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어려지는 TV, 조숙해지는 아이들

728x90

어른이 된 아이, 아이가 된 어른

주말 리얼 버라이어티쇼를 보다보면 거기 등장하는 출연진들의 나이를 의심하게 된다. 물론 그것은 웃음을 주는 프로그램으로서 당연히 의도적으로 과장된 것이지만, 어른들(그것도 30대에 다다른)이 아이처럼 노는 모습이 이제 성인들이 보는 예능 프로그램의 한 경향이 되고 있다는 것은 주목해 볼만한 일이다. ‘무한도전’의 캐릭터들은 복잡한 현대의 성인들과는 정반대로 단순화되어 있다. 그들은 이성적으로 판단하기보다는 본능적으로 반응한다. 그리고 그것이 ‘무한도전’이 가진 리얼리티의 진면목이다. 말 개그보다 몸 개그가 우선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그들은 모두 아이가 된 어른들(Kidadult)이다.

왜 ‘무한도전’은 되는데 ‘라인업’은 안됐을까
이것은 ‘1박2일’에서도 마찬가지다. 다만 다른 점이 있다면 여행이라는 장치를 끌어옴으로써 ‘어른이 아이 행세하는 것’이 ‘1박2일’에서는 어느 정도 현실적으로 보인다는 것뿐이다. 여행은 본래 어른들도 아이처럼 만드는 구석이 있게 마련이다. 그래도 ‘1박2일’의 먹을 것을 두고 벌이는 복불복 게임은 이 프로그램의 캐릭터들 역시 키덜트라는 것을 확인하게 한다. 은초딩이라는 캐릭터는 그러니까 이 요소를 재미의 하나로 끌어낸 상징적인 사례가 될 것이다.

성공사례로서의 ‘무한도전’, ‘1박2일’이 보유한 이 키덜트적 요소는 어찌 보면 그것이 없는 ‘라인업’의 실패가 애초부터 예고되어 있었다는 걸 말해주기도 한다. 이른바 ‘생존’이라는 무거운 성인들의 주제를 특징으로 갖고 있는 ‘라인업’은 어떤 식으로든 성인유머의 틀을 벗어나기가 어려웠을 것이다. 후반부에 이르러 이 성인버전의 리얼 버라이어티쇼가 마지막으로 찾아간 것은 사회적 의미, 감동 같은 공익적 부분이었지만 그것만으로는 리얼 버라이어티 생존경쟁에서 이겨내기가 어려웠다.

이 키덜트적 요소의 성공과, ‘생존’이라는 직설어법을 구사한 ‘라인업’의 실패는 우리 사회에서 TV가 가진 역할이 점점 재미와 오락을 통한 몰입(현실을 잊고)으로 규정되고 있다는 걸 말해주기도 한다. 현실의 창이 될 수도 있는 TV를 보면서, 현실을 보기보다는 퇴행하더라도 현실을 잊고 싶은 욕구가 더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들 프로그램들의 성공의 이면에는 성인들의 시청요인만큼이나 10대들의 열광이 작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프로그램의 주 시청층을 보면 10대들이 많고 특히 인터넷을 통해 프로그램을 확대재생산하는 층도 바로 그들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다양한 시청층은 키덜트적 요소를 가진 ‘무한도전’과 ‘1박2일’의 성공가능성을 높여주는 대목이다. 10대와 30대가 함께 이들 프로그램을 공유할 수 있는 지점은 다름 아닌 ‘키덜트적 요소’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어른 같은 아이들’에 환호하는 시대
‘키덜트적 요소’는 이제 TV 프로그램 시청에 있어서 점점 어른과 아이들 사이의 경계가 흐려지고 있다는 것을 말해주기도 한다. 아이들은 이제 아이들 프로그램을 시시하게 여긴다. 그러나 아이들 프로그램에 대한 아이들의 외면이 만든 것은 단지 아이들 프로그램의 실종만이 아니다. 현대의 가장 큰 교사로 풍자되기도 하는 TV가 이런 상황에서 아이들을 어른처럼 만들어버리는 것은 당연한 결과이다. TV 드라마 속 어른 같은 아이들은 이 상황을 징후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들이다. 어른들의 욕망이 투사된 드라마 속 아이들 캐릭터를 어른 뺨치게 연기해내는 아역스타들은, 이렇게 양산된 어른 같은 아이들이 어떻게 상품 속에서 더 잘 확대 재생산되는가를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다.

유치해 보이지만 순수하고 때로는 리얼리티가 드러나는 ‘키덜트적 요소’에 열광하는 상황 속에서, 아이들의 상품화는 어쩌면 당연한 수순인지도 모른다. 명절이나 어린이날 같은 날이면 어김없이 등장하는 ‘신동들’(트로트 신동으로 대변되는), 즉 어른 같은 아이들은 놀라울 정도로 어른들을 흉내내는 것으로 어른들에게 환호 받는다. 신기함, 기이함과 함께 어른들의 욕망이 투사된(신동이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 이 아이들의 모습은, 순수함이나 동심 같은 꾸밈없는 모습조차 TV 예능 프로그램의 리얼리티 요소로서 상품화시키는 시대에 우리가 살고 있다는 걸 보여준다.

TV는 점점 어려지고(퇴행하고) 아이들은 점점 조숙해지고 있다. 그리고 이것은 서로 꼬리에 꼬리를 물면서 반복되며 이를 통해 상품화의 측면에서 그 파이는 점점 커져 간다. 이 지점에서 한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TV가 아이들(혹은 아이라는 이미지)을 그간 어떻게 활용했는가를 말이다. TV는 점점 조숙한(혹은 조숙하다고 착각하는) 아이들을 요구하고 또 세상은 이미 그런 아이들로 가득하다고 말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것은 혹시 그것이 좀더 돈벌이에 유용하기 때문이 아닐까. 우리가 지금 목격하고 있는 것은 어린이날 같은 날마저 아이들을 상품화하는 프로그램들이 아무렇지도 않게 방영되고 있는 현실이다.


Daum 블로거뉴스
블로거뉴스에서 이 포스트를 추천해주세요.
추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