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강마에가 살아야 ‘베바’가 산다

728x90

억지스런 멜로와 대결구도가 ‘베토벤 바이러스’를 망친다

‘베토벤 바이러스’가 주목받게 된 것은 강마에(김명민)의 출연과 함께였다. 그가 수면제를 먹고 쓰러진 애완견 베토벤을 향해 “토벤아!”하고 외치는 순간, 드라마의 호감도는 급상승했고, 그가 늦깎이 아줌마 챌리스트 정희연(송옥숙)을 향해 거침없이 “똥.덩.어.리.”라고 얘기하는 그 순간 우리는 그 바이러스에 감염되었다. ‘베토벤 바이러스’는 사실상 강마에, 아니 김명민 바이러스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이 긴장감이 빠지기 시작했다. 그것은 정확히 강마에와 두루미(이지아)와의 멜로 라인이 구축되기 시작하면서부터다. 사실 이 삼각관계, 즉 강마에-두루미-강건우(장근석)의 멜로 구도는 애초부터 그 무리함을 우려하는 목소리들이 많았다. 두루미에게 어떤 식으로든(그것이 겉으로는 독설이라도) 애정표현을 하기 시작하는 강마에는 그 캐릭터가 흔들릴 수밖에 없다. 버럭 대며 사랑하는 캐릭터는 이제 좀 식상해진 경향이 있다.

게다가 멜로는 그저 애정관계만을 드라마에 짐 지우지 않는다. 거기에는 대결구도가 예고되어 있다. 강마에와 강건우가 두루미를 사이에 두고 벌이는 눈에 보이지 않는 애정대결은 드라마 속 사건의 대결로 연결된다. 강마에와 강건우는 곡 해석을 가지고 부딪치지만 그 기저에는 두루미의 그림자가 꿈틀거린다. 하지만 이 강마에와 강건우의 대결구도는 초반부에 보여주었던 이 드라마의 대결구도보다 참신하지 못하다.

초반의 대결구도는 강마에와 오합지졸 오케스트라 단원들의 대결이 있었고, 또 그 위에 결국 강마에가 맡게 되는 오케스트라와 세상과의 대결구도가 있었다. 이 구도 속에서 강마에는 살아 움직일 수 있었다. 즉 오케스트라 단원들의 압제자이기도 하지만 세상과의 대결 속에서 단원들의 보호자가 되기도 하는 것. 강마에는 그 스스로 현실이 되어 단원들에게 자신을 넘어보라고 도발하는 존재로 서게 된다.

하지만 강마에와 오케스트라를 대변하는 강건우의 대결은 너무 멜로 중심과, 천재와 비천재의 대결로 흐르고 있다. 강건우가 천재이고 그 천재를 질투하는 강마에의 이야기는 모차르트와 살리에르를 다루던 ‘아마데우스’에서는 재미있었을지 모르지만 이 드라마가 하려던 이야기와는 너무 벗어나 있다. 그것은 이 드라마를 열광케 만들었던 서민들의 꿈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다. 우리에게 성큼 다가왔던 클래식이라는 소재는 이 천재와 비천재의 대결구도로 가면 다시 저 멀리 달아나 버린다.

또한 아무리 천재라고 하더라도 이제 몇 달 클래식을 접하게된 강건우를 강마에가 스스로 질투한다고 밝히는 것은 현실성 자체가 떨어진다. 강건우는 사실상 강마에라는 망치질이 있어서 그 천재성이 발휘되는 존재로 기능할 때, 좀더 현실적인 면모를 띄게 된다. 특히 많은 오케스트라 단원들 속에 천재이면서도 평범하게 존재하고 있어야 그 캐릭터는 다른 캐릭터들을 가리지 않고 드라마의 주제를 끌어가면서도 재미를 주게 된다.

강마에와 강건우의 대결구도 속에서 만들어진 타 캐릭터들의 극단적인 설정 또한 문제가 있다. 두루미는 청력을 잃게 된다는 극단적 설정이 없었던 시기에는 능동적인 캐릭터였지만 지금은 그 무거움에 갇혀 캐릭터가 잘 드러나지 않게 되었다. 청력을 상실한 베토벤에서 모티브를 따왔다고 하더라도 이 이야기를 너무 무겁게 만들어버리는 두루미 설정은 드라마의 발랄함을 상쇄시킨다. 이것은 또한 치매를 앓고 있는 김갑용(이순재)에서도 똑같이 나타난다. 이들 캐릭터들은 질병이라는 지나친 설정에 갇혀 능동성을 잃어버렸다.

‘베토벤 바이러스’가 살려면 먼저 강마에를 살려내야 한다. 그러려면 멜로 구도를 끝내야 하고, 강마에와 강건우의 1대1 대결구도를 버리고 강마에와 단원들의 대결구도를 만들어내야 한다. 그리고 그 애증관계 위에서 사회적인 편견과 싸우는 모습들이 그려져야 한다. 이것이 ‘베토벤 바이러스’가 가진 중독적인 바이러스를 힘겹게 매일 매일을 살아가는 대중들과 나눌 수 있는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