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디데이', 이걸 어떻게 드라마로만 본단 말인가

728x90

<디데이>의 미래병원, 우리 사회의 자화상

 

병원이 이 모양인데 무슨 희망이 있습니까?” 119 구급대원이 응급환자를 구조해 왔지만 대량수혈이 필요한 환자는 받지 않는다는 게 방침이라는 의사에게 구급대원은 그렇게 말한다. 지진으로 정상적인 운용이 어려운 병원이라지만 환자를 길거리에서 죽어가게 만든다는 건 의사로서 아니 인간으로서는 비상식적인 일이다. 그래서 의사가 내세우는 건 이른바 병원의 방침이다. 그 결정은 자신이 내리는 것이 아니라 병원이 내리는 것이라 치부하는 것이다.

 


'디데이(사진출처:JTBC)'

JTBC 드라마 <디데이>의 이 구급대원이 던지는 질문은 마치 우리 사회에 대한 질문처럼 다가온다. 이 드라마에서 미래병원(이름에 미래를 붙인 건 의도적이었을 게다)은 우리 사회를 상징하는 것만 같다. 즉 병원이 이 모양인데 무슨 희망이 있냐는 일갈은 재난으로 사람이 죽어가는 마당에 방침 운운하며 생명을 방치하는 우리 사회의 절망을 떠올리게 한다. 이런 식으로는 미래병원의 희망, 아니 이 사회의 미래는 없을 것이다.

 

미래병원의 이 이야기는 재난 대책 마련을 위해 대통령이 각 부처 장관들과 회의를 하는 장면에서도 그대로 연출된다. 지금 저 바깥에서는 국민들이 죽어가고 있는데 장관들은 이 일의 책임 소재를 피하려고만 안간힘이다. 서로 자신의 부처가 해야 할 일이 아니라며 다른 부처에 일을 떠넘기는 걸 보다보면 정말 이 나라가 희망이란 건 있는 건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미래병원에는 두 종류의 의사들이 있다. 그 놈의 방침에 철저히 입각해 환자가 설혹 수술 중 사망하게 되더라도 책임 소재를 없애려는 박건 병원장(이경영)이 있고 그에 동조하는 한우진(하석진) 같은 의사가 있는 반면, 눈앞의 환자를 외면하지 않고 1%의 가능성도 버리지 않으려는 이해성(김영광) 같은 의사가 있다. 박건은 사람 목숨이 다 똑같다는 말은 틀린 말이라고 말한다. 그는 재난 속에서도 보건복지부 장관을 살리는 일에만 열중한다. 그것이 병원 경영을 위한 길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재난이 터지자 미래병원의 문을 닫아걸면서 박건은 이런 논리를 내세운다. 이런 재난은 국공립병원들이 짊어져야할 일이라고. 자신들처럼 사립병원들은 재난상황에 환자들을 받을 이유가 없다는 것. 이것은 철저히 상업 논리다. 의료민영화가 만들어낼 미래의 풍경을 미래 병원 박건 병원장은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병원은 돈을 버는 곳이지 생명을 살리는 곳이 아니다.

 

<디데이>는 물론 서울 한복판에 벌어지는 지진이라는 가상의 재난상황을 그리고 있지만 그 이야기는 다름 아닌 지금 현재 우리들 이야기다. 여기서 병원과 국가와 인간은 거의 동격이나 마찬가지다. 환자를 살리기보다는 돈 버는 게 우선인 병원이나 당장 힘겨워 죽음 같은 생계의 고통을 겪고 있는 국민을 살리기보다는 나라 경제 운운하며 돈 버는 일을 전면에 내세우는 국가, 아니 나아가 사람이 사람과 관계를 맺고 살아가는 사회가 아니라 서로 살기 위해 생존경쟁을 벌이게 되어버린 시스템 속에서 비정해져버린 사람들은 모두 같은 이야기를 건넨다.

 

재난이 말해주는 건 위기상황에서 비로소 드러나는 인간의 증명이다. 평상시에는 수면 밑에 깔려 있어 잘 보이지 않던 일들이 위기를 맞게 되면 수면 위로 떠오른다. 이해성의 어머니가 사실은 한우진의 의료과실에 의해 식물인간 상태가 되었지만 미래병원장 박건이 병원의 입장에서 이를 덮어버린 일은 그래서 사실 재난은 터지기 이전부터 이미 우리들 모르게 진행되고 있다는 걸 말해준다.

 

그래서 <디데이>가 보여주는 인간의 증명은 또한 병원의 증명이기도 하고 국가의 증명이기도 하다. 우리가 살아가는 곳이 본래 어떤 모습이었는가를 이 드라마는 아프게도 우리 눈앞에 펼쳐 보여준다. 그리고 선택하라고 한다. 당신은 자신이 인간이라는 것을 어떻게 증명해낼 것인가. 지금 현재 우리 사회에서 암암리에 벌어지고 있지만 묻혀지고 있는 비인간적인 일들. 결코 드라마를 드라마로만 볼 수 없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