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경숙이, 경숙아버지’, 가난한 드라마가 전한 정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경숙이, 경숙아버지’, 가난한 드라마가 전한 정

D.H.Jung 2009. 1. 30. 07:19
728x90

불황 속에 더욱 빛난 ‘경숙이, 경숙아버지’

‘경숙이, 경숙아버지’에는 현재의 관점에서 보면 이해되기가 어려운 인물들의 관계들이 등장한다. 경숙아버지인 조재수(정보석)와 악연으로 얽힌 박남식(정성화)은 경숙(심은경)의 집에서 기거하며 경숙모와 사랑에 빠지게 되고 결국 둘 사이에 아이까지 갖게 된다.

가난보다는 그 속에 피어나는 정에 주목하다
그런데 이 상황을 알게된 경숙아버지는 화를 내기는커녕 쾌재를 부르며 아예 집밖으로 나와 이화자(채민희)와 함께 지낸다. 후에는 이 네 사람이 한 집에서 나란히 살기까지 하는데, 경숙이는 아버지가 둘인 이 상황 속에서 자기만 생각하는 아버지보다 가족들을 위해 헌신하는 남식을 더 따르기도 한다. 그리고 이것은 경숙이네 가족들 모두의 정서이기도 하다.

친아버지보다 타인인 남식을 더 따르는 가족이라는 비범한(?) 관계에 깔려있는 전제가 있다. 그것은 바로 가난이나 전쟁 같은 극단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당장 배가 고파 먹을 걸 구해야 하는 상황에서 마음이 가는 사람은 단지 피붙이라는 관계에는 있지만 타인만도 못한 삶을 살아가는 인물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도움으로 주고 정을 주는 타인이다.

그런데 이야기가 여기에서 끝난다면 이 드라마가 전하는 메시지는 그저 가난이 파괴한 한 가족의 이야기에서 머물렀을 지도 모른다. 드라마 말미에 경숙아버지가 빨갱이 누명을 쓰고 경찰서에 잡혀간 박남식을 구하기 위해 장구채를 들고 시위를 이끄는 장면은 이 이야기를 가난에서 정으로 위치 이동시킨다. 경숙아버지 조재수는 자신의 아내와 바람난 박남식을 구하려 나서면서 이런 얘기를 남긴다. “사람이 어려운 일을 당하면 싸우다가도 돕는 게 인지상정이다.”

이 한 마디는 이 드라마의 주제를 압축한다. 전쟁통에서도 적군인 부상 인민군을 총탄이 날아오는 상황에서도 버리지 못하고, 죽은 후에는 땅에 묻어주기도 하는 박남식의 캐릭터는 이 드라마의 핵심적 재미를 만들어낸다. 착하고 순해 빠져 늘 당하는 캐릭터로서의 박남식은 늘 누군가를 이용하거나 골탕먹이며 살아가는 경숙아버지와는 상반된다.

가난을 냉소가 아닌 따뜻한 웃음으로 바꾸다
자기 자식보다 자기 남편보다 자기 아버지보다 더 박남식을 따르는 가족들의 면면은 이 드라마의 경쾌한 리듬과 함께 폭소를 자아내게 만든다. 경숙네 집에 경숙아버지가 훔쳐간 돈을 받으러 찾아와 그들의 가난을 지나치지 못하고 투덜대면서도 그들을 돕는 그 모습에서 비롯되는 폭소는 따라서 냉소와는 다른 따뜻한 웃음을 선사한다.

이 가난을 다루면서 냉소와 풍자의 칼날을 들이대기보다는 따뜻한 웃음을 짓게 만드는 것은 이 드라마가 작금의 불황 상황에 대해 던지는 긍정론이기도 하다. 전쟁과 궁핍의 극단적 상황 속에서도 일상적 삶은 계속되고 그 속에서도 여전히 따뜻한 정은 남아있다는 전언이다.

 국가적으로 암울한 시기를 절망적인 비장감으로 그려내기보다는 동화적 시점을 끌어들여 새롭게 조명하는 것은 ‘웰컴 투 동막골’과 궤를 같이 한다. 아이의 눈으로 그려지는 이 경쾌한 시선이 지향하는 것은 바로 그 냉엄한 현실 속에서도 여전히 한 인간으로서 발현되는 인지상정의 위대함이다.

작금의 불황 상황 속에서 이 드라마가 빛을 발하는 이유는 바로 이 차디찬 현실 위에 유쾌한 정의 세계를 복원해 보여주기 때문이다. 생생하게 살아있는 캐릭터들은 저마다 투덜대면서도 사랑하고, 사랑하면서도 투덜대는 모습들을 보여줌으로써 어려운 현실적 상황 자체를 관조하게 해준다.

이 대단한 주제의식의 드라마가 4부작이라는 것 또한 곱씹어 볼만한 점이다. 드라마 역시 불황을 맞아 상업적으로 취약할 수 있는 단편 혹은 중편이 설 자리를 점점 잃고 있는 상황. 그러나 이 짧은 가난한 드라마가 막장으로 치닫는 작금의 장편 부유한 드라마들 틈바구니에서 전하는 감동은 그 여운을 더 깊게 만든다. 어려울수록 그 희망을 바로 사람들의 진정성에서 찾는 이 드라마의 태도는 작금의 불황상황이나 드라마 제작상황 모두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