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일주일 내내 TV조선 전성시대, 서혜진표 마라맛 통한 까닭

728x90

TV조선의 좀 더 센 관찰카메라, 트로트 오디션, 막장드라마의 파괴력

 

솔직히 말해 TV조선이 이렇게 막강한 콘텐츠 파워를 보여줄 것이라고는 기대하지 않았다. 워낙 보수언론의 색깔이 강하고, 채널 또한 그런 정치적 색깔들에 편향된 방송들을 계속 쏟아냈던 게 사실이었기 때문이다. 방송사라기보다는 또 다른 보수 언론 채널 같은 느낌이랄까. 그래서 TV조선 채널을 선택하는 건 마치 '정치적 성향'을 드러내는 일처럼 보여 꺼려지는 면이 있었다.

 

지금도 완전히 그 느낌이 사라진 건 아니지만, 그래도 이제는 콘텐츠들이 눈에 띈다. 정치적 성향과는 상관없이 인구에 회자되는 프로그램들도 점점 늘어났다. 이것이 사실이라는 건, 일주일간의 시청률 표를 보면 단박에 드러난다. 월요일에 방영되는 <우리 이혼했어요>가 7%대(닐슨 코리아) 시청률을 기록하고 있고, 화요일에 방영되는 <세상 어디에도 없는 아내의 맛>은 8%대 시청률이다. 수요일은 <뽕숭아학당>이 12%대 시청률을, 목요일에는 <미스트롯2>가 무려 26%대 시청률을 기록하고 있다.

 

주말에는 주로 주중 프로그램의 재방송이 괜찮은 성적을 내고 있었지만, 최근 시작한 막장의 대모로 불리는 임성한 작가의 복귀작 <결혼 작사 이혼 작곡>이 TV조선 드라마 사상 최고 시청률인 7%대를 넘어서며 이 시간대마저 채워놓고 있다. 이 정도면 종편 채널에서 초반부터 지금까지 완성도 높은 예능, 드라마 같은 콘텐츠로 도드라진 행보를 보였던 JTBC를 충분히 위협하는 수준이다. 어떻게 이런 드라마틱한 변화가 가능했을까.

 

그 중심에는 SBS에서 이적한 후 강력한 마라맛으로 TV조선의 콘텐츠들을 세워놓은 서혜진 제작본부장이 서 있다. 2018년에 TV조선으로 옮긴 그는 그의 장기라고 할 수 있는 '독한 관찰카메라'로 <아내의 맛>을 선보이며 시선을 끌기 시작했다. 논란과 비판이 쏟아졌지만, 워낙 센 소재와 연출을 해왔던 그는 여기서 <연애의 맛> 같은 프로그램을 파생시키며 TV조선에도 보수 정치 콘텐츠만이 아닌 예능 같은 콘텐츠가 있다는 걸 상기시켰다.

 

그리고 <내일은 미스트롯>으로 홈런을 때리고 난 후, <미스터트롯>까지 연결해 트로트 오디션을 하나의 트렌드로까지 만들었다. <미스터트롯>이 탄생시킨 톱7(후에는 김호중이 빠진 톱6가 됐지만)을 출연시킨 <뽕숭아학당>이 자리를 잡았고, 트로트 오디션은 다시 <미스트롯> 시즌2로 이어지면서 그 힘을 이어갔다. 여기에 임성한 작가의 복귀작이라는 드라마의 승부수까지 던졌다. 예능에 이어 드라마까지 일주일의 라인업이 생겨난 것.

 

이게 가능해진 건 서혜진 본부장이 본래 갖고 있던 '독한 성향'이 TV조선이라는 플랫폼과 맞아떨어진 면이 있어서다. 사실 SBS에서도 <스타킹>이나 <동상이몽 괜찮아 괜찮아> 같은 프로그램들을 했지만, 늘 독한 선택과 연출은 SBS라는 플랫폼과 마찰을 일으키곤 했다. 시청자들의 논란이 자주 벌어졌고, 그 때마다 방송사는 화제가 오르긴 했지만 불편한 입장을 드러내곤 했다.

 

하지만 TV조선은 다르다. 종편 채널이라는 지상파에서 한 발 벗어난 지점에 놓여 있는데다, 중장년 보수층을 주요 시청층으로 갖고 있다는 사실은 서혜진 본부장의 '마라맛' 콘텐츠들이 통하게 된 이유가 됐다. 자극이나 논란은 TV조선으로서는 불편함이 아니라 화제성의 불꽃이 됐고, 대중들의 질타와 비판에도 물러서지 않고 끝까지 밀어붙이는 서혜진 본부장의 스타일은 TV조선의 색깔과도 잘 어울렸다.

 

그가 기획해서 꺼내놓은 프로그램들의 면면을 보면, 보통 지상파 같은 채널에서라면 "이걸 해도 될까" 싶은 그런 소재나 연출을 저들이 고민할 때 그는 일단 시도하고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물론 이런 고민의 차이는 플랫폼이 가진 특성이 작용한 결과다. 즉 어떤 콘텐츠가 지상파에서는 절대 할 수 없는 것이라도, 이제는 다른 플랫폼에서는 오히려 환영받는 '다채널' 시대에 우리는 들어와 있다. 그래서 서혜진표 마라맛 콘텐츠들은 지상파나 케이블의 관점에서 보면 '논란'이 야기될 수밖에 없지만, TV조선 같은 보수성이 짙은데다, 어떠한 논란에도 흔들리지 않는 채널에서는 오히려 힘을 발휘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서혜진표 콘텐츠들이 가진 보수성이나 자극성은 여전히 비판의 소지가 높고, 어떤 것들은 마치 '판도라의 상자'를 열어버린 것 같은 문제를 내포하는 게 사실이다. 하지만 적어도 그것이 TV조선이라는 채널에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여기서 우리가 생각해야할 것은 이제 지상파만이 아니라 케이블은 물론이고 종편 게다가 OTT를 통해 해외의 콘텐츠들까지 안방으로 들어온 '다채널 시대'에 콘텐츠는 콘텐츠 자체만이 아닌 플랫폼과의 궁합에 그 성패가 갈리기도 한다는 점이다.

 

그래서 모두가 동일한 콘텐츠의 목표를 세울 것이 아니라, 다채널 시대의 다양성에 맞게 콘텐츠 전략을 세워야 하는 시대에 들어섰다. 그것을 한 때는 그토록 논란과 비판으로 점철되어 있었지만 이제 그것을 하나의 힘으로 만들어낸 서혜진표 콘텐츠는 보여주고 있는 셈이다.(사진:TV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