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우리 식의 법정드라마 ‘신의 저울’의 가치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우리 식의 법정드라마 ‘신의 저울’의 가치

D.H.Jung 2008. 10. 17. 00:42
728x90

법정드라마는 어떻게 우리 식 정서와 만났을까

법정드라마에는 반드시 피해자와 가해자 그리고 그 피해자를 돕는 법조인이 등장하기 마련이다. 이것은 ‘신의 저울’에서도 다르지 않다. 거기에는 사랑하던 여자친구가 살해당하고 그 살인범으로 누명까지 썼으며, 그를 대신해 범인을 자청해 교도소에 들어간 동생을 둔 피해자 장준하(송창의)가 있고, 과실치사지만 그 사실을 은폐함으로써 장준하의 가족이 불행의 구렁텅이로 빠지게 만든 가해자 김우빈(이상윤)이 있다.

신의 저울은 공평하지 않다는 전제
하지만 ‘신의 저울’이 평범한 법정드라마의 공식을 따르는 건 여기까지다. 이 피해자가 어떻게 법으로써 구원을 받는가의 문제라든가, 가해자가 어떻게 그것을 은폐하려 하는가의 문제는 공식을 벗어나 있다. 피해자인 장준하가 선택하는 것은 법조인, 즉 검사가 되는 것이다. 즉 ‘신의 저울’은 피해자가 법조인의 도움을 받는 드라마가 아니라 피해자 스스로 법조인이 돼서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드라마다.

그런데 아이러니한 것은 가해자인 김우빈(이상윤) 역시 진실을 은폐하기 위해 선택하는 것이 법조인으로서의 권력과 지식이라는 사실이다. 법을 통해 한 명은 진실을 밝히려하고 다른 한 명은 진실을 은폐하려 한다. 이것이 말해주는 건 법이 멀쩡한 사람을 살인자로 둔갑시키기도 하고 또 정반대로 만들기도 한다는 것이다. 굳이 장준하의 가족이 겪는 고통을 들지 않더라도 이러한 법을 사이에 두고 벌이는 대결구도 자체는 ‘신의 저울’이 공평하지 않다는 이 드라마의 전제를 말해준다. 이것은 이 드라마가 법을 통해 보는 현실의 문제의식이기도 하다.

신의 저울 위에 얹어지는 관계라는 무게의 추
‘신의 저울’이 독특한 것은 법정 드라마에 우리네 멜로나 가족드라마의 관계 코드를 연결시켰다는 점이다. 장용하의 사건을 두고 벌어진 모의법정에서 유죄냐 무죄냐를 두고 갈라진 김우빈과 장준하 사이에서 판결을 내려야 하는 영주(김유미)는 갈등한다. 김우빈은 간교하게도 영주의 환심을 사기 위해 결혼 이야기를 꺼내고, 그런 사실을 다 알고 있는 김우빈의 어머니인 송여사(김서라) 역시 이를 부추긴다.

눈을 가린 채 ‘신의 저울’을 들고 있는 정의의 여신처럼 공평해야할 영주에게 그 가린 헝겊을 벗겨내고 자신 쪽을 바라보게 만드는 김우빈이라는 캐릭터는 어쩌면 지금 우리의 법 현실을 말해주는 것인지도 모른다. 전형적인 삼각관계의 멜로 드라마와, 어울리지 않는 양가의 결혼을 중심테마로 하는 우리네 가족드라마의 틀은 ‘신의 저울’로 들어와서 이처럼 전혀 다른 수단으로 활용된다. 그리고 그것은 우리 사회가 법이라는 잣대보다는 관계와 지위, 권력 등에 의해 움직인다는 것을 우회적으로 보여준다.

세련되지는 않지만 우리의 법 현실을 고민한 흔적
‘신의 저울’이 할리우드의 법정드라마처럼 쿨하게 보이지 않는 건, 바로 이런 법 집행에 있어서의 관계의 문제를 멜로드라마와 가족드라마의 틀 안에서 풀어내기 때문이다. 자식의 죄를 덮기 위해 힘있는 로펌과 사돈을 맺으려는 빗나간 모정, 사랑하는 연인의 애정공세 앞에 흐려지는 판단력, 무엇보다도 가난을 이겨내기 위해 고시를 준비하는 주인공과 그를 헌신적으로 돌보는 여자라는 설정 같은 것들은 법정드라마처럼 보다 전문적이고 세련될 것 같은 소재와는 사뭇 어울리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왕의 아들이 거지를 죽였을 때와 거지가 왕의 아들을 죽였을 때는 절대로 똑같을 수가 없다”는 노세라(전혜빈)의 말처럼 어쩌면 바로 이런 신파적이고 얼기설기 엮어진 관계망 속에서 허우적대는 것이 우리네 진짜 법 현실인지도 모른다. ‘신의 저울’이 의미가 있는 것은 그저 서구의 세련된 법정드라마를 흉내내기보다는 조금은 구닥다리라도 우리 식으로 그것을 풀어내려 했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