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주말극의 엄마들, 왜 더 피곤한가 본문

옛글들/명랑TV

주말극의 엄마들, 왜 더 피곤한가

D.H.Jung 2008. 3. 22. 00:26
728x90

지위가 올라도 일은 더 많아진 이 시대의 엄마들

확실히 여성들의 사회진출이 많아진 시대다. 그래서일까. 주말극의 주도권을 잡고 있는 건 여성들이다. 그 여성들이라 함은 TV 앞에서 리모콘을 들고 있는 여성들이기도 하고, 그 TV 속 드라마에 등장하는 여성들이기도 하다. 드라마 속 여성 캐릭터들이 보여주는 일상은 따라서 이 시대 여성들이 처한 상황을 가늠하게 해준다. 과연 이 시대의 여성들은 사회진출도 많아지고 위상도 높아진 만큼 덜 피곤한 삶을 살게 된 걸까.

‘엄마가 뿔났다’의 엄마, 김한자(김혜자)의 일상은 노동 그 자체다. 자식들 때문에 늘 뿔이 나있으면서도 손에서는 일을 놓지 않는다. 그녀는 그 누구도 대신 감당해줄 수 없는 뿔을 저 스스로 끌어안고, 툴툴대면서도 늘 가족들의 밥상을 차리고, 방을 청소하고, 빨래를 하며, 시아버지 뒷바라지를 하고, 노처녀로 늙어 가는 딸의 반찬까지 챙긴다. 세상이 여성들의 손을 들어주었다고는 하지만 이 엄마의 일상은 달라진 것이 별로 없다.

이것은 이 드라마가 그만큼 보수적이라는 걸 말해주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이 드라마는 마치 리얼리티쇼를 보는 듯한 현실의 리얼함을 담고 있다. 드라마 진행과는 전혀 상관없는 대사들, 예를 들면 ‘동네의 한 가게 주인이 무슨 일을 당했다’는 걸 가지고 떠는 수다들이 마구 캐릭터들을 통해 쏟아져 나올 때면 이거 진짜 상황 아냐 하는 착각이 들 정도다. 어쨌든 이 드라마가 보여주는 엄마의 일상이 갖는 피곤함은 보수적 시선에 의해 그려져서가 아니라 실제를 잘 반영하고 있다는 말이다.

그럼 조금 나이를 낮춰 이 시대의 젊은 엄마들은 어떨까. ‘천하일색 박정금’의 형사 박정금(배종옥)은 참 치울 것이 많은 엄마다. 일터에 나가면 나쁜 놈들을 세상에서 치워 깨끗하게 만들어야 하고, 집으로 돌아오면 일상이 만들어내는 자잘한 삶의 부스러기들을 치워야 한다. 그녀는 이른바 이 시대의 워킹맘을 대표한다. ‘워킹맘’이라는 그 뉘앙스는 참 현대적이고 세련된 느낌이 있지만, 실상을 들여다보면 노동에 찌든 여성이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는 걸 발견하게 된다.

게다가 박정금의 가정은 피곤한 일상에서 파김치가 되어온 엄마의 피로를 풀어줄 만큼 편안하지가 못하다. 새엄마를 들인 아버지와 아픈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데다, 아파트 청약에 사기를 맞아 외간남자들과 같이 살아가야 하는 처지다. 게다가 어린 자식을 잃어버린 그녀는 늘 그 죄의식에 살아가야 한다. 즉 그녀는 육체의 피가 튀는 일터와 정신의 피가 튀는 가정을 가졌다. 그녀는 진정으로 쉴 곳이 없다.

하지만 그렇다고 달라진 게 없는 건 아니다. 달라진 건 엄마들이 아니라 이들 엄마들 주변에 서 있는 인물들이다. ‘엄마가 뿔났다’에서 김한자의 가족들은 저마다 엄마를 안쓰러운 눈으로 바라보면서 이해하려 애를 쓰고 또 그걸 보듬으려고 노력한다. 그것은 과거에 가부장적인 가족에서 자라났을 시아버지에서부터 저 막내딸과 심지어는 사위까지 포함해서 그렇다. 모두들 김한자의 노동과 맘 고생을 의식하면서 그녀의 투덜거림을 진정으로 걱정한다.

박정금도 마찬가지다. 그녀는 변호사인 한경수(김민종)와 의사인 정용준(손창민)에게 그 고충을 이해 받는다. 한경수는 그 자신이 버려진 고아였기에, 아들을 잃은 그녀를 이해하고 그러면서 점점 그 동병상련의 마음은 애정으로 변해간다. 사기분양으로 함께 살게된 초등학교 동창 정용준은 자기가 무슨 남편이나 된 듯 그녀를 챙긴다. 정용준의 형인 정용두(박준규)가 주부 역할을 하고, 박정금의 어머니가 집안 어른 역할을 하는 그녀의 집은 이 시대의 유사가족을 형성한다. 이 안에서 남녀간의 과거적 역할은 역전되어 있다. 물론 이것은 환타지다. 현실이 채워주지 못하는 것에 대한 작가의 희구인 셈이다.

주말극을 엄마들이 쥐고 있다고 해도 그 TV 바깥이나 안쪽의 엄마들은 모두 여전히 피곤하다. ‘엄마가 뿔났다’는 이것을 리얼하게 그리고 있고, ‘천하일색 박정금’은 이것을 환타지로 그리고 있을 뿐이다. 이 피곤해진 엄마들이 말해주는 것은 이렇다. 과거 전통적인 가치관과 현재의 가치관이 공존하는 가정 속에서 엄마들의 사회적 위상이 높아졌다는 것은 그만큼 더 많아진 노동을 의미하는 것이지, 그 노동에서의 탈피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 이것이 현실이라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적어도 이 엄마들을 바라보는 주변의 시선들이 달라졌다는 점일 것이다. 이것은 지금의 과도기를 넘어 언젠가는 좀더 편안해진 그녀들을 기대할 수 있게 만드는 유일한 단서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