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육룡이 나르샤', 민초의 눈으로 ‘용비어천가’를 쓴다면

728x90

'육룡', 이방원만큼 무휼, 이방지가 기대되는 까닭

 

오늘 첫 방영되는 SBS 사극 <육룡이 나르샤>의 등장인물에는 반가운 이름이 들어가 있다. 바로 김영현, 박상연 작가의 전작이었던 <뿌리 깊은 나무>에서 세종 이도 옆을 든든히 지키고 있던 무사 무휼(조진웅)이다. 세종 이도가 글을 세운 문의 힘을 보여준 캐릭터라면 그런 그를 칼을 통한 무로써 지켜주는 인물이 무휼. 무휼은 한글 창제의 이면을 다룬 <뿌리 깊은 나무>가 사변적인 이야기에 머물지 않고 액션 활극으로서 시청자들의 시각적 쾌감을 줄 수 있게 해준 캐릭터이기도 하다.

 


'육룡이 나르샤(사진출처:SBS)'

그 무휼이 훨씬 젊어진 얼굴(윤균상)<육룡이 나르샤>의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고 보니 무휼 옆에는 또 한 명의 익숙한 이름이 있다. 바로 이 드라마에서 땅새(변요한)라고 불리는 이방지다. 이 캐릭터 역시 <뿌리 깊은 나무>에서 강채윤(장혁)의 무술스승으로 출상술의 대가로 미친 존재감을 드러냈던 그 인물(우현이 연기했다)이다. 무휼의 젊은 시절이 다뤄지는 만큼 이방지의 젊은 시절의 이야기 역시 <육룡이 나르샤>의 중요한 스토리 중 하나가 된다.

 

이처럼 <육룡이 나르샤><뿌리 깊은 나무>의 프리퀄에 해당하는 사극이다. 국내의 사극 중에서는 처음 시도되는 연작이지만 워낙 <뿌리 깊은 나무>가 남긴 강렬한 여운이 지금도 여전하다는 점에서 이 프리퀄에 대한 기대감은 그 어느 때보다 높다. <뿌리 깊은 나무>가 조선 건국 후 나라의 기틀이 마련되고 그 위에 세워진 세종 대의 찬란한 유산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면, <육룡이 나르샤>는 바로 그 세종이 훨훨 날 수 있었던 그 기반이 되는 여말선초의 육룡에 대한 이야기다.

 

물론 용비어천가에서 나오는 육룡이란 조선을 개국한 세종의 여섯 선조들을 일컫는 것이지만 이 사극의 육룡은 그들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다. <육룡이 나르샤>에서 육룡은 이성계, 이방원, 정도전이라는 실존 역사적 인물들과 무휼, 땅새, 분이(신세경)라는 가상 인물 여섯을 통칭하는 것이다. <육룡이 나르샤>는 실존 인물들의 역사적 이야기와 그들과 공조하고 대결하는 그 이면의 가상 인물들의 이야기를 합쳐놓은 팩션이다.

 

역사적 사건이 있다면 그 뒤안길에 그 사건들에 의해 한 시대를 이름 없이 살아낸 민초들의 이야기도 있다는 것이 <육룡이 나르샤>가 갖는 이야기 구조의 의미다. 따라서 이 사극의 재미는 젊은 이방원(유아인)과 정도전(김명민)의 권력을 향한 욕망과 백성을 위한 혁명 사이에서 부딪치는 대결에서도 찾아낼 수 있지만 그들과 함께 하는 무휼과 땅새, 분이 같은 민초들의 이야기도 빼놓을 수 없다. 역사적 사실이야 이미 우리가 역사적 기록을 통해 이미 아는 사실의 재연이라고 본다면 실제로 이 사극의 새로움은 무휼 같은 가상인물에서 나온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결국 <육룡이 나르샤>에 들어간 무휼 같은 존재들은 현재의 욕망이 투영된 캐릭터일 수밖에 없다. 사극이 과거의 재현이 아니고 현재의 결핍을 과거의 역사를 통해 채워주려는 욕망이라고 본다면, 왜 무휼이나 이방지 같은 가상의 존재들이 이방원이나 정도전, 이성계 같은 실제 역사적 인물만큼 기대감을 갖게 하는지를 이해할 것이다. 이것은 어쩌면 왕들의 기록으로 남겨진 용비어천가의 육룡과는 다른 민초들의 기록으로서 다시 쓰는 용비어천가를 말해주는 건 아닐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