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주말극, 신데렐라가 넘쳐난다 본문

옛글들/명랑TV

주말극, 신데렐라가 넘쳐난다

D.H.Jung 2008. 3. 9. 23:02
728x90

늘어나는 신데렐라, 그 변주는 어디까지?

주말극을 신데렐라가 장악했다. 저녁 8시부터 11시까지 쏟아져 나오는 드라마들은 저마다 신데렐라를 내세우며 시청자들의 눈과 귀를 잡아놓고 있다. 그 시청자의 대부분은 아줌마. 그래서일까. 신데렐라도 아줌마의 눈높이에 맞춘 버전으로 변주되는 양상이다. 여성의 사회적 지위를 끌어올리는 정도를 넘어 아예 신데렐라의 남녀 구도를 역전시킨 ‘행복합니다’에서부터, 이혼녀 워킹맘으로 일상이 고통이지만 그 일상을 이해해주는 능력 있는 남자들에 의해 사랑받는 워킹맘 신데렐라, ‘천하일색 박정금’, 역시 이혼녀에 조기폐경 진단까지 받으며 악다구니를 쓰며 살지만 톱스타와 스캔들에 빠지는 억척맘의 신데렐라 ‘내 생애 마지막 스캔들’까지. 도대체 이 변주된 신데렐라의 어떤 점이 우리네 아줌마들의 눈과 귀를 사로잡고 있는 걸까.

‘행복합니다’- 신데렐라, 되기보다는 키운다
‘행복합니다’에서 박서윤(김효진)은 재벌집 딸. 그와 사랑에 빠진 이준수(이훈)는 그녀에 의해 천거된 남자다. 기존 신데렐라 이야기를 뒤집은 이 드라마의 스토리에서 주목해야할 인물은 이 맹랑할 정도로 당당한 박서윤이란 캐릭터다. 트렌디 드라마의 고질적인 수동적 여성 캐릭터와 비교한다면 정 반대에 서 있는 이 캐릭터는 뭐든 자기 스스로 능동적으로 상황을 헤쳐나간다. 반대하는 엄마를 굴복시키기 위해 저 스스로 언론에 열애설을 배포하고, 그것도 모자라 더 반대하면 아예 임신설을 퍼뜨리겠다고 으름장을 놓는다.

게다가 그녀의 이런 막가파식 행동은 합리적이기까지 하다. 재벌그룹 자제와의 결혼설로 올라갔던 회사의 주가가 서민적인 남자, 이준수와의 열애설로 떨어질 것이라 고심하는 가족들에게 그녀는 오히려 이런 발표가 기업의 서민적 이미지를 대중들에게 심어줄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설파한다. 이런 합리적인(?) 설명은 결국 그녀가 자기 회사를 위해 재벌과 결혼시키려는 엄마와 다를 것 없이 결혼이 사랑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도 활용된다는 것을 인정하는 셈이지만, 어쨌든 그녀의 이런 설득은 영리한 면이 있다.

과거 트렌디 드라마에서 늘 당하고, 울고, 그러면서 참고, 결국에는 남성에게 매달리던 수동적 캐릭터는 이 여성에게서는 발견하기가 어렵다. 이준수에게 오히려 거꾸로 프로포즈를 하는 상황에 이르러서는 성 역할만 바꾼 트렌디 드라마를 연상케 만든다. 여성들은 이제 수동적으로 신데렐라가 되는 입장보다는 신데렐라를 키우는 걸 더 선호하는 것 같다. 물론 여기에는 전제가 있다. 여성의 위치는 이미 남성이 끌어 올려줄 필요가 없을 정도로 높거나 그 이상이라는 것. 이것은 현실에서 적어도 심적으로는(물론 사회 시스템은 다를 수 있다) 여성들이 남성과 놓여졌을 때 느끼는 동등함 혹은 그 이상의 우월감을 말해주기도 한다.

‘천하일색 박정금’ - 이해 받고 싶은 신데렐라
‘천하일색 박정금’이 특이한 것은 남녀 간의 성 역할 구분이 희미해진 세계를 이미 상정하고 있다는 점이다. 박정금(배종옥)이 드라마나 영화 속에서 관습적으로 활용되었던 마초적인 남성 형사라는 틀을 깨는 배려 깊은 여성 형사라는 점은 주목해봐야 할 문제다. 물론 ‘히트’같은 드라마를 통해서도 이러한 여성성을 가진 여형사가 등장했지만, 박정금은 워킹맘으로서의 일상을 가진 인물이라는 점에서 더 구체적이다. 게다가 그녀는 자식을 잃어버린 엄마다. 그러니 그녀가 일하는 형사라는 칼부림의 현장 속에서도 모성이라는 여성성은 사라지지 않는다.

박정금이 남성들의 세계 속으로 뛰어들어와서도 여성성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점은 이 드라마가 남녀 성 역할 구분에 있어서 그만큼 유연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박정금과 대척점에 서 있는 불량주부(?) 정용두(박준규)의 설정은 그것을 단적으로 드러내는 예다. 물론 그만큼 극단화되어 있지 않지만 이 드라마에 등장하는 두 남자, 한경수(김민종)와 정용준(손창민) 역시 여성성을 가진 남성들이다. 한경수는 어린 시절 부모에게 버려진 인물로 아이를 잃어버린 아픔을 가진 박정금과 동병상련을 갖고 있다. 그의 캐릭터는 ‘떠나지 못하는’ 인물로 상정되어 있는데 여기서 ‘떠나지 못한다’는 말은 ‘상처주지 못한다’는 말과도 일맥상통한다. 이것이 한경수를 여성성에 머물게 하는 이유다. 정용준 역시 의사로서 돈을 벌기보다는 약자를 위해 봉사하고 거기서 기쁨을 얻는 인물로 상처를 보듬어주는 한경수의 캐릭터와 유사한 점이 있다.

그렇다면 이 드라마에서 신데렐라는 어디서 발생할까. 이 드라마는 빈부 격차에서 벌어지는 신데렐라는 없다. 막연히 형사라는 직업과 의사, 변호사라는 직업 사이의 간극이 느껴질 뿐이다. 그 능력 있는 남성들이 이제 나이 들고 집 안팎으로 힘겨워하고 있는 워킹맘 박정금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이해해주고 사랑해준다는 점에서 신데렐라는 등장한다. 그리고 이것은 사실상 요즘처럼 능력 있는 여성들이 동등한 자격으로 살아가는 사회 속에서는 돈보다 더 강한 환타지를 제공한다. 이해 받고 싶은 것이다.

신데렐라의 변주, 트렌디의 역할 바꾸기?
아무리 통속적인 작품이라 할 지라도 그 속에는 사회적 모순 같은 것들이 담겨져 있기 마련이다. 주말극을 장악한 신데렐라의 변주는 그런 점에서 지금 시대를 바라보는데 의미가 있다. 지금의 신데렐라들이 과거의 신데렐라를 거부하고 새로운 신데렐라를 꿈꾸고 있다고 해도 그것은 여전히 신데렐라 콤플렉스라는 틀 안에서의 이야기에 머물 뿐이다. ‘행복합니다’나 ‘천하일색 박정금’이나 이 시대의 달라진 모습을 포착하기는 하지만 여전히 신데렐라 콤플렉스 속에 안주하고 있는 것은 그 때문이다. 그런 면에서 보면 공공연히 신데렐라의 아줌마 버전이라 자처하고 있는 ‘내 생애 마지막 스캔들’은 이제 이 신데렐라의 변주가 하나의 장르적 재미의 틀로 안착하는 징후로 읽혀진다.

주말극을 장악한 신데렐라에 대한 열광은 그만큼 양극화된 사회 속에서 과거와는 다르게 사회에 진출해 살아가는 여성들의 욕구와 좌절을 에둘러 말해준다. 하지만 다른 한 편으로 아쉬움이 남는 것은 이러한 새로운 신데렐라가 어쩌면 젊은 시청층이 뉴미디어로 점점 빠져나간 자리에 들어서는 또 다른 중년 트렌디의 시작인지도 모른다는 우려 때문이다. 달라진 신데렐라가 의미 없는 것은 아니나, 그 속의 새로운 의미에 천착하지 않고 여전한 공식 속에서 단지 트렌디의 역할 바꾸기에만 골몰할 때, 그것은 저 몰락한 트렌디 드라마의 뒤를 고스란히 따라가게 되지 않을까.


Daum 블로거뉴스
블로거뉴스에서 이 포스트를 추천해주세요.
추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