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짝귀라는 좋은 패 쥔 ‘타짜’, 판세 바꿀까

728x90

짝귀, 드라마 ‘타짜’가 가진 선악구도를 깰 수 있을까

‘타짜’에 새롭게 투여된 짝귀(조상구)는 드라마에 새로운 활력을 줄 수 있을까. 그 결과는 알 수 없지만 짝귀가 적어도 지금까지 들고있던 ‘타짜’의 패 중 가장 좋은 패라는 것은 분명하다. 먼저 드라마 ‘타짜’가 지금까지 들었던 나쁜 패들은 어디에서 비롯된 것일까.

그 진원지는 분명한 선악구도다. 본래 ‘타짜’ 원작이 가진 가장 큰 힘은 선악구도를 뛰어넘는 인간욕망의 집합체로 도박을 그렸다는 점이다. 이 작품의 제목이 ‘도박’이 아니고 ‘타짜(도박판에서 기술로 남을 속이는 자)’인 것을 다시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선도 없고 악도 없는 그 상황을 영화는 잘 그려냈다. 주인공인 고니 못지 않게 아귀와 정 마담 같은 욕망의 화신들이 열광적인 환호를 받았던 것은 그 때문이다.

하지만 드라마 ‘타짜’는 선악 자체가 불분명한 타짜의 세계에 그 선악구도를 끼워 넣는다. 그것이 드라마라는 한계 때문에 그렇게 한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이것은 패착이다. 평경장(임현식)과 고광열(손현주), 그리고 작두 대호(이기영)는 착한(?) 타짜이고, 아귀(김갑수)와 정마담(강성연) 그리고 영민(김민준)은 나쁜(?) 타짜다. 나쁜 타짜들이 돈에 대한 욕망으로 도박에 손을 댔다면, 평경장과 대호는 은퇴한 자이며, 고광열은 생계형 타짜이고, 고니는 복수의 방법으로서 도박에 손을 대게 되는 타짜로 그려진다.

‘타짜’가 도박의 세계를 다루고 있기 때문에 선악 구도를 세워두면 그 결과가 뻔해진다. 결국은 선이 이기고 악은 지게 된다는 스토리가 그 구도 속에서 미리 읽혀지기 때문이다. 시청자들에게 너무 쉽게 패가 읽히게 되는 이 구도는 긴장감을 앗아가 버리는 동시에 리얼리티마저 손상시킨다. 도박이라는 강력한 욕망 앞에는 적도 없고 아군도 없는 그런 상황이 진짜 리얼한 상황이다.

영화 ‘타짜’에서는 정 마담이 그 중간 역할을 잘 해줬다. 즉 아귀와 고니의 대결이 박빙일 때, 그 결정적인 승부의 패를 정 마담이라는 이 편도 저 편도 아닌 인물에게 던짐으로써 그 결과를 알 수 없게 만들어버린 것이다. 하지만 드라마 ‘타짜’에서 정 마담(강성연)은 그렇게 매력적인 캐릭터로 자리하지 못하고 있다. 영민을 사랑하는 그런 모습은, 사랑마저도 도박 설계의 한 무기로 사용하던 정 마담의 캐릭터를 약화시킨다.

반면 새롭게 등장한 짝귀는 저 스스로 고니에게 밝히듯 “적이 같은 아귀일 뿐, 절대로 자신을 믿지 말라”고 할 정도로 어떤 중간지대를 밟고 있다. 이렇게 되면 지금까지의 양자 구도는 새롭게 삼자 구도로 재편될 가능성을 만들게 된다. 마치 삼국지의 조조와 맞서기 위해 유비와 손권이 일시적으로 손을 잡는 그런 형국이 되는 셈이다.

짝귀가 진짜 좋은 패라는 것은 그 캐릭터가 ‘타짜’의 재미 그 이상을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을 갖기 때문이다. 도박을 소재로 하는 드라마에서 자칫 선악구도는 그 도박의 위험성 자체를 상쇄시킬 수 있다. ‘타짜’가 도박을 내세워 그 위의 욕망에 굴절된 인간군상이 가진 다양함을 그려내고 또 그를 통해 어떤 관조적인 입장까지를 담을 수 있으려면 적어도 욕망 앞에 승자도 패자도 없는 그 리얼한 상황을 그려내야 한다. 선악구도가 만들어내는 영웅은 그만큼 위험하다는 말이다.

물론 짝귀라는 좋은 패를 가졌다고 해서 ‘타짜’가 그 판을 따낼 수 있다는 것은 아니다. 마치 고니의 귀환을 위한 한 때의 캐릭터로 다뤄지다가 은근슬쩍 사라져버리거나 해버린다면 짝귀는 아무 것도 아닌 패로 전락할 수도 있을 것이다. ‘타짜’는 분명 짝귀라는 좋은 패를 잡았다. 하지만 제대로 된 레이스(게임진행)를 하지 못한다면 그것은 그저 버려지는 패만도 못한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