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이하나와 김광민 그 어색함이 좋은 이유 본문

옛글들/명랑TV

이하나와 김광민 그 어색함이 좋은 이유

D.H.Jung 2008. 12. 20. 02:24
728x90

‘페퍼민트’, 이하나와 김광민의 특별한 만남

순간 ‘수요예술무대’가 다시 돌아온 것 같았다. 이미 무대 위에 서있던 김광민은 이하나에게 앉으라고 권했고, 이하나는 어색한 듯 앉으며 “제가 게스트가 된 것 같네요”하고 말했다. 그 농담은 92년부터 2005년까지 무려 13년 간이나 수요일밤을 예술로 만들어주었던 ‘수요예술무대’의 진행자 김광민에 대한 이하나의 헌사였다.

‘수요예술무대’는 당시로서는 파격적으로 클래식이든 재즈든 팝이든 가요든 장르에 구애받지 않던 음악프로그램이었다. 장르는 달랐지만 그 다른 장르를 모두 품을 수 있는 무대가 있다는 것이 이 프로그램이 가진 가능성이었다. 그 프로그램은 무대 위에 올려지고 라이브로 펼쳐지는 음악과, 그 음악을 듣는 관객이 있다면 다른 것은 그렇게 중요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우리에게 보여주었다.

자신이 진행자로서 부족하다고 얘기하는 이하나에게 김광민은 자신이 13년 동안 했어도 지금의 이하나보다 못하고 어색했다고 말했다. 그건 사실이었다. 피아노 앞에 앉으면 그렇게 진지하고 멋진 모습을 보여주는 그는, 진행자의 자리에 서면 그렇게 수줍어하고 어눌한 사람이 있을까 싶을 정도로 어색해했다. 그런데 바로 그 점이 김광민을 대중들에게 깊이 각인시켰다.

그것은 김광민만의 얘기가 아니었다. 그것은 바로 ‘수요예술무대’라는 프로그램의 특징이 되었다. 놀라운 입담을 가진 진행자의 매끄럽고 재치 넘치는 멘트는 사실 음악프로그램의 사족과 같은 것이다. 중요한 것은 음악이고, 그 음악과 관객과 어떻게 교감하느냐였다. 김광민의 음악 속에서의 진지함과 진행자로서의 어눌함은 그런 면에서 ‘수요예술무대’가 가진 음악중심주의를 그대로 표방하고 있었다.

이것은 ‘페퍼민트’가 지향하는 것과도 같다. 이하나의 ‘페퍼민트’에는 잘 마련된 무대와 관객이 있다. 그러니 이 음악중심주의를 표방하는 프로그램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그 무대를 채워줄 음악인들이다. ‘페퍼민트’가 열어놓은 무대 위에는 재즈연주자도 있고 록커도 있고 포크 가수도 있고, 이름이 잘 알려지지 않은 인디 가수들까지 누구나 오른다. 이것이 가능한 것은 이 무대가 순위도 아니고 인지도나 인기도 아닌 오로지 음악을 통한 소통을 위해 마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하나는 진행자로서 어색하다. 진행자가 관객과 시청자들을 대신해서 무대에 오른 음악인들을 만나는 역할을 갖고 있다면 어색함은 어쩌면 불편함을 주는 행위로 받아들여질 수도 있다. 하지만 이하나의 어색함에는 다른 것이 있다. 음악하는 사람들에 대한 과한 존경과 애정에서 그것이 비롯된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것은 어쩌면 저 ‘수요예술무대’의 김광민이 보여주었던 어색함과 맞닿는 부분인지도 모른다.

미니콘서트를 하던 김종서가 객석에 앉아있는 이하나에게 말했다. “이런 프로그램은 처음이네요. 왜 거기 가 앉아 있어요?” 그러자 이하나는 “미니 콘서트에는 저도 관객의 한 명이니까요”라고 말했다. 김종서 옆에서 기타를 치던 김태원이 옳다며 한 마디 의미심장한 말을 거들었다. “예. 좀 그렇게 들어줘야 합니다.” 그리고 이어지는 이하나의 이 프로그램의 성격을 정리하는 듯한 마지막 멘트. “뮤지션을 향한 페퍼민트의 무한한 애정은 계속됩니다.” 이하나는 그렇게 ‘페퍼민트’의 향기가 되어가고 있고, 그 기분 좋은 향기는 음악을 타고 차츰 세상으로 퍼져가고 있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