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개그콘서트’의 이유 있는 승승장구

728x90

 편성 + 아이템 + 시스템

본래의 시간대였던 9시로 돌아온 ‘개그콘서트(이하 개콘)’의 상승세가 심상찮다. 올해 초 한 시간 뒤로 밀리면서 10% 초반대의 시청률에 만족하던 것이 이제 20%대를 넘어서고 있다. 불황에 개그 프로그램은 호황이라는 말이 있지만 경쟁 프로그램들인 ‘웃찾사’나 ‘개그야’가 고전하고 있는 상황에 ‘개콘’의 약진은 어딘지 특별해 보인다. 도대체 무엇이 ‘개콘’을 이렇게 특별하게 만드는 것일까.

9시 대로 돌아온 편성, 넓어진 시청층
‘개콘’이 주말 9시로 복귀되었다는 사실은 여러모로 의미가 있다. 프로그램 성격상 너무 늦은 시간대는 젊은 시청층들의 호응을 끌어내기가 어렵기 때문. 타방송사와의 뉴스와 겹치는 이 9시라는 시간대는 과거에도 ‘개콘’만이 가진 성공적인 편성 전략이었다. 주말의 뉴스라는 것이 주중의 그것과는 달라서 주목도가 그만큼 떨어지는 상황에, 요즘처럼 하수상한 뉴스들이 쏟아져 나오는 시기에는 차라리 ‘개콘’처럼 잠시 현실을 잊고 한바탕 웃기를 바라는 게 인지상정. ‘개콘’의 9시 복귀는 사회적 상황과 절묘하게 어우러져 그 힘을 제대로 발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SBS의 ‘웃찾사’는 시간대가 1시간 늦춰진 금요일 10시로 편성되었다. 사실상 금요일이라는 특수성, 즉 ‘주5일 근무제’시대를 맞아 대부분이 TV앞에 자리를 하지 않는 이 상황은 그 시간대에 편성된 프로그램들의 어려움을 예고한 바 있다. 경쟁작이 없는 금요일의 그것도 두 시간 연속 편성되는 금요드라마가 결국에는 폐지된 것은 이러한 상황을 에둘러 말해준다. 한편 MBC의 ‘개그야’는 토요일 12시까지 시간대가 밀려났다. 사실상 ‘개그야’의 전성기는 ‘주몽’이 시청률 패권을 쥐고 있을 때, 이어서 월요일 11시에 방영되던 때였다. 하지만 ‘주몽’이 끝나고 점점 시들해진 ‘개그야’는 편성에서 이리 저리 방황하는 유목민 신세가 되었다.

공감 아이템, 깊어진 공감대
‘개콘’만이 가진 강점은 실험적이면서도 동시에 공감할 수 있는 아이템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 ‘난... 했을 뿐이고!’라는 유행어로 주목받고 있는 안상태는 그 대표주자라 할 수 있다. 그는 답답하고 억울한 현 시대의 절박한 상황을 기자라는 입을 빌려 콕 집어냄으로써 대중들의 공감을 얻어냈다. 이밖에도 ‘황현희 PD의 소비자고발’은 과대포장되기 일쑤인 믿기 어려운 세상을 막무가내로 고발하는 그 까칠함을 통해 대중들의 밑바닥에 깔려있는 앙금을 속시원히 털어낸다.

‘도움상회’ 역시 사회적인 사건들에 대한 불만사항을 상조전문CF를 패러디해 비판하고 있으며, ‘로열패밀리’는 상류층인 척 행동하는 거지가족을 통해 한편으로는 현실의 어려움을 토로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거꾸로 상류층의 특권의식을 꼬집는다. ‘할매가 뿔났다’, 혹은 ‘박대박’같은 코너는 소통되지 않는 상황을 통해 웃음을 전달한다. 이처럼 ‘개콘’의 강점은 시대의 트렌드를 재빠르게 개그 코너로 끌어들이는 순발력에 있다.

보다 안정적인 시스템
‘개콘’이 이처럼 순발력 있는 대응을 할 수 있는 힘은 그 안정적인 시스템에서 나온다. 무대개그의 경쟁시스템을 최초로 도입한 ‘개콘’은 늘 새로운 아이디어들이 넘쳐난다. 단 몇 분 몇 초라도 자신을 내보이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이 시스템은 어찌 보면 개그맨들에게는 가혹한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개콘’은 이미 이 시스템을 통해 많은 스타들을 발굴한 전적이 있다. 박준형, 정종철, 정형돈, 유세윤 같은 무대 밖에서도 정력적으로 활동하는 스타들의 면면은 그대로 후배 개그맨들에게는 그 어떤 것보다도 강력한 자극이 된다.

게다가 경쟁만이 있는 것처럼 보이는 이 시스템에도 선후배 개념의 끌어주고 밀어주는 보이지 않는 손들이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시스템 자체를 좀더 공고하게 만들어주는 ‘개콘’만이 가진 힘이 아닐 수 없다.

‘개콘’의 승승장구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먼저 시기적으로 잘 맞아떨어진 편성시간대의 변경은 시청층이 세대별로 다양하게 존재하는 ‘개콘’에 힘을 실어주었다. 시청층은 그만큼 넓어졌다. 게다가 어려운 사회환경은 ‘개콘’만이 가진 순발력 있는 개그의 즉각적인 소재가 되어 주었다. 그만큼 공감의 폭은 더 깊어졌다. 그리고 오래 지속되면서 공고해진 시스템은 넓어진 시청층과 깊어진 공감대를 생산해내는 원천적인 힘이 되어 주었다. 이것이 웃음이 사라진 세상 속에서 더욱 웃겨진 ‘개콘’만의 인기비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