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왜 드라마 속 싱글맘들은 연애중일까 본문

옛글들/명랑TV

왜 드라마 속 싱글맘들은 연애중일까

D.H.Jung 2008. 4. 5. 23:23
728x90

싱글맘, 아줌마 멜로드라마를 위한 차용?

MBC 주말드라마 ‘천하일색 박정금’의 박정금(배종옥)은 남편과 사별하고 아이를 혼자 키우는 싱글맘이다. 드라마 제목에서부터 박정금이란 이름을 쓰는 것처럼 이 드라마는 그녀의 처지, 즉 싱글맘이라는 상황이 드라마가 전하려는 메시지나 다름없다. 혼자 여성으로서 사회생활을 하면서(그것도 강력계 형사로서) 겪게 되는 아픔이나 고통 같은 것들은 그 존재를 부각시키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사회에 대한 문제제기가 된다.

게다가 박정금의 상황은 그저 싱글맘 하나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다. 그녀는 아이마저 잃어버렸고 딴 집 살림을 차린 아버지로 인해 버림받은 어머니와 반쪽짜리 가정을 꾸리고 있다. 이 정도면 그녀는 남자라는 존재가 지긋지긋 해지지 않았을까. 그러니 드라마는 이런 세상 속에서 여성으로 산다는 것과 그 여성의 시선으로 새로운 세계를 그려볼 법도 하다. 그녀가 직업으로서 만나게 되는 거리의 아이들(자신의 아들과 종종 동일시되는)을 그저 형사로서의 실적을 위해 잡아들이기보다는 엄마의 마음으로 보듬어주는 지점에서 그런 단편들을 발견할 수는 있다.

하지만 줌마렐라(아줌마 신데렐라) 일색인 주말드라마의 영향 때문일까. ‘천하일색 박정금’은 싱글맘으로서 사회에 이런 질문을 던지기보다는 전통적인 멜로드라마 구조 속으로 퇴행하는 느낌이다. 한경수(김민종) 변호사와 정용준(손창민) 의사를 오가는 멜로는 싱글맘의 힘겨운 일상에서의 한 부분(위안)을 해결해줄 지는 모르지만, 사회적 맥락 속에서 싱글맘이란 존재가 가진 문제를 오히려 덮어버리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그녀의 불행의 근원이 되는 아버지(박근형)가 슬쩍 한 발 뒤로 물러나고, 사공유라(한고은)와 사여사(이혜숙)가 대리전을 나서는 상황은 이 드라마가 전형적인 과거 싱글맘 멜로(비정한 아버지에 버려진 아이와 엄마의 악전고투를 다루던 신파에 가까운 드라마들)의 잔재를 벗지 못했음을 말해준다.

극단적인 악으로서 아버지가 아닌 사여사가 전면에 나서면서 싱글맘의 문제는 여자들끼리의 악다구니에 머물게 되었고, 결국 박정금은 위안해주는 남성들(한경수, 정용준 같은)의 세계 속에서 미완적인 해결을 하려고 한다. 그러나 이것으로 해결되는 것은 거의 없다. 이 드라마가 현재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인물들의 행동들과 이것을 과장하는 극단적인 클로즈업, 그리고 음향효과에 기대고 있는 것은 바로 그 애초에 구도했던 길에서 한참 벗어나 있기 때문이다. 사실 멜로는 부수적인 것이 되어야 한다. 박정금은 좀더 독립적이고 당당한 삶을 모색해야 하며 그를 통해 현재의 고통에서 벗어나야 한다. 그 과정에서 멜로보다 중요한 것은 일종의 동지의식에서 비롯된 박정금에 대한 격려와 따뜻한 시선이다.

이런 문제는 단지 ‘천하일색 박정금’에만 국한된 이야기가 아니다. 최근 쏟아져 나오는 싱글맘들을(싱글파파를 포함해서) 소재로 다루는 드라마들 대부분이 가진 문제이다. 아이를 가진 그녀들은 대부분 남편과 사별했고 모두 멜로를 꿈꾼다. 그 상황 자체는 고통스러운 것이지만 당당해 보이는 그녀들이 멜로를 꿈꾸는 부분에서는 주부들의 멜로에 대한 판타지를 엮기 위한 장치로서 싱글맘이 도용되고 있다는 혐의를 갖게 만든다. 사별이란 이런 판타지와 엮어지면 때론 피학적이지만 달콤한 환상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싱글맘 드라마가 봇물이지만 사실상 진정한 싱글맘 드라마라 부를 수 있는 건 거의 없는 상황이다(최근 새롭게 시작한 ‘아빠 셋 엄마 하나’는 그나마 편견 없는 시선을 추구하는 미덕이 있지만). 그리고 이런 상황은 아줌마 판타지를 추구하는 드라마가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현실을 호도할 수 있다는 걸 말해준다. 싱글맘은 새로운 가족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구석이 분명 있지만 절대로 낭만적인 선택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