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이다해가 말해주는 발호세의 실체

728x90

연기력 논란보다는 캐릭터 논란

도무지 드라마 속 캐릭터에 몰입을 할 수 없다면, 그것은 연기력의 문제인가 아니면 캐릭터 자체의 문제인가. 이것은 언뜻 보면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하는 문제처럼 들린다. 그만큼 판정하기가 애매모호하다는 것이다. 아무리 좋은 캐릭터라도 연기자가 소화해내지 못하면 그 캐릭터는 살지 못한다. 거꾸로 아무리 좋은 연기자라도 캐릭터가 좋지 못하면 시청자들에게 공감을 얻어낼 수 없다. 그 캐릭터를 살려낼 수 없다는 말이다.

‘에덴의 동쪽’에서 이다해는 꽤 괜찮은 연기력을 보였다. 이다해의 전작들이 조금은 코믹한 가벼운 캐릭터들이었던 반면, 이 작품 속의 민혜린은 꽤 진지한 정극의 연기를 필요로 한다. 이다해가 갑자기 더 이상 작업을 함께 할 수 없다는 의사를 표하기까지 그 누구도 그녀의 연기력을 가지고 문제를 삼은 이는 없었다. 그런데 오히려 이다해 자신이 더 이상 극중 캐릭터인 민혜린을 도무지 이해할 수 없다며 사의를 표했다.

이것은 어쩌면 애초부터 예고되어 있었던 것이었는지도 모른다. 민혜린이라는 캐릭터는 면밀히 살펴보면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행보를 걸어왔던 것이 사실이다. 그녀는 극 초반에 한세일보 회장 딸이지만 천덕꾸러기 신세로 아버지에게 돌팔매질을 하듯 반항하던 인물이었는데, 지금은 거꾸로 그 한세일보의 실질적인 주인 역할을 하고 있다. 더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은 민혜린의 언니인 혜령의 남자 백성현(박성웅)이 왜 그녀를 짝사랑하고, 그로 인해 언니는 정신병원까지 가게 됐느냐는 점이다. 이 설정은 극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 이제 백성현이나 혜령 같은 캐릭터는 극중에서 사라져버린 지 오래다.

또 민혜린은 함께 노동운동을 하면서 만난 이동욱(연정훈)과 연인관계가 되는 듯 보였으나 어느 순간 친구관계로 돌아섰고, 마치 기다렸다는 듯이 그 형인 이동철(송승헌)을 짝사랑을 하게 된다. 우연이 겹치는 것도 이해할 수 없지만 이처럼 사랑을 남발하는 민혜린이라는 캐릭터는 그 사랑에서 어떠한 결실도 얻지 못한 존재다. 혼자 사랑하고 혼자 떠나 보내주며 또 혼자 짝사랑하는 식이다. 사랑의 결실이 아니라면 이러한 관계 자체가 극의 진행과 어떤 연관을 가져야 하는데 그 마저도 발견하기가 어렵다. 민혜린이라는 캐릭터는 이미 죽은 것이나 마찬가지다.

이다해의 그 같은 행동이 잘한 것이냐 아니냐를 떠나서 그 행동은 충분히 이해될 수 있는 일이다. 죽은 캐릭터를 뒤집어쓰고 연기를 하다가는 자칫 그 연기를 하는 연기자까지도 (이미지가) 죽을 수 있다. 흔히들 말하는 연기력 논란은 실제로 연기자가 연기를 못해서 생기는 것이기도 하지만, 더 궁극적인 실체는 캐릭터에 문제가 있어서 발생하는 것이다. 연기력 논란의 근본 원인은 캐릭터 논란에서 비롯된다고 말할 수 있다. 연기력이 부족해도 작가는 좋은 캐릭터로 그 부분을 메워줄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한 때 연기력 논란에 휩싸였으나 좋은 캐릭터를 만나 그 자체를 불식시킨 사례들을 얼마든지 만날 수 있다. 윤은혜는 출연작품마다 연기력 논란이 있었지만 ‘커피 프린스 1호점’의 고은찬을 만나면서 그 논란을 훌훌 벗어버렸다. 이연희는 늘 그 발음 문제 때문에 연기력 논란의 도마 위에 오르지만, 이명세 감독의 영화 ‘M’에서는 그래도 괜찮은 캐릭터 몰입을 보여주었다. 연출이 뛰어났기 때문이다.

최지우는 ‘에어시티’에서 어울리지 않는 캐릭터를 만나 고전했지만 ‘스타의 연인’을 만나서는 꽤 괜찮은 멜로 연기를 보여주고 있다. 노희경 작가의 일련의 드라마를 통해 배우로 거듭난 연기자들, 예를 들면 유호정, 한고은, 김민희 등도 그 범주에 포함된다. 즉 좋은 캐릭터는 연기력 논란 자체를 불식시킬뿐더러 오히려 스타에게 연기자로서의 길까지 열어준다.

하지만 정반대의 상황도 생긴다. 김정은은 ‘파리의 연인’에서는 코믹한 멜로 연기를, 또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에서는 좀더 진지한 연기를 펼쳐 보였지만, ‘종합병원’의 정하윤이란 공감을 얻기 힘든 캐릭터를 만나면서 연기력 논란까지 감수하게 됐다. 이다해가 연기라고 있는 민혜린이라는 캐릭터 역시 어쩌면 이 길로 가게 되었을 지도 모른다.

연기력 논란과 캐릭터 논란은 완전히 그 문제의 주체가 다르다. 연기력 논란은 연기자의 문제이고 캐릭터 논란은 작가의 문제다. 이다해의 발언은 자칫 연기자의 문제로 튈 지도 모르는 자신의 상황을 작가의 문제 때문이라고 밝힌 것이다. 즉 연기력 문제가 아닌 캐릭터 문제라고 선을 그은 것이다. 이다해의 이 이야기를 통해 우리가 생각해봐야 할 것은 이제 연기력 논란을 얘기할 때, 단순히 연기자만의 문제에서 국한될 것이 아니라, 그 연기자가 입고 있는 캐릭터라는 옷까지도 염두에 두어야한다는 점이다.

이것은 상당히 중요한 문제다. 흔히들 ‘욕하면서 보는 드라마’에 등장하는 이해할 수 없는 캐릭터를 보면서(이런 캐릭터는 베테랑도 연기몰입이 안될 것이다) 그 어설픈 연기력을 욕하지만, 그런 캐릭터를 창조해낸 작가는 시청률이라는 방패막 뒤에 안전하게 앉아 있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실제로 문제를 만들어낸(심지어 시청률을 위해 의도적으로 문제를 만들기도 하는) 작가는 웃을지 몰라도 그 작가의 손에 이끌려 인형처럼 조종되는 연기를 해야하는 연기자는 자칫 연기생명을 잃을 수도 있다. ‘너는 내 운명’의 발호세를 보며 안타까운 마음이 드는 것은 그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