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룡이 나르샤>는 왜 정의와 힘에 대한 화두를 던졌을까
아마도 여말선초의 이야기가 사극으로 자주 등장하는 건 우리네 역사에서 이 때가 가장 극적인 순간이기 때문일 게다. 고려 말의 혼탁했던 시기, 그 어둠을 깨치고 개혁을 꿈꾸던 사람들이 새로운 세상을 여는 이야기는 현재의 삶이 팍팍해지면 해질수록 자꾸만 들여다보게 된다. <정도전>이 나라가 아닌 백성을 선택하고 새롭게 세운 나라가 왕이 바뀌어도 굴러갈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정도전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 시대에 부재한 정치체계에 대한 열망을 담아냈던 것도 그래서다. 그렇다면 <육룡이 나르샤>가 이 시기를 다시 소환한 이유는 뭘까. 우리 시대의 어떤 결핍에 대한 화두를 던지고 있는 걸까.
'육룡이 나르샤(사진출처:SBS)'
<육룡이 나르샤>의 첫 방송은 이 대하사극에 등장할 이방원이나 이방지, 분이 같은 여러 인물들을 두루 설명하고는 있지만 진짜 메인 스토리는 육룡 중 첫 번째 용 이성계에 대한 이야기다. 혁혁한 전과를 거두고 있지만 웬일인지 변방의 호랑이로만 살아가는 이성계(천호진). 그가 중앙 정계로 들어오는 과정과 그를 견제하는 이인겸(최종원)의 이야기.
이인겸은 사람을 부리는 데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고 말하는 인물이다. 그 하나는 그 사람이 욕망하는 걸 이뤄주고 부리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그 사람의 약점을 잡고 부리는 것. 하지만 이성계는 욕망도 약점도 도통 보이질 않더라는 것이다. 그래서 이성계를 그는 불편하게 느끼고 있는 것. 하지만 이인겸은 간자를 통해 이성계의 약점을 알아낸다. 그것은 이성계의 집안이 사실은 원나라 쌍성총관부의 조소생(안길강)의 그늘 아래 자리를 잡았으나, 원이 쇠퇴하자 그를 배신함으로써 고려의 무장으로 자리를 잡게 된 사실이다.
백성들의 존경과 칭송을 한 몸에 받는 이성계의 아킬레스건은 바로 이런 자신의 불미스런 과거사였던 것. 그는 자신의 부하가 배신을 하자 이미 한 번 배신한 그에게 또 한 번 배신하지 말라며 그 배후를 묻지 않고 베어버리는 인물이다. 그만큼 배신에 대한 트라우마가 있는 인물이라는 것. 결국 이 약점을 알아낸 이인겸 앞에 이성계는 고개를 조아리며 “한번만 봐 달라”고 말한다.
그런데 이인겸은 <육룡이 나르샤>에서는 불의를 상징하는 듯한 인물이다. 그는 아이를 낳은 아녀자들을 잡아다가 새끼 돼지에게 젖을 먹이고 그 돼지를 요리해 먹는 인물. 결국 젖을 먹지 못한 그 어미의 아이들이 굶어죽는다는 이야기는 백성의 고혈을 빠는 관료들의 불의를 에둘러 말해주는 대목이다. 그 불의를 자신의 아버지인 이성계가 단박에 뿌리 뽑을 것이라 믿었던 어린 이방원(남다름)이 이인겸 앞에 고개를 숙이는 모습을 보고 어떤 생각을 했을까. 그는 무력만으로는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현실, 그래서 정치력을 가져야만 불의를 깨칠 수 있다는 생각을 하지 않았을까.
<육룡이 나르샤>의 첫 번째 용 이성계가 던진 화두는 힘만으로는 또 정의에 대한 의지만으로는 아무 것도 바꿀 수 없는 견고한 현실이다. 남다른 힘을 갖고 있는 이성계지만 그는 한 때의 불의로 인해 태생적인 약점을 잡히는 인물이고, 어린 이방원은 죽어 나가는 백성들을 목도하며 남다른 정의에 대한 의지를 드러내지만 자신이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힘없는 존재라는 걸 실감한다. 이것은 훗날 이방원이 그토록 힘을 희구하게 된 이유가 된다.
불의를 깨치고 새로운 세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결국 정의에 대한 의지와 그것을 실현해낼 수 있는 힘이 필요하다는 걸 <육룡이 나르샤>의 첫 번째 용 이성계는 보여준다. 이건 어쩌면 우리 시대에도 그대로 적용되는 이야기일 것이다. 세상을 바꾸는 두 가지 동력, 정의에 대한 의지와 힘. <육룡이 나르샤>가 지금의 우리들에게 던지고 있는 첫 번째 화두다.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정음, '복면가왕' 그리고 가면 세대 (0) | 2015.10.15 |
---|---|
'그녀는 예뻤다', 황정음의 로코 무엇이 달랐을까 (0) | 2015.10.09 |
'육룡이 나르샤', 민초의 눈으로 ‘용비어천가’를 쓴다면 (0) | 2015.10.06 |
'디데이', 이걸 어떻게 드라마로만 본단 말인가 (1) | 2015.10.04 |
'객주'와 장혁이 넘어야할 '상도'와 대길이 (11) | 2015.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