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음악, 미술, 역사, 당신의 수목드라마 1교시는?

728x90

‘베토벤 바이러스’ vs ‘바람의 화원’ vs ‘바람의 나라’

수목드라마 대전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클래식이라는 새로운 소재를 다루는 MBC의 ‘베토벤 바이러스’, 신윤복과 김홍도의 삶과 사랑을 다루는 SBS의 퓨전사극 ‘바람의 화원’, 대무신왕 무휼의 일대기를 그린 KBS의 ‘바람의 나라’가 그것. 모두가 야심찬 기획이 돋보이는 대작드라마로 드라마를 좋아하는 분들이라면 어느 것 하나 놓치고 싶지 않을 만한 작품들이다. 눈에 띄는 것은 이 드라마들이 각각 음악, 미술, 역사를 다루고 있다는 점. 그만큼 최근 우리네 드라마들이 소재의 다양화와 함께 전문화가 이뤄지고 있다는 반증이다. 음악과 미술 그리고 역사, 이 팽팽한 수목드라마 학기에 당신이 먼저 보고픈 1교시는 어떤 것인가.

음악시간 - 오케스트라로 표현되는 꿈의 앙상블
음악시간을 맡고 있는 ‘베토벤 바이러스’가 그리고 있는 것은 음악을 매개로 한 사람들의 이야기다. 음대를 졸업했지만 남편과 자식 뒷바라지로 살아온 아줌마 첼리스트 정희연(송옥숙). 술좌석에서나 여흥을 돋우는 연주를 하는 공무원 바이올리니스트 두루미(이지아). 천재지만 그 사실을 모르고 경찰생활을 해온 강건우(장근석).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연주기회를 갖지 못하는 오보에 주자 김갑용(이순재). 밤무대 연주자 배용기(박철민). 재능은 있지만 돈이 없어 음악공부를 하지 못하는 하이든(쥬니). 모두가 어딘지 하나씩 부족한 인물들이 오케스트라 연주를 위해 모이게 된다. 아이러니하게도 이들을 조련할 지휘자는 완벽주의자 강마에(김명민)다.

이들은 모두 악기를 들고 있지만 그 뒤에 각자의 이야기들을 갖고 있다. 이것은 부족한 단원들뿐만 아니라 완벽주의자 강마에도 마찬가지다. 그는 천재인 정명환(김영민)과의 오랜 경쟁관계를 가져왔다. 단원들이 각자 자신의 사연 속에서 음악을 통해 얻어가야 할 그 무엇이 있는 것처럼 강마에도 천재적인 재능보다 열정과 노력으로 이루어내는 성과가 가치가 있다는 것을 정명환에게 증명하고 싶은 것이다. 따라서 오케스트라 연주는 이 이야기들의 앙상블이 그 짧은 시간 속에 하나로 엮이는 과정이다. 이 음악시간이 베토벤과 모차르트, 브람스 같은 클래식 감상 그 이상의 재미를 주는 것은 그 때문이다.

역사시간 - 새로운 고구려 사극, ‘바람의 나라’
역사시간은 그간 꾸준히 관심을 받았던 고구려사의 원조격이라 할 수 있는 김 진 원작의 ‘바람의 나라’다. 92년도 연재되기 시작하면서 고구려 열풍의 진원지로 자리한 ‘바람의 나라’는 사실상 ‘주몽’으로 시작된 고구려 사극의 발원지라 할 수 있다. 작년 드라마화된 ‘태왕사신기’는 ‘바람의 나라’ 원작을 표절했다는 논란이 벌어지기도 했다. 그만큼 이 작품에 대한 세간의 관심이 높다는 반증이다. 이것은 또한 그만큼 부담도 크다는 말이다. 드라마화 하는 과정에서 당연히 발생하는 재해석을 두고 원작과 자꾸 비교되는 것은 그 때문이다.

하지만 사극으로서의 ‘바람의 나라’는 분명 과거 여타의 고구려 사극과는 달라진 면모를 보이고 있는 게 사실이다. 역사에서 그다지 조명되지 않았던 대무신왕 무휼을 다루고 있으며, 왕의 카리스마 넘치는 모습과 함께 한 인간으로서의 고민 같은 것을 사극의 틀 안에 녹여 넣고 있다. ‘연개소문’처럼 고구려가 주는 뉘앙스에 짓눌려 무리한 스펙터클을 보여주려 하지도 않고, ‘주몽’처럼 전쟁에서조차 전투전 규모의 액션을 보여주는 식의 시행착오를 보여주지도 않는다. 어느 정도 안정된 느낌을 주는 이 역사시간을 통해 고구려의 또 다른 면모를 느낄 수 있지 않을까. 역사 자체만으로도 흥미를 끄는 ‘바람의 나라’다.

미술시간 - 그림으로 표현되는 섬세한 감정들
미술시간에는 김홍도, 신윤복이라는 이름만 들어도 누구나 관심을 끌만한 두 천재화가의 그림이 있다. 동시대에 같은 도화서에서 활동했던 그들에 대해 이 사극은 도발적인 해석을 하고 있다. 신윤복이 여성이었으며, 그들은 서로 사랑하는 사이였다는 것. 실제로 많은 그림들이 그 미묘한 감정들을 증명하고 있는데, 이 사극이 주목하는 것은 바로 그 그림이다. 말로 표현하는 것보다 더 강렬한 마음의 표현, 그것은 어쩌면 한 폭의 그림이 전하는 수만 가지의 감정들이 아닐까.

‘바람의 화원’은 사극이지만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새로운 사극이 될 것으로 보인다. 영화 ‘취화선’같은 작품을 통해 우리네 그림이 갖는 영상미와 그네들의 드라마틱한 삶이 영상물의 훌륭한 소재가 된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바이다. ‘이산’에서 일부 도화서의 이야기가 다루어지기도 했지만, 그것은 일부분이었다. ‘바람의 화원’은 바로 그 우리네 그림의 이야기를 김홍도, 신윤복이라는 두 거장의 삶을 통해 들여다보는 사극이다. 대부분 전쟁이나 전투가 벌어지는 남성 중심적인 사극들 사이에서 이 사극은 아마도 가장 여성적인 사극이 되지 않을까. 미술시간이 유독 기대되는 대목이다.

음악과 미술 그리고 역사를 다루고 있는 이 세 편의 드라마들은 각각의 개성들이 넘치는 작품으로 시청자들에게 수목의 밤을 고민하게 만든다. 어느 것 하나 버리기 아까운 작품들. 하지만 IPTV 같은 디지털 방송시대에 걱정할 필요가 있을까. 1교시 끝나고 2교시, 3교시를 즐기면 그만이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