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을 잊고픈 판타지 vs 현실 속에서도 꿈꾸게 하는 판타지
지금 캐릭터로 가장 화제를 누리고 있는 것은 단연 ‘꽃보다 남자’의 구준표(이민호)다. 이 캐릭터를 통해 이민호는 ‘벼락스타’의 반열에 올랐다. 여성들은 자기 여자친구를 위해 백화점을 통째로 빌려 옷을 사주고, 전용비행기를 태워 뉴칼레도니아까지 날아가 주말을 보내며, 그러면서도 여자친구의 서민적 삶(?)까지 끌어 안아주는 이 만화 속에서 막 나온 듯한 꽃미남 캐릭터에 빠져들고 있다.
구준표에 대한 반응, 왜 여성과 남성이 다를까
이상한 것은 이 구준표라는 캐릭터에 대한 남녀 간의 반응이 상반된다는 점이다. 여성들이 열광하는 반면, 남성들은 그다지 이 캐릭터를 매력적으로 여기지 못하고 있다. 어쩌면 이것은 당연한 것인지도 모른다. 여성들을 꿈꾸게 만드는 그 만화 속의 캐릭터와, 자신을 비교한다는 것이 지금 현실 앞에 잔뜩 주눅 들어가는 남성들에게는 여러 모로 억울한 점이 많기 때문이다.
구준표는 집이나 학교에서나 일상 생활 자체가 귀족들의 그것이다. 무도회를 즐기고 휴양지의 별장으로 여행을 떠나고 하녀들이 시중드는 식사를 하는 그 모습은 만화 속에서나 볼 수 있는 중세 귀족의 모습이다. 무엇하나 남부러울 것 없는 귀족생활을 즐기는 구준표는 그다지 착한 캐릭터도 아니다. 돈이면 뭐든 다 될 수 있다는 사고방식을 갖고 있고 서민들의 힘겨운 일상을 찌질함으로 바라보기까지 하는 전형적인 무개념 캐릭터다.
중요한 것은 이 전형적인 귀족주의에 빠진 나쁜 남자가 평범한 서민 금잔디(구혜선)를 사랑하게 되고 그로 인해 자신도 조금씩 변화하는 모습을 보인다는 점이다. 이것은 이 나쁜 캐릭터를 오히려 매력적으로 만든다. 능력 있는(뭐든 다해줄 수 있는) 나쁜 남자(다른 사람에겐 나쁘지만 나에게만은 잘해주는)가 한 사람만을(시청자 입장에서는 나만을!) 사랑하는 모습은 늘 드라마 속 버럭 캐릭터의 형태로 여성들의 마음을 사로잡곤 했다. ‘외과의사 봉달희’의 버럭범수, ‘베토벤 바이러스’의 강마에처럼 구준표도 그 버럭 캐릭터의 연장선상에 있는 캐릭터다.
하지만 구준표가 다른 버럭 캐릭터들과 다른 점이 있다. 그것은 그의 능력이 어떤 노력에 의해 생겨난 것이 아니라 태생적으로 주어진 것이라는 점이다. 물론 드라마에서는 바로 이 주어진 능력이 그의 유년시절을 불행하게 했다는 식으로 설정되어 있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설정일 뿐이다. 만일 그가 똑같은 서민에서 시작해 귀족의 반열까지 오른 입지전적인 인물이라면 아마도 남성들 또한 이 캐릭터에 열광할 수 있을 지도 모른다. 태생적으로 주어진 능력은 일반 서민으로서는 도무지 불가능한 도달지점이다. 구준표라는 만화적 캐릭터에 여성들이 열광하는 그 모습을 보는 보통의 남성들이 씁쓸해질 수밖에 없는 이유다.
현실을 잊게 하는 판타지, 현실에서도 꿈꾸게 하는 판타지
하지만 똑같이 까탈스럽고 늘 귀족주의를 입에 달고 다니는 능력 있는 남성이었던 ‘베토벤 바이러스’의 강마에(김명민)는 구준표와는 다릅니다. 강마에라는 캐릭터는 극심한 가난을 겪고 그 속에서 음악의 꿈을 이뤄온 입지전적인 인물이기에, 남성들은 그를 통해 꿈을 꿀 수 있는 여지가 있었다. 그것은 비단 남성들뿐이 아니다. 강마에가 ‘베바’를 통해 우리에게 던져준 것은 서민들이라도, 따라서 꿈을 이루기에는 버거운 현실이라도 꿈이라도 꿔보라는 그 희망이었다. 똑같이 판타지를 그리고 있지만 ‘베바’의 판타지는 ‘꽃남’의 판타지와는 이렇게 다르다. ‘베바’의 판타지는 드라마 밖으로 나와 현실로 돌아온 사람들을 여전히 꿈꾸게 하는 반면, ‘꽃남’의 판타지는 현실 자체를 잊고싶게 만든다.
물론 드라마는 드라마일 뿐이다. 따라서 그 잠깐 동안의 일탈적인 판타지가 뭐가 나쁘냐고 생각할 수도 있다. 드라마를 보는 기본적인 욕망 속에 잠시 현실을 잊고픈 욕구가 있다는 것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하지만 그 똑같은 판타지 속에서라도 구준표보다는 강마에를 더 꿈꾸게 되는 건 왜일까. 그것은 아마도 꿈 속에서 꿈꾸는 것보다는 현실 속에서도 꿈을 꾸고 싶은 욕구가 더 크기 때문일 것이다.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지매는 왜 여성의 얼굴을 하고 있을까 (0) | 2009.02.11 |
---|---|
‘꽃남’의 연출, 왜 만화적 상상력이 안보일까 (1) | 2009.02.04 |
‘경숙이, 경숙아버지’, 가난한 드라마가 전한 정 (0) | 2009.01.30 |
‘돌아온 일지매’의 책녀, 그 기능은? (0) | 2009.01.29 |
‘아내의 유혹’, 그 막장의 실체는? (0) | 2009.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