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쾌도 홍길동’, 네 정체는? 본문

옛글들/명랑TV

‘쾌도 홍길동’, 네 정체는?

D.H.Jung 2008. 1. 11. 02:06
728x90

퓨전사극? 시대극? 아니면 제3의 무엇?

‘쾌도 홍길동’을 사극으로 볼 수 있을까. 흔히 시대적 공간적 배경이 과거이기에 이를 사극으로 생각하지만,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극이라 말할 때 그 범주 안에 이 드라마도 포함될 수 있는 것일까. 요즘은 참 쉬운 말이 퓨전사극이란 말이다. 역사를 다루되 사료와는 달리 상상력이 개입된 사극을 지칭하는 이 말은, 대충 정통사극이 아닌 것을 모두 지칭하는 개념처럼 되어 버렸다. 그렇다면 정통사극에서 한참 멀어져 있는 ‘쾌도 홍길동’도 퓨전사극으로 부르면 무방한 것일까.

‘쾌도 홍길동’에는 역사적 시점이 없다
그럴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에서 흔히 사극이라고 지칭할 때 그것은 주로 TV드라마를 말하는 것이며, 거기에는 최소한의 역사적 실제 사건이 들어 있을 때 그렇게 불린다. 하지만 ‘쾌도 홍길동’에는 역사적 시점이라는 것이 없다. 다만 원전인 허균의 ‘홍길동전’이 임진왜란 이후의 달라진 사회분위기를 담고 있다는 데서 그 시점을 유추할 수 있을 뿐이다. 드라마 상의 왕인 광희(조희봉) 또한 실제 조선의 왕을 지칭하지 않고 있으며 훗날 왕위에 오른다는 광희의 동생 창휘(장근석) 또한 그 실제인물이 아니다.

이것은 단지 역사적 시점만이 아니다. 국내 최초의 코믹사극을 주창하고 있기는 하지만 자유로운 의상과 머리 스타일, 게다가 현대화된 사회의 풍경들은 이 드라마 속의 이야기를 역사적 공간의 것으로 인식하지 못하게 한다. 밸리 댄스를 추는 기녀와 골프채를 든 양반, 새로 뺀 가마라며 자랑하는 인물들은 물론 그 자체로 충분한 웃음을 주기에 부족함이 없지만, 사극으로 보기에는 좀 무리한 감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런 경우, 일본에서 주로 사용하는 시대극이나, 코스튬 드라마(costume drama)라는 용어가 적합할 지도 모른다. 일본에서의 시대극이란 사극과는 달리 역사적 상황만 드라마 속으로 가져오고 나머지는 다 상상력으로 재구성한 드라마를 말하며, 코스튬 드라마는 실재했던 사건을 다루지는 않고 말 그대로 당대의 의상, 관습 같은 것을 살려 현실감을 넣는데 더 무게를 둔다. 이 드라마는 또한 중국의 무협드라마와도 궤를 같이 한다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무협지 속의 인물들처럼 날아다니고 놀라운 내공을 보이기 때문이 아니라, 역사적 사실보다는 그 드라마 자체가 전하려는 메시지나 스토리의 재미에 더 천착한다는 점에서 말이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우리네 토양에서 만들어진 ‘쾌도 홍길동’을 일본의 시대극이나 중국의 무협드라마의 연장선으로 보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우리만이 갖는 만화적 상상력과 풍자의 세계가 공존하면서 동시에 퓨전사극의 영향을 보이는 긴장감 넘치는 전개가 엿보인다. 최근 만화적 상상력을 앞세운 젊은 세대의 감성을 적극 반영하고 있는 현대극의 또 다른 버전으로 읽히기도 하는 이 드라마는 우리네 사극의 뉴웨이브가 아닐까.

기존 사극에 대한 형식적 도발
중요한 것은 용어가 아니라 왜 이런 형식을 도입했는가 하는 점이다. 어쩌면 그 속에 이 엉뚱하고 발칙한 상상력을 가진 드라마의 존재이유가 숨어있지 않을까. ‘홍길동전’이라는 원전이 가진 도발적이고 세태 풍자적인 시선은 실로 당대로서는 분명 상상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바로 이 혁명적인 시선은 지금 시대에 다시 만들어진‘쾌도 홍길동’에게도 똑같이 변화를 요구했을 터. ‘쾌도 홍길동’은 그저 웃기기만을 위해서 사극으로서는 말도 안 되는 배꼽춤과 섹시춤을 연출한 것이 아니다. 이것은 기존 사극에 대한 형식적인 도발이다.

이 드라마는 천편일률적인 사극 속의 멋진 척, 예쁜 척 하는 캐릭터들을 전복시킨다. 홍길동(강지환)은 주색잡기에 빠진 한량이며(물론 이것은 다 위장이지만), 허이녹(성유리)은 덜떨어진 듯한 말괄량이다. 스승은 전혀 스승처럼 보이지 않고 제자도 전혀 제자처럼 보이지 않는다. 왕이란 자는 색주가처럼 차려진 별궁에서 기생들과 놀아나고 도적들과 기생들은 웬일인지 사연 있는 착한 사람들처럼 그려진다. ‘권력의 핵심’이라 스스로 일컫는 서윤섭(안석환)은 오히려 도적처럼 보이며, 그 사대부가의 딸은 자신이 기생으로 오인되어도 홍길동을 만날 수 있다면 기꺼이 수긍하는 당대로서는 놀라운 인물이다.

이러한 캐릭터들의 행보를 더욱 우스꽝스럽게 만드는 것은 그 현대적인 영상 연출 때문이다. 분할화면으로 홍길동과 그의 사부인 해명스님(정은표)이 각각 허이녹과 허노인(정규수)에게 자신들의 사제지간에 대한 이야기를 해주는 장면은 그 단적인 예가 될 것이다. 이러한 형식 실험이 주는 유쾌함과 통쾌함은 어디서 생겨나는 것일까. 그것은 기존 사극들이 가진 엄숙주의를 한껏 풍자하는데서 비롯된다. 한없이 무겁고 비장하기까지 한 사극들에 대한 발칙한 상상력의 도전장을 내미는 이 드라마는 그래서 한참 보다보면 이런 말을 하고 있다는 생각에 도달하게 된다. “왜 좀 다르게 생각하고 상상하면 안 돼?” 물론 거기에 대한 대답은 “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