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주말극, 공식에 빠지다 본문

옛글들/명랑TV

주말극, 공식에 빠지다

D.H.Jung 2008. 3. 3. 10:51
728x90

공식에 빠진 주말극, 남은 건 작가색

먼저 서로 다른 집안환경에서 자라난 남녀가 있다. 그런데 그들은 집안환경과 상관없이 서로를 사랑한다. 밖에서 연애를 할 때야 무슨 상관이겠냐마는 이제 결혼을 앞두고 있는 나이가 되자 문제는 복잡해진다. 결혼을 앞두자 남자 혹은 여자는 그동안 상대방에게 속여왔던 자신이 부자임이 드러나거나, 스스로 그 사실을 밝히게 된다. 공교로운 것은 대체로 그 부잣집 자제는 상대방이 다니는 회사의 회장 자제라는 점이다. 부유한 집안 부모는 결혼을 반대하고 결국 그 반대에 모멸감을 느끼던 한 쪽은 회사를 그만두거나 결혼을 포기하겠다는 통보를 한다. 혹은 그 반대의 결정을 하기도 한다.

놀랍게도 위에 적어놓은 스토리는 지금 현재 주말 드라마로 인기를 얻고 있는 김수현 작가의 ‘엄마가 뿔났다’와 김정수 작가의 ‘행복합니다’가 똑같이 가진 이야기 구조이다. 거의 비슷한 시기에 시작했기 때문인지 어떨 때는 같은 날 방영하는 드라마의 내용이 거의 같게 맞아떨어질 때도 있다.

‘엄마가 뿔났다’에서 고은아(장미희)가 스스로 대사 속에서 “드라마에 나오는 편견에 가득 찬 교양 없는 시어머니 역할 하기 싫어”라며 밝힌 것처럼 그 장면은 드라마라면 어디에나 한번쯤 등장하는 시퀀스가 되어버렸다. 고은아는 자신의 대사에도 불구하고 아들의 연인인 영미(이유리)를 불러서 모멸감을 준다. 같은 날 방영된 ‘행복합니다’에서도 역시 같은 장면을 발견할 수 있다. 재벌집 사모님인 이세영(이휘향)은 딸과 결혼하려는 이준수(이훈)를 불러 얼굴에 물을 끼얹는다. 다른 것이라곤 시어머니가 장모로, 그리고 며느리가 사위로 뒤바뀌어 있을 뿐이다.

이 두 부유층의 사모님들은 모두 자신의 딸 혹은 아들이 격에 맞는 사람을 만나 결혼을 하기를 원한다. 이 두 드라마는 서민들의 시선에 맞춰져 있기 때문에 이 서민적인 주인공을 데려다가 인간적인 모멸감을 주거나 물을 끼얹는 장면은 자못 자극적이다. 그것은 마치 드라마를 보는 사람의 얼굴에다 물을 끼얹는 것과 마찬가지의 느낌을 준다.

이렇게 한 차례씩 당한 주인공들은 저마다 회사를 그만둔다. 그 회사의 회장 자제로 있는 상대방과 동등한 입장에서 만나려면 그 방법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 장면 역시 ‘엄마가 뿔났다’와 ‘행복합니다’에서 같은 날 방영되었다. 이 정도 되면 주말 가족극의 패턴은 이미 공식화되어버렸다고 말해도 무방할 것이다. 만일 이 두 드라마를 모두 즐기는 시청자라면 같은 구조의 이야기를 같은 날 반복적으로 시청한 셈이 된다.

그런데 이상한 것은 이 공식화된 이야기가 식상하게만 느껴지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오히려 이 두 드라마는 저마다 색깔이 다른 느낌마저 주면서 번갈아 볼 때 역할 바꾸기(남자와 여자의)의 재미까지 선사한다. ‘엄마가 뿔났다’에서 여성의 시선을 통해 계층 갈등의 묘미를 본다면, ‘행복합니다’는 남성의 시선을 통해 그것을 즐길 수 있다. 이것은 마치 게임 같다. 공식화된 틀 속에서 다른 캐릭터들을 갖고 한 시간 동안 즐기는 게임.

이 공식화된 구조의 두 드라마가 주는 진짜 재미는 작가에게서 나온다. ‘엄마가 뿔났다’는 김수현 작가가 주는 속도감 있는 대사들의 잔치와 자잘한 일상의 디테일들을 통해 재미를 주고, 김정수 작가는 군더더기 없는 구성에 작가 특유의 서민에 대한 따뜻한 시선이 묘미를 더한다. 만일 이 두 대작가들의 색채가 없었다면 이 두 주말 드라마는 자기만의 색깔을 잃어버리고 말았을 것이다.

이렇게 유사한 구조의 스토리를 가지고도 비슷한 높은 시청률을 모두 거두고 있다는 점은 지금 우리가 주말 드라마를 통해 얻는 재미가 독특한 소재나 색다른 시각 혹은 주제의식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는 걸 말해준다. 우리는 똑같은 구조를 어떻게 재미있게 풀어내느냐는 ‘이야기꾼’의 그 이야기 능력을 즐기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일까. 이 재미있는 두 거장의 이야기 풀어내는 능력에 푹 빠져 있으면서도 아쉬운 마음이 남는 것은. 이 거장들의 비슷비슷한 이야기는, 삶이란 결국 그렇게 독특하고 색다른 무엇이 아니라 다 같은 구조 위에 있지만 그 위에서의 사는 방식이 다를 뿐이라고 말하는 것만 같다.


Daum 블로거뉴스
블로거뉴스에서 이 포스트를 추천해주세요.
추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