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쌍화점’을 보기 전 버려야할 선입견들

728x90

동성애 영화? 에로 영화? 무협 영화? NO!

(이 글은 스포일러가 있을 수 있습니다)

‘쌍화점’. 제목부터 묘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이 영화는 개봉 전부터 이미 화제가 되었다. 유하 감독이 하는 사극이라는 점도 그랬지만 아무래도 그 화제의 첫 번째는 조인성과 주진모가 벗었다는 것. 그것도 동성애를 연기하기 위해서다. 시사회를 통해 미리 본 관객이라면 누구나 느꼈겠지만, 그 동성애 장면은 꽤 충격적이다. 그것도 조인성과 주진모라니.

하지만 결론적으로 말해 이 영화는 동성애 영화가 아니다. 여자를 사랑하지 못하는 왕(주진모)이 왕의 호위무사인 홍림(조인성)을 사랑하고, 그래서 둘 사이의 묘한 멜로 구도가 들어가 있지만, 이 영화가 말하는 것은 소수의 성으로서 동성애자가 갖는 문제의식을 드러내는 작품이 아니다. 실제로 동성애자는 왕이라는 절대권력을 갖고 있는 자이며, 홍림은 동성애자라기보다는 어린 시절부터 왕을 보필하면서 자신의 성 정체성을 잃고 있었던 인물이라 할 수 있다. 후사를 위해 왕 대신 왕후(송지효)와 합궁을 하게 되면서 그는 자신의 성 정체성을 찾게 되고 이것은 비극의 신호탄이 된다.

동성애 영화가 아니라면, 혹 에로영화? ‘남녀상열지사’로 일컬어지는 고려가요 ‘쌍화점’에서 따온 영화 제목은 당연히 이런 선입견을 갖게 한다. 게다가 실제로 홍림과 왕후의 정사장면은 노골적인데다 여러 차례 반복되어 보여진다. 적나라하게 벗은 조인성과 송지효의 몸은 커다란 스크린 위에서 뱀처럼 서로의 몸을 휘감고 뜨거운 입김을 관객들에게 쏘아댄다.

하지만 그 장면이 노골적이라고 해서 이 영화를 에로영화라고 할 수는 없다. 유하 감독이 기자간담회를 통해 밝혔듯이 이 영화는 ‘감각의 제국’류의 욕망을 탐구하는 영화다. 홍림과 왕후 사이에는 아무런 사랑의 감정이 없었지만(오히려 반감을 갖고 있었다), 그 둘은 몸의 결합을 통해 점점 감정이 불타오른다. 여러 차례 홍림과 왕후의 섹스 장면이 반복되는 것은 그 육체적 사랑을 통해 어떻게 욕망이라는 감정이 타오르는가를 살펴보기 위함이다.

육체적인 성에 대해 눈뜨지 못했던 두 사람(물론 왕이 동성애자이기 때문에 왕후도 성 경험이 없을 수밖에 없다)은 성애에 눈을 뜨고, 그것은 사랑의 감정으로 타오른다. 후반부에 가서 그것이 단지 욕정이 아닌 감정의 교감이 있었다는 것을 알게된 질투에 불타는 왕이 홍림을 거세하는 장면은 상징적이다. 즉 이 영화는 시작부터 거세된 남자(왕)와 거세를 강요받은 남녀(홍림과 왕후)가 함께 궁이란 공간에 고립되어 살고 있었는데, 그 남녀가 자신들의 성 정체성을 찾게 되는 그 순간, 왕이 그들을 거세시키는 영화다. 이것은 에로영화라기보다는 그리스 비극을 떠올리게 한다. 권력을 쥐었지만 거세된 자의 빗나간 욕망이 만들어내는 비극.

혹자는 사극에 칼이 춤을 추는 예고편을 통해 혹 무협영화 같은 액션이 이 영화의 주는 아닐까 생각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이것 역시 이 영화를 너무나 단순하게 보게 만드는 편견이 될 수 있다. 물론 화살이 날아와 머리에 꽂히고 한껏 힘을 모아서 순식간에 내리치는 칼과 그 굉음이 보는 이의 손에 땀을 쥐게 하는 면이 없는 것은 아니다. 왕과 홍림, 그리고 꽃미남 호위부대 건룡위가 사용한 검의 수만 5백 자루가 넘는다 하니 이 영화를 무협의 반열에 세워도 무방할 지도 모른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쌍화점’에서 칼과 칼이 부딪치는 장면은 그저 물리적인 부딪침이나 합이 딱딱 맞아떨어지는 액션의 즐거움을 주기 위한 장면만이 아니라는 점이다. 그것은 또 다른 대화로서 표현되는 검의 말이다. 칼과 칼이 부딪칠 때, 거기에는 왕의 질투와 사랑이 묻어나고, 홍림의 억눌렸던 감정과 그래도 남은 애증이 느껴진다. 칼은 보이지 않는 이 인물들의 감정을 몸으로 표현해내는 하나의 무용과 같은 표현수단이 된다.

그렇다면 동성애도 아니고 에로도 아니고 무협도 아닌 이 영화는 도대체 무얼까. ‘쌍화점’의 제작진들은 이 영화를 ‘대서사극’이라는 애매모호한 표현으로 정의하고 있다. 멜로드라마의 다른 버전으로 읽히지만 그 깊이가 그리스 비극 같은 서사극에 닿아있다는 의미일 것이다. 흔히 멜로라 하면 남녀 간의 사랑 정도를 생각하겠지만 여기서는 성별을 넘어서는 사랑의 감정들이 어떤 파국을 향해 가는가를 그려내는 멜로가 번뜩인다. 베드신과 액션신은 그 감정들을 최고조로 그려내는 장치가 된다. 여기에 서사극으로서의 비장미는 인간의 욕망을 탐구하는 그 자세에서 비롯된다.

‘쌍화점’은 보는 이에 따라 저마다의 해석과 저마다의 재미를 줄 수 있는 영화다. 혹자는 재미도 없고 그저 지루할 수도 있다. 하지만 적어도 이 영화는 위에서 언급한 선입견들을 능가하는 영화다. 낯설지만 꽤 실험적이고 파격적인 재미를 선사하는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