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이태원 클라쓰’, 멜로보다는 박서준의 적수가 필요해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이태원 클라쓰’, 멜로보다는 박서준의 적수가 필요해

D.H.Jung 2020. 3. 8. 10:28
728x90

'이태원' 안보현 빠지니 어딘지 허전한 건

 

장근원(안보현)이 빠지니 어딘지 허전하다? 아버지 장대희(유재명)로부터 철저히 버림받고 감옥에 간 장근원이 이 드라마에서 얼마나 중요한 악역이었는가가 그가 빠지자 더 절실히 느껴진다. 시청자들을 뒷목 잡게 만드는 빌런이면서도, 동시에 연민이 느껴질 정도로 적당히 당하고 무너지는 악당. 그래서 장근원은 시청자들이 이 드라마를 보는 맛을 만들어준 캐릭터였다.

 

장근원이 감옥에 가자 그 자리를 대치할 악역이 좀체 보이지 않는다. 장대희가 그 역할을 해줘야 하지만 그는 궁극적인 악으로서 결코 흔들리지 않는 단단함을 보여줘야 하는 캐릭터다. 장가의 서자로 단밤에서 일했던 장근수(김동희)가 단밤을 그만두고 장가로 들어갔지만 어떤 역할을 할지 아직 예측하기가 어렵다. 그가 단밤과의 대결을 벌일지 아니면 단밤과는 계속 관계를 유지하면서 자신이 원하는 목표인 장가를 가질 것인지 알 수 없다.

 

장근수는 아직까지 악역이라기보다는 조이서(김다미)를 짝사랑하며 그 사랑 때문에 엇나가는 모습을 보이는 중이다. 그래서 대놓고 진실게임 벌칙에 걸린 박새로이(박서준)에게 조이서를 여자로 생각한 적이 있느냐고 묻는다. 하지만 도무지 돌려 말할 줄 모르는 박새로이는 그런 적이 없다고 단칼 발언을 함으로써 조이서를 울린다. 장근수의 이런 역할은 박새로이와 조이서 간의 멜로를 끄집어내는 것일 뿐, 이 드라마가 가려는 ‘청춘 복수극’의 핵심 서사에는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결국 드라마에 동력을 만들어내는 절대적인 악역이 뒤로 물러나고 대신 그 자리에 멜로로 인한 갈등이 등장하면서 <이태원 클라쓰>는 숨 가쁘게 달려오던 걸 잠시 멈춰 숨고르기를 하는 느낌이다. 하지만 지금껏 <이태원 클라쓰>가 지속적인 힘을 갖게 됐던 건 이 드라마가 가진 ‘복수극 서사’ 때문이다. 단순한 복수극이 아니라 박새로이라는 인물이 기성세계의 방식이 아닌 자신만의 방식(청춘의 방식)으로 하나하나 해나가는 복수극. 성공을 통한 복수는 창업 판타지와 맞물리며 이 드라마에 힘을 부여한 바 있다.

 

복수극에서 악역이 중요한 건, 사실상 악역의 그 행동들이 그 복수극이 궁극적으로 하려는 주제의식을 끄집어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장근원의 그 지질함과 비겁함은 태생으로 갖게 된 권력을 휘둘러 잘못을 저질러도 덮혀지고 승승장구하게 만드는 엇나간 사회 현실을 끄집어낸다. 장대희가 장가를 이끄는 그 수직적인 명령 구조는 상명하복으로 자행되는 폭력과 불통이라는 시대착오적 시스템을 꼬집는다.

 

이런 악역이 세워지기 때문에 그의 정반대편에 선 박새로이의 복수극은 의미를 갖는다. 그는 단순히 부모와 자신의 원수를 갚는 것이 아니라, 잘못된 사회현실과 맞서는 것이고, 시대착오적인 시스템과 대결하는 것이다. 그래서 시청자들은 열광한다. 복수극의 짜릿한 사이다도 있지만 그것이 궁극적으로 건드리는 비판적 지점들을 공감하기 때문이다.

 

잠시 숨 돌리기를 하는 것이라 여겨지지만, 강력하고 매력적인 악역이 순간 사라진 듯한 느낌은 <이태원 클라쓰>에는 그다지 좋은 게 아니다. 시청률에서도 고스란히 드러난다. <이태원 클라쓰>는 지난 1월 31일 첫 방송을 4.98%(닐슨코리아)로 시작한 이래 단 한 회도 빠짐없이 자체 최고시청률을 경신하며 15%를 목전에 뒀으나 장근원이 사라진 이후 첫 방송에서 급제동이 걸렸다. 비록 소폭이지만 방송 11회 만에 처음으로 시청률이 떨어진 것.

 

이 드라마가 다시 가속력을 되찾기 위해서는 좀 더 장대희가 전면에 나서야 하고, 장근수는 확실한 자신의 입장을 드러내야 한다. 그런 명백한 적수의 위협이 스토리를 통해 계속 전개되고 있을 때만이 간간히 양념처럼 들어간 멜로 또한 빛날 수 있다. 물론 뒤집어 생각해보면 그간 장근원이라는 캐릭터가 얼마나 이 드라마에 힘을 부여했는가를 실감하게 되지만.(사진:JT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