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네모난 세상

연기 카멜레온, 오만석, 김민준, 박희순

728x90

카멜레온 같은 그들, 연기변신의 끝은 어디?

연기자의 연기변신은 놀라울 것 없는 의무사항이다. 한 가지 작품만으로 기억에 남을 것이거나 배우가 아닌 스타만을 꿈꾸지 않는다면 말이다. 그런 점에서 연기자라는 말에 제대로 걸맞는 배우들이 있다. ‘포도밭 그 사나이’의 순박한 시골청년에서, ‘왕과 나’의 내시, 그리고 ‘우리 동네’에서 끔찍한 살인자로 변신을 거듭하고 있는 오만석, 늘 바른 이미지로만 보였지만 곽경택 감독의 ‘사랑’에서 소름끼치는 건달역으로 그리고 다시 ‘인순이는 예쁘다’에서 번듯한 기자로 변신한 김민준, 그리고 ‘얼렁뚱땅 흥신소’의 마음 따뜻한 건달역에서 ‘세븐데이즈’의 껄렁한 비리형사로 변신한 박희순이 그들이다.

광기 어린 눈빛과 순박함 사이, 오만석
오만석이 ‘포도밭 그 사나이’의 그 사나이 역할을 맡았다고 했을 때, 이미 그는 연기 변신의 또 한 발을 내딛는 셈이었다. 그는 일찍이 ‘왕의 남자’의 원작이었던 연극 ‘이’에서 왕의 남자인 공길 역으로 알려져 있었고, 가끔은 연산 역할을 할 정도로 변신의 귀재였다. 조승우의 광기 어린 연기로 소문났던 뮤지컬 ‘헤드윅’에서 조승우 대신 헤드윅 역할을 맡아서 그만의 색깔을 덧입혀 ‘조드윅’에 이어 ‘오드윅’을 완성하기도 했다. 그러니 ‘포도밭 그 사나이’에서의 시골청년 장택기는 그에게는 좀 심심한 역할이었다.

오만석의 연기 스펙트럼은 광기와 순박함을 오가는 그의 이미지에서 나온다. 그의 눈빛은 순박한 시골청년처럼 보이면서도 한편으로 강렬한 광기를 뿜어낸다. 그러니 순박한 청년과 내시로서의 광기를 보여줘야 하는 ‘왕과 나’의 김처선 역할은 정확히 그의 연기 스펙트럼과 맞아떨어진다. 이것은 최근 개봉한 영화 ‘우리동네’에서도 그대로 이어진다. 그가 맡은 경주는 살인자이면서도 어릴 적부터의 친구인 형사 재신(이선균)과 우정을 나누는 복합적인 성격의 인물이다. 이 극과 극을 오가는 눈빛은 그의 앞으로의 연기변신이 어디까지 갈 것인지 가늠하기 어렵게 만든다.

반듯함 속에 숨겨진 막가는 열정, 김민준
곽경택 감독의 ‘사랑’을 다 보고서 엔딩 크레딧에 오르는 김민준이라는 이름을 본 많은 관객들은 고개를 갸웃거렸다. 도대체 김민준이 어디에 나왔다는 거야 하고 생각할 즈음, 영화 속 소름끼치도록 악독했던 치권이란 건달이 그였다는 걸 알고 진짜 소름이 돋던 기억이 있다. ‘외과의사 봉달희’의 이건욱이나, ‘썸데이’의 진표, ‘프라하의 연인’의 지영우 같은 댄디한 이미지를 가진 반듯함 속에 어디 그런 갈 데까지 가보는 막가는 열정이 숨겨져 있었는지 모두들 의아해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찬찬히 떠올려보면 김민준은 늘 그렇게 반듯한 인물로만 우리에게 다가온 것이 아니었다. 예를 들면 ‘다모’에서 그가 맡았던 장성백이란 캐릭터는 그 밑바닥에 잡초 같은 질깃질깃한 근성을 숨겨둔 인물이었고 ‘강력3반’의 김홍주는 기막히게 범죄의 냄새를 맡는 초보형사로 반듯함과는 역시 거리가 있는 인물이었다. 그를 반듯하게 만든 것은 오히려 시청자들이나 관객들이었지 그 자신은 아니었다. 현실은 그를 다시 ‘인순이는 예쁘다’의 유상우로 앉혔지만 ‘사랑’에서 보여준 풀어진 눈빛의 김민준은 반듯함 하나만으로는 아까운 배우라는 걸 알게 해주었다.

타고난 복합 캐릭터의 연기자, 박희순
이윤기 감독의 ‘러브 토크’에서 박희순은 상처 입은 영혼의 소유자, 지석 역을 맡아 감정이 절제된 연기를 선보였다. 그의 우수에 찬 듯한 타고난 눈빛은 그다지 연기를 하지 않아도 지석 그 자체가 될만했다. 하지만 그 뿐, 그것은 진짜 박희순의 진가가 아니었다. 그는 사실 초창기부터 조폭 같은 악역으로 주로 등장했다. 특히 영화 ‘가족’에서 보여준 연기는 건달의 이미지를 그에게 깊이 각인시켰다. 그의 진가는 이 두 이질적인 요소, 즉 악역과 우수의 눈빛이 만났던 ‘얼렁뚱땅 흥신소’의 백민철에서 폭발적으로 드러났다. 흥신소 사람들과 대적관계에 서 있는 건달이지만 희경(예지원)을 사랑하고 치매를 앓는 노모를 가진 아픔을 동시에 보여주는 백민철이란 캐릭터는 그에게 자신이 가진 가능성을 100% 드러내게 해주었다.

그가 가끔씩 보여주는 우수에 찬 눈빛은 건달 특유의 건들거림과 부조화를 이뤄야 하지만 박희순은 이것을 하나로 잘 버무려 미워할 수 없는 건달 캐릭터를 만들어낸다. ‘얼렁뚱땅 흥신소’의 백민철이 따뜻한 건달이라면, ‘세븐데이즈’의 김성열은 따뜻한 비리경찰인 식이다. 그 복합적인 캐릭터를 소화해내는 그 능력은 다름 아닌 오랜 연극과 뮤지컬 공연의 공력이다. 그는 극단 목화 출신으로 연출자 오태석 밑에서 바닥부터 기며 연극과 뮤지컬에서 잔뼈가 굵어온 연기자다. 뮤지컬 ‘그리스’나 ‘록키 호러 픽쳐쇼’는 그의 가능성을 입증시킨 작품들이다. 불혹을 향해 달려가는 적지 않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때론 소년 같은 느낌을 주는 이미지는 앞으로 더 복잡한 성격의 연기가 가능하리란 것을 예측하게 한다.

오만석, 김민준, 박희순의 연기변신에 대한 찬사는 이 시대 대중들이 연기자들에게 무엇을 요구하는 지를 명확히 말해준다. 대중들은 카멜레온처럼 끝없는 연기변신을 시도하는 진정한 연기자를 원하지, 한 가지 굳어진 이미지로 스타가 되려는 연예인을 원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한 현대인들의 복잡한 삶 속에서 발생하는 한 가지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복합적인 감정들은, 이들의 다중적인 캐릭터에 공감하게 만든다. 어느 모로 보나 연기자들의 연기변신은 시대적인 요청이 되고 있는 셈이다. 영화든, 드라마든 혹은 연극이든 뮤지컬이든 다양한 연기의 세계를 종횡무진하는 그들에게는 그만한 이유가 있는 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