)는 늘 불안하다. 정식사원이 되지 못했기 때문에 동료들과 어우러질 수도 없다. 그런 그녀에게 따뜻하게 대해준 유일한 인물이 김병국(배성우) 과장이다. 그 김병국 과장이 일가족을 살해하고 회사로 숨어들어왔다. 착하디 착한 심성의 그를 왕따 했던 동료와 상사는 공포를 느낄 수밖에 없다.
<오피스>가 포착하는 공포는 그러나 김병국 과장이 뿜어내는 그 살벌한 살인자의 느낌 때문이 아니다. 이 영화는 우리가 그저 일하는 공간으로서 공유하고 있던 회사라는 곳이 얼마나 공포스러운 공간인가를 드러낸다. 한밤 중 모두가 퇴근한 후 아무도 없는 사무실에 혼자 앉아 있을 때 느껴지는 그 서늘함이라니.
회사에서 잠시 스트레스를 벗어나 숨을 돌리는 공간들은 그래서 <오피스>에서는 소름 돋는 공간으로 변모한다. 잠시 숨을 돌리듯 담배를 피우며 회사 뒷담화를 하곤 하는 계단 흡연 장소나, 그래도 혼자만의 공간이 될 수 있는 화장실 같은 공간이 그것이다. 그렇게 마음을 놓는 공간이 순식간에 피로 물들어가는 장면을 바라본다는 건 실로 무시무시한 일이다.
그 공간이 그토록 무섭게 다가오는 이유는 사람들 때문이다. 경쟁적인 현실. 누군가는 승진하고 누군가는 뒤로 밀려나며, 누군가는 정식사원이 되지만 누군가는 인턴의 끄트머리에 쫓겨날 운명에 처하기도 한다. 이 경쟁적인 시스템 안에서 인간적인 관계 따위는 존재하기 어렵다. 혹여나 인간적인 관계를 드러내려 할 때면 그것은 자칫 무능함으로 낙인 찍히는 게 시스템의 법칙이다. 그래서 <오피스>에서는 뒤에서 수근 대는 사람들의 목소리만으로도 충분히 소름 돋는 일이 된다.
그래서 <오피스>는 사회극처럼 그려졌지만 결과물은 공포물이 되었다. 시스템이 끊임없이 만들어내는 스트레스 상황은 <오피스>가 그려내는 우리네 경쟁적인 사회의 단면이지만, 영화는 그 안에 서슬 퍼런 칼 한 자루를 던져 넣음으로써 과연 어떤 일들이 벌어지는가를 들여다본다.
그 결과는 참혹하다. 하지만 그 참혹한 결과가 보여주는 건 아무런 일도 벌어지지 않았다는 듯 멀쩡하게 시스템으로 위장한 채 보여지는 회사의 실체이기도 할 것이다. 과연 거기에는 아무 일도 벌어지지 않고 있는가. <오피스>의 서슬 퍼런 질문은 우리네 일터의 현실에 대한 강렬한 비판의식을 담아낸다.
어쨌든 조금 무거울 수밖에 없는 영화이고 또 공포물의 특징을 갖고 왔기 때문에 대중적이라고 말하기도 쉽지 않다. 하지만 적어도 회사라는 공간에서 누구나 한번쯤 비애감이나 분노를 느꼈던 분들이라면 이 무시무시한 공포물이 한 편으로는 무의식 깊숙이 밀어 넣고 아무렇지도 않은 듯 무표정을 가장하며 숨겨두었던 금기를 터트리는 쾌감 또한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공포물보다 더 무시무시한 회사의 풍경이라니. 이런 이야기에 공감하는 현실은 실로 통탄할 일이 아닌가.
'옛글들 > 영화로 세상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도', 유아인에게서 청춘의 슬픔을 느끼셨다면 (0) 2015.09.19 '앤트맨', 우주 영웅의 시대, 축소 세계의 역발상 (0) 2015.09.09 천만 넘은 '암살'과 '베테랑', 이젠 현실이 응답해야 (0) 2015.09.01 '협녀'의 부진, 결과적으론 이병헌 때문이다 (2) 2015.08.16 '베테랑', 무엇이 서민들을 분노하게 하는가 (3) 2015.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