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올림픽은 끝났어도 펄펄 나는 스포츠예능 본문

동그란 세상

올림픽은 끝났어도 펄펄 나는 스포츠예능

D.H.Jung 2021. 8. 16. 13:10
728x90

진짜 스포츠의 맛, 예능과 만나니

 

도쿄올림픽은 끝났지만 스포츠에 대한 열광은 끝나지 않았다. 한때는 성공 가능성이 별로 없다는 평가를 받아왔던 스포츠예능이 진짜 스포츠의 맛으로 시청자들을 끌어 들이고 있어서다. 

뭉쳐야 찬다2

‘슛 어게인’으로 돌아온 <뭉쳐야 찬다2>

JTBC <뭉쳐야 찬다>가 시즌2로 돌아왔다. 사실상 스포츠예능을 되살리고, 다양한 레전드 스포츠스타들을 방송인으로 만들어낸 프로그램이다. 안정환이야 본래부터 예능의 블루칩으로 자리했던 바이니 차치하고라도 <뭉쳐야 찬다>를 통해 허재, 여홍철, 이형택, 김병현 같은 스포츠 레전드들이 방송가에서 주목받았다. 특히 허재는 이 프로그램을 기점으로 다양한 예능 프로그램에 러브콜을 받았고, 이제는 단독으로 MC를 맡을 만큼 떠오르는 예능인이 되었다. <뭉쳐야 찬다>의 성공은 종목을 농구로 바꾸고 선수였던 허재가 감독으로, 감독이었던 안정환이 선수로 크로스되는 <뭉쳐야 쏜다>로 이어졌다. <뭉쳐야 쏜다> 역시 좋은 반응을 얻으며 현주엽과 이동국, 윤동식 같은 새로운 스포츠 레전드 출신 예능인들을 발굴했다. 그리고 한 바퀴 빙 돌아 다시 <뭉쳐야 찬다2>가 시작된 것. 

 

흥미로운 건 <뭉쳐야 찬다2>가 시즌1과 달리 비인기 스포츠종목 선수들을 오디션 형식으로 선발하는 과정을 마련했다는 사실이다. 축구에 대한 열정과 어느 정도의 기초적인 실력을 검증하면서 동시에 비인기 스포츠종목을 알리는 기회를 제공한 것. 그 오디션 형식은 JTBC <싱어게인>에서 따왔다. 심사위원으로 안정환과 이동국 그리고 김용만과 정형돈이 합격 버튼을 눌러 적어도 3개 이상의 축구공에 불이 들어와야 합격하는 방식이다. <싱어게인>이 데뷔 가수지만 잘 알려지지 않아 ‘다시 노래 부르기’ 위해 나온 가수들의 오디션 형식인 것처럼, <뭉쳐야 찬다2>의 오디션(?)은 과거 축구에 꿈을 가졌지만 다른 종목 선수로 뛰었던 이들이 ‘다시 축구를 하기’ 위해 나왔다. 일종의 ‘슛 어게인’인 셈이다. 

 

첫 회에 오디션에 참여한 씨름선수 박정우는 씨름으로 다져진 남다른 근력으로 안정환을 무등태워 뛰는 퍼포먼스를 선보였고, 우리에게는 비인기종목이지만 인도의 국기인 카바디로 인도 현지에서 맹활약하며 ‘코리안 킹’이란 별칭으로 불리는 레전드 선수 이장군이 허벅지 힘만으로 수박을 깨는 괴력을 보여줬다. 남다른 피지컬은 기본이고 공을 다루는 축구 실력도 예사롭지 않아 이들의 참여는 단박에 <뭉쳐야 찬다2>에 대한 기대감을 한껏 높여 놨다. 그저 예능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진짜 축구’의 맛을 진심을 다해 보여줬던 <뭉쳐야 찬다>가 아니었나. ‘슛 어게인’으로 돌아온 <뭉쳐야 찬다2>에 대한 높은 기대감은 첫 회 만에 무려 8%(닐슨 코리아) 시청률이라는 결과로 나타났다. 

 

출연자들의 진심, 스포츠예능을 바꾸다

<뭉쳐야 찬다>가 이런 성과를 거두게 된 건, 이 프로그램이 보여준 스포츠에 대한 남다른 자세 덕분이다. 사실 축구, 농구, 야구 같은 스포츠를 소재로 한 예능 프로그램들은 2000년대 초반부터 지금껏 꾸준히 등장한 바 있다. KBS는 공영방송으로서 다양한 스포츠들을 예능프로그램의 소재로 다뤘다. 유소년축구를 지원해 실제로 성과로까지 만들었던 <날아라 슛돌이(2005)>, 연예인 야구단을 방송으로 끌어안았던 <천하무적 야구단(2009)>, 생활스포츠를 진흥하겠다는 기획의도로 전국을 다녔던 <우리동네예체능(2013)>, 그리고 축구 미생들의 완생 도전을 담았던 <청춘FC(2015)> 등이 그 사례들이다. 하지만 당시만 해도 이들 스포츠 예능들은 생각만큼 방송으로서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각본 없는 드라마’라 불리는 스포츠보다 예능적 요소가 가미된 스포츠예능이 재미없다는 평가를 받곤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2019년 <뭉쳐야 찬다>를 기점으로 스포츠예능은 예능이 아닌 ‘스포츠’에 방점을 찍으며 주목받기 시작했다. KBS <씨름의 희열>은 대중적인 인기가 식은 씨름을 오디션 형식으로 끌어안아 이 스포츠의 맛을 제대로 선사하며 시청자들의 눈도장을 찍었다. 이후 서장훈이 감독을 맡아 ‘진짜 농구’의 맛을 보여준 SBS <핸섬 타이거즈>, 박찬호와 이영표가 생활스포츠에 도전하는 <축구 야구 말구> 등에 이어 여자축구로 큰 화제를 불러일으킨 SBS <골 때리는 그녀들>까지 이어지면서 스포츠예능의 붐이 만들어졌다. 특히 개그맨부터 모델, 배우 등등의 연예인들이 팀을 꾸려 여자축구에 도전한 <골 때리는 그녀들>은 발톱이 빠져도 온몸이 멍이 들어도 뛰고 또 뛰는 출연자들의 진심으로 시청자들의 호평을 받았다. 

 

무엇이 시청자들의 반응을 바꿔놓았나

올림픽 같은 스포츠 제전을 통해 우리가 새삼 확인하는 건 스포츠가 그 자체로 충분한 재미요소들을 갖고 있다는 사실이다. 긴장감 넘치는 승부의 세계는 물론이고, 팽팽한 대결구도와 승패가 갈라졌을 때 터져 나오는 감정들, 그리고 승패와는 무관하게 최선을 다하는 선수들이 주는 감동 등등. 스포츠는 이미 스포츠 자체로 충분하다. 그러니 굳이 예능 프로그램이 스포츠를 소재로 가져왔다고 해서 예능적 요소들에 집착할 필요가 없다. 최근 스포츠예능들이 다시 주목을 받고 또 인기를 얻고 있는 건 바로 이 예능에 대한 강박을 지워냈기 때문이다. 

 

물론 그렇다고 예능적 요소가 아예 없는 건 아니다. 예를 들어 <뭉쳐야 찬다2>에서 이번 시즌에도 ‘살아남은 선수들’을 소개하고 또 오디션 형식으로 새 선수들을 기용하는 과정은 다분히 예능의 요소들을 갖고 있다. 하지만 중요한 건 그 목적이다. 예능적 요소가 들어간다 해도 그 목적은 온전히 ‘선수단 구성’이라는 스포츠 자체의 과정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또 <씨름의 희열>에서 기존 씨름 대회와 달리 선수들을 오디션 출연자들처럼 특장점과 매력을 담은 짦은 영상스토리로 구성해 소개한 후 경기를 보여주는 방식은, 실제 경기의 묘미를 더욱 즐길 수 있게 해주는 목적에 맞춰져 있다. 따라서 오히려 씨름 대회보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씨름의 희열’을 느끼게 됐다는 반응이 쏟아져 나왔다. 영상 연출이나 자막도 마찬가지다. 실제 경기라면 어떤 한계가 분명한 연출과 자막은 예능 프로그램이라는 자유도를 통해 더 경기를 재밌게 즐길 수 있게 도와준다. 결국 예능적 장치들이 온전히 스포츠를 더 즐길 수 있는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는 점이 관건이 됐다. 여기에 그 스포츠를 대하는 출연자들의 진정성 있는 자세까지 더해지면 스포츠예능은 스포츠중계가 미처 보여주지 못한 재미를 담보하며 펄펄 날게 된다. 

 

최근 스포츠예능은 SBS <편먹고 공치리>, JTBC <세리머니 클럽>, MBN <그랜파> 같은 골프예능의 트렌드로까지 넓혀지고 있다. 여기에는 코로나19로 인해 주춤해진 스포츠중계에 대한 갈증도 영향이 적지 않다. 또한 예능이 새로운 소재나 문법을 찾아내지 못한 탓도 있다. 하지만 적어도 스포츠예능의 급성장을 통해 알 수 있는 건, 스포츠 자체의 맛이 막강한 힘을 갖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걸 온전히만 드러낼 수 있다면 당분간 스포츠예능 트렌드는 힘을 발휘할 것으로 보인다. (글:시사저널, 사진:JT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