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인터뷰 게임’, 말보다 진심을 인터뷰하다 본문

옛글들/명랑TV

‘인터뷰 게임’, 말보다 진심을 인터뷰하다

D.H.Jung 2008. 3. 8. 10:27
728x90

‘인터뷰 게임’, 이 시대의 진정한 소통이란

인터뷰라는 단어는 대충 세 가지 의미로 쓰인다. 첫째 고용주와 지원자 사이의 대면, 둘째, 기자가 기사 대상을 두고 하는 면담, 셋째, 그런 정보를 가진 기사 혹은 방송. 하지만 이제 이 단어에는 한 가지 의미가 더 덧붙여져야 할 것 같다. 그것은 ‘진정한 소통’이다. SBS의 ‘인터뷰 게임’은 이른바 정보통신의 시대라는 현재, 오히려 더욱더 단절되어있는 그 소통의 물꼬를 인터뷰라는 형식으로 풀어보려는 프로그램이다. 이른바 ‘열 길 물 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 할 때 그 한 길 사람 속을 파고드는 프로그램.

40세의 김진영씨가 인터뷰를 통해 알고싶은 것은 아내의 마음이다. 그는 아내와의 깊은 갈등 끝에 이제 파국의 벼랑 앞에 서 있다. 그는 어눌하지만 카메라 앞에 서서 날 것 그대로의 마음을 전한다. 한 때는 그렇게 살가웠고 지금도 여전히 사랑하는 아내와 자신이 왜 이렇게 끝자락에 서 있는 지, 그는 진정 알고싶다. 그래서 그가 인터뷰하는 것은 아내 주변의 인물들이다. 그것은 아내의 선배이기도 하고 직장상사이기도 하며 아내의 친구, 부모 혹은 아내가 찾아간 한의사이기도 하다.

그런데 이렇게 아내에 대해 질문을 해온 김진영씨가 알게된 사실은 무엇이었을까. 그것은 ‘아내가 왜 그런가’하는 궁금증에서 시작됐지만, 결과적으로 알게된 것은 바로 오히려 몰랐던 자기 자신의 모습이었다. 자신은 아무렇지도 않다고 생각했던 것들이 아내에게는 상처가 되고 있었고, 아내는 때론 그 상처를 갖고서도 남편을 두둔하고 있었다. 아내는 남편이 술 마시는 것에 대해 불만을 갖고 있었지만, 정작 장모가 그녀에게 불만조로 남편이 술을 끊었으면 좋겠다고 말했을 때는 오히려 남편을 감싸는 모습을 보였다. 인터뷰를 통해 그 사실을 알게 된 김진영씨는 적잖은 충격을 받았다. 아내의 진심이 자신의 폐부를 찌른 것이다.

그것은 똑같이 김진영씨의 아내에게도 전달된다. 우습게도 그것은 이 ‘인터뷰 게임’에서 한 인터뷰의 내용, 즉 수집된 정보에 의한 것이 아니다. 그렇게 아내의 진심을 알게 된 남편이 결국 아내와 대면해 몇 시간 동안 대화를 통해 얻은 것은 거의 없다. 결국 그 파국이 예상될 즈음에 남편의 한 마디가 그것을 바꾼다. 그것은 자신이 아내의 상황을 알기 위해 수 차례 인터뷰를 해왔으며, 그를 통해 “당신이 힘들었겠구나”하는 것을 알게되었다는 단순한 이야기였다. 그런데 놀랍게도 그 순간에 아내의 눈에 눈물이 맺힌다.

결국 진심은 논리나 말에 의해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인터뷰 게임’은 보여준다. 그것은 오히려 그 진심을 담은 행위, 즉 남편이 아내의 마음을 알기 위해 동분서주하며 인터뷰를 하는 그 행위 자체에 담겨 있었던 것이다. 이로써 인터뷰라는 형식은 그 내용보다 더 중요하다는 것이 입증된다. 기존의 기자들이나 PD의 인터뷰가 어떤 정보라든가, 재미를 추구하는 목적이 뚜렷했기에 그 내용이 중심이었다면, ‘인터뷰 게임’이 보여주는 것은 그 형식 자체가 내용이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인터뷰 게임’의 인터뷰 형식은 여타의 인터뷰하고는 다르다. 여타의 인터뷰가 목적하는 것이 주로 정보라면,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진심이다. 따라서 인터뷰 형식에서 중요해지는 것은 적확한 정보나 재미를 전달하는 장면 위주의 편집이 아니라, 진심이 담긴 행위 그 자체가 된다. 프로그램이 정보전달에 있어 날려버릴 수 있는 불필요한 장면들을 빠른 장면으로 그대로 돌려 보여주거나, 사운드를 죽인 상태로 화면이라도 전달하는 이유는 그 때문이다. 이 정보성이 없는 행위가 담긴 장면들은 보통의 인터뷰에서는 편집되는 장면이거나 버려지는 텍스트가 되겠지만 사실 말 이면의 진심을 포착하기 위해서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인터뷰 게임’은 정보통신의 시대라는 소통의 기기가 극대화된 시기에 오히려 소통 부재가 되는 현실을 보여주는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이 주목하는 것은 인터뷰를 하는 자나 당하는 자의 진술이 아니다. 그것은 대신 그 인터뷰를 하는 행위 속에 담긴 마음이 된다. 이것은 또한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당신 옆에서 늘 투덜대는 아내나, 늘 웃고 있는 아버지, 늘 잔소리를 하는 어머니 같은 분들에게서 그 말로서만 들었던 이야기는 진심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 진심은 오히려 그분들이 투덜대면서도 밥을 차리고, 웃으면서도 쉴 새없이 손을 놀리며 일을 하고, 잔소리를 하면서도 늘 노심초사하는 그 행위 속에 담겨 있을 지도 모른다.


Daum 블로거뉴스
블로거뉴스에서 이 포스트를 추천해주세요.
추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