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테넷', 난해하고 불편한데도 보다 보면 빨려든다는 건

728x90

'테넷', 영화의 많은 영상문법들을 깬 흥미로운 시각체험

 

(본문 중 영화 내용의 누설이 있습니다. 영화를 관람하실 분들은 참고 바랍니다.) 난해하고 불편하다. 그런데 보다 보면 빨려든다.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신작 <테넷>은 무려 2시간 반 동안의 적지 않은 런닝타임이지만 시간이 어떻게 흘러간 것인지 알 수 없을 정도의 몰입감이 있다. 물론 이 영화를 기존 방식으로 이해하려 애쓴다면 상당한 피로감을 느낄 수 있다. 도대체 저런 상황은 어떻게 가능한 것인가에 대한 의문들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질 테고 그것은 오히려 영화를 즐길 수 없게 만들 테니 말이다.

 

영화 <테넷>에는 '인버전'이라는 색다른 기술이 등장한다. 그것은 하나의 설정이다. 미래에서 현재로 던져진 이 기술은 시간의 흐름을 뒤집는 것이란다. 그래서 인버전 된 총은 방아쇠를 당기면 총알이 날아가는 게 아니라 날아간 총알이 다시 총으로 돌아온다. <테넷>의 포스터를 보면 이름조차 등장하지 않는 주인공(존 데이비드 워싱턴)이 앞으로 걸어오는 모습과 저쪽으로 걸어가는 모습이 동시에 겹쳐져 있다. 그리고 이런 상황은 영화 속 장면 속에 점점 빈번하게 등장하게 된다.

 

<테넷>이 한번 보는 것으로 이해하기가 어려운 건 근본적으로 이 영화가 시간의 예술인 영화의 문법을 거스르고 있기 때문이다. 영화는 기본적으로 인과관계의 산물이다. 과거에 어떤 일들이 벌어지고 그래서 미래에 그 결과가 나타난다. 하지만 <테넷>은 이 인과관계가 마구 꼬이고 뒤틀어져 있다. '인버전'이라는 설정으로 시간의 역순이 가능하다는 사실은 이미 일어난 결과를 되돌려 원인을 바꾸려는 인물들의 작전을 가능하게 한다. 시간은 앞으로도 흐르지만 의지에 의해 과거로 흘러가기도 한다.

 

영화 속에 등장하는 인버전 기계를 통해 가운데 유리막을 두고 과거의 자신과 미래의 자신이 서로의 행동들을 보는 장면은 <테넷>이 깨고 있는 영화문법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과거와 현재가 동시에 존재하고, 과거의 나와 현재의 나가 서로를 바라본다. 그리고 이렇게 과거에서 미래로 나가는 시간의 축과 미래에서 과거로 돌아가는 시간의 축이 조금씩 겹쳐지면서 심지어 과거의 나와 현재의 내가 서로 격투를 벌이는 장면까지 등장한다.

 

뒤로 갈수록 영상문법의 파괴는 더 과감해지고 심지어 블록버스터의 성격을 띤다. 세상의 종말을 오게 할 수 있는 사토르(케네스 브래너)를 막기 위해 그가 처음 이 인버전의 알고리즘을 갖게 됐던 과거 시간대로 옮겨가 벌어지는 전쟁에 가까운 장면은 우리가 봐왔던 영화 속 전쟁장면과 너무나 다른 영상을 연출해낸다.

 

앞으로 달려 나가는 요원들이 있는 반면 뒤로 가는 요원들도 존재하고, 이들의 공격으로 건물이 폭파되는 장면과 이미 폭발로 인해 거대한 구멍이 난 곳이 거꾸로 원상태로 돌아가는 장면들이 겹쳐진다. 시간의 순방향과 역방향이 하나로 겹쳐진 곳에서의 전쟁 장면은 한 마디로 아수라장이지만, 그 시각체험은 지금껏 우리가 보지 못했던 신선한 충격을 주기에 충분하다.

 

여기에 주인공이 보호하려 애쓰는 사토르에게 거의 인질이 되다시피 붙잡혀 살아가는 그의 아내 캣(엘리자베스 데비키)이 세상의 종말을 막는 일에 일조하면서도 '자유'를 향해 나가는 이야기 역시 흥미롭다. "저 여자의 자유가 부럽다"고 했던 미래의 캣이 나중에 그 여자가 바로 자신이었다는 걸 알게 되는 대목은 시간의 역순이 만들어낸 인과관계를 뒤집어놓는 상황이 아닐 수 없다. 미래의 자신이 가진 어떤 욕망(원인)이 과거의 자신을 바꾸는 결과로 이어지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테넷>은 난해하고 불편한 영화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그것은 시간의 역순이라는 '인버전'이라는 설정을 가져와 영화가 늘상 틀에 박혀 있던 '시간과 인과관계'라는 그 구조를 깨고 있는데서 생겨나는 난해함과 불편함이다. 그래서 이 영화가 마치 캐치 프레이즈처럼 달아놓은 "이해하지 말고 느껴라"라는 문구가 와 닿는 면이 있다. 어쩌면 그 시각체험만으로도 충분히 흥미로울 수 있으니.(사진:영화'테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