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그래도 행복하자... 시대와 대결하는 김태리, 남주혁의 청춘멜로 본문

동그란 세상

그래도 행복하자... 시대와 대결하는 김태리, 남주혁의 청춘멜로

D.H.Jung 2022. 2. 17. 16:40
728x90

김태리, 남주혁의 청춘멜로, 1998년을 소환한 까닭(‘스물다섯 스물하나’)

스물 다섯 스물 하나

‘응답하라 1998’이 아닐까. tvN 토일드라마 <스물다섯 스물하나>는 오프닝에 90년대 풍경과 더불어 당대의 추억과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복고적 영상을 선보였다. 마치 옛날 드라마를 보는 것만 같은 톤 앤 매너를 연출적 포인트로 삼은 것. 신원호 감독의 <응답하라 1997>이 떠오르는 건 당연하다. 당시 <응답하라 1997>도 PC통신의 접속 장면과 신호음을 오프닝에 담아 당대의 추억 속으로 시청자들을 이끌었기 때문이다. 

 

<스물다섯 스물하나>는 1998년을 시대적 배경으로 가져왔다. 이 시대적 배경이 중요한 건 IMF라는 사건(?)에 의해 여기 등장하는 청춘들, 나희도(김태리)와 백이진(남주혁)의 삶이 통째로 흔들리는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네 꿈을 뺏은 건 내가 아냐. 시대지.” 이렇게 말하는 코치의 말 속에 이 시대의 무게감이 느껴진다. 나희도는 다니던 학교 펜싱부가 사라지게 되면서 어려서부터 꿈이었던 펜싱을 더 이상 못하게 될 위기에 처하고, 백이진은 아버지의 사업 실패로 가족이 뿔뿔이 흩어지고 홀로 살아남아야 하는 생존 상황에 놓이게 됐다. 

 

그래서 1998년을 떠올리게 하는 풍경들이 드라마 속에 담겨진다. IMF도 그렇지만, 만화 풀하우스, 미국 직배 영화에 맞서 스크린쿼터를 요구하는 영화인들의 시위, PC통신, 비디오 플레이어, 금 모으기 운동, 더블데크, 만화 대여점... 풍경만으로도 당대로 기억을 소환시키는 소품들과 광경들이 <스물다섯 스물하나>에 채워진다. 현재 너무 치열해진 경쟁사회에 코로나19까지 더해져 갑갑한 청춘들의 현실을 떠올려 보면 IMF가 막 터진 그 때가 오히려 좋았던 시절이라는 향수를 불러일으킨다. 여러모로 90년대, 그 중에서도 IMF를 전후한 시기는 복고를 담는 콘텐츠들에는 막강한 힘을 발휘한다는 걸 이 드라마도 여지없이 보여준다. 

 

그런데 이 시대가 주는 무게감과는 사뭇 상반되게 <스물다섯 스물하나>는 청춘멜로가 갖는 풋풋함과 설렘, 밝고 명랑한 분위기가 가득하다. 그 이유는 나희도가 당대의 이런 어수선한 분위기에 대해 던지는 대사 속에 담겨 있다. “사람들은 무언가를 잃어가나 보다. 그치만 나랑은 상관없는 어른들의 일이다. 난 뭔가를 잃기엔 너무 열여덟이니까. 내가 가진 것들은 잃을 수 없는 것들이다. 예를 들면 꿈, 동경.” 즉 이 나희도나 백이진 같은 청춘들은 시대의 무거움과 마치 정면승부를 펼치겠다고 선언하는 것 같은 발랄함을 보여준다. 

 

나희도의 이런 발랄함과 생기 넘치는 에너지는 빵빵 터지는 코믹한 상황들을 통해 시청자들에게 유쾌하게 전해진다. 백이진과 처음 만나게 되는 순간부터가 그렇다. 생계를 위해 신문배달 아르바이트를 하는 백이진이 던진 신문에 오줌 누는 소년상의 성기 부문이 잘려나가자 따지는 나희도의 대사는 빵빵 터지는 웃음과 더불어 이 엉뚱발랄한 캐릭터를 잘 드러낸다. “신문사절 안보여? 신문을 사절한다는데 왜 사절을 안 해서 가만있는 애를 고자로 만드냐고?”

 

펜싱부가 사라지자 자신이 동경하는 고유림(보나) 선수가 있는 태양고로 전학을 가고픈 나희도가 사고를 쳐서 강제전학을 하려던 계획이 번번이 수포로 돌아가는 에피소드들도 큰 웃음을 선사한다. 패싸움에 뛰어들어 펜싱 실력으로 남자들까지 제압하지만, 정작 자신이 붙잡히게 되길 원해 부른 경찰들이 자신은 놔두고 도망치는 친구들만 뒤쫓자 툭 던지는 한 마디가 그렇다. “잡히려면 도망가야 되는구나.”

 

또 펜싱을 고집하는 나희도와 말다툼을 하다 대여점에서 빌려온 풀하우스를 엄마가 찢어 버리자 찢겨진 부분을 손으로 그려 붙여 대여점에 몰래 되돌려주려다 백이진에게 딱 걸리는 에피소드도 마찬가지다. 백이진 앞에서 무슨 말을 하는 지도 알 수 없게 우는 나희도의 모습도 우습지만, 그가 그려놓은 엉성한 그림과 ‘외않되...?’라고 잘못 쓴 대사에 키득키득 웃는 백이진의 모습도 빵빵 터진다. 

 

하지만 백이진에게 드리워진 ‘시대의 그늘’은 그가 감당하기에는 너무나 크고 무겁다. 아버지 사업의 부도로 피해를 입은 업체 아저씨들이 찾아와 그에게 아버지 때문에 겪는 어려움을 토로할 때 백이진은 이렇게 말한다. “저도 절대 행복하지 않을 게요. 아저씨들 고통들 생각하면서 살겠습니다. 정말 죄송합니다. 제가 어떤 순간에도 정말, 어떤 순간에도 정말 행복하지 않을 게요. 정말 죄송합니다.”

 

마침 그 순간 우연히 그 광경을 보게 된 나희도는 슈퍼 앞 평상에 앉아 ‘함부로’ 백이진의 그 무거운 현실을 툭툭 꺼내놓으며 과거 학창시절 방송반에서 잘 나가던 그 백이진과 너무 다르다고 말한다. 어찌 보면 무례할 수 있는 그 ‘함부로’ 던지는 발언을 그러나 백이진은 좋다고 말한다. 그 이유는 그렇게 아무렇게나 말할 수 있는 나희도를 통해 자신에게도 있었던 그 시절이 떠올라서다. “너 보면 내 생각이 나. 열여덟의 나 같애.” 그는 그 때로 절실히 돌아가고 싶어 한다. 그는 심지어 그 때의 ‘걱정들’이 그립다고 한다. “뭐 숙제가 너무 많고, 방송부 선배들이 너무 무섭고 축제 때 무대에서 실수할까봐 뭐 좋아하는 여자애가 나 안 좋아할까봐 뭐 그런 걱정.”

 

당대에는 하늘이 무너질 것처럼 힘들게 느껴졌지만 지나고 나면 그 때의 ‘걱정들’조차 그리워지는 어떤 시기가 온다는 것. <스물다섯 스물하나>는 스물둘이 열여덟을 만나 위로를 받는 이야기다. 그건 장차 스물다섯 스물하나에 그 때를 이야기하며 그 걱정들조차 그리워하는 어떤 순간들을 불러올 거라는 예감을 만든다. 

 

“우리 가끔 이렇게 놀자. 싫어도 해. 선택지 없어 해야 돼. 네가 그 아저씨들한테 그랬잖아. 앞으로 어떤 순간도 행복하지 않겠다고. 난 그 말에 반대야. 시대가 다 포기하게 만들었는데 어떻게 행복까지 포기해? 근데 넌 이미 그 아저씨들하고 약속했으니까. 이렇게 하자. 앞으로 나랑 놀 때만 그 아저씨들 몰래 행복해지는 거야.”

 

즉 1998년의 IMF 상황이라는 무거운 시대의 분위기를 가져왔지만 드라마는 청춘의 풋풋함으로 그 ‘시대와 대결하는’ 듯한 건강함을 보여준다. 이 청춘멜로가 시청자들의 시선을 잡아끄는 건 코로나19로 인해 가뜩이나 힘겨운 현실에 잠시 동안이나마 시간을 되돌려 숨 쉴 틈을 제공하고 있어서다. 그런데 왜 하필 1998년이라는 시대적 상황이었을까. 

 

그것은 IMF로 인해 암울하기 그지없었던 그 시대 역시 결국 잘 지나왔다는 사실을 통해 현재에 던지는 위로가 크기 때문일 게다. 하지만 그것만큼 의미 있어 보이는 건, 마치 어디로 갈지 알 수 없었던 청춘의 시대를 거쳐 이제 중년으로 가고 있는 우리 사회가 이제 그 시기를 되돌아보고픈 청춘의 시대로 인식하고 있어서다. <스물다섯 스물하나>는 그래서 지금의 청춘들에게 어려운 시기는 어느 때나 지나간다는 위로를 건네고, 지금의 중년들에게는 잊고 있던 그 때의 에너지를 다시금 떠올리게 해주고 있다. (사진:tv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