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돌아온 일지매’의 책녀, 그 기능은?

728x90

동화(同化)를 버리고 이화(異化)를 선택한 책녀, 그 효과는?

‘돌아온 일지매’는 기존 사극과 달리 이른바 책녀라 불리는 내레이션이 극 중간에 끼여든다. 드라마에서 내레이션은 여러 기능을 갖고 있다. 등장인물의 내면적 독백을 드러내는 일인칭 시점의 내레이션은 극에 대한 몰입을 더욱 강화시키는 힘을 발휘한다. 하지만 책녀처럼 등장인물 밖에서 극을 설명하듯 개입하는 전지적 작가 시점의 내레이션은 몰입을 통한 동화(同化)보다는 이화(異化)의 기능을 위한 것이다.

지금 ‘돌아온 일지매’의 책녀에 대해 쏟아지는 논란의 실체는 바로 이 동화와 이화의 부딪침이다. 드라마를 몰입으로 보는 시청자들에게(사실 대부분이 그럴 것이다) 동화를 방해하는 책녀의 틈입은 불편할 수밖에 없다. 책녀의 존재는 시청자들의 위치를 드라마 속이 아니라, 드라마 밖으로 늘 끄집어내게 만든다. “당신은 지금 드라마를 시청하고 있습니다”하고 책녀의 존재 자체가 말하고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돌아온 일지매’는 왜 책녀라는 이화의 장치를 사용한 것일까. 그 첫 번째는 고우영 원작에 충실하고자하는 노력으로 보인다. 고우영 원작 만화의 특징으로 작자의 목소리 개입은 절대적이라 할 수 있다. 조선시대의 상황을 그리면서 작자는 그 상황을 현대적인 문명의 이기에 빗대 설명하기도 한다. 등장인물들이 길을 찾는 대목에 갑자기 내레이션으로서의 지문이 ‘네비게이션’운운하는 것이 그 대표적인 사례다.

바로 이 과거를 현대와 연결시키는 내레이션은 실로 작품에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그것은 과거의 이야기가 거기서 머무는 것이 아니라 현대적인 의미로 재해석되는 지점을 만들어내게 된다. 그것은 과거 속에서 찾아지는 현재적 역사의 의미뿐만 아니라, 단순히 재미 그 자체로서도 충분히 기능한다. 즉 해설이 주는 기능적 목적에 재미 또한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책녀의 또 다른 기능은 그 존재 자체가 이 사극을 역사적 사실과 별개로 구분 짓게 해준다는 데 있다. 소소한 에피소드들을 책녀가 설명해주는 과정에서 이것은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이야기라는 뉘앙스를 시청자들에게 전해준다. 책녀는 이 드라마의 재미가 역사적 사실의 드라마틱한 이야기에 있는 게 아니라, 바로 작자의 끝간데 없이 뻗어나가는 상상력에 있다는 걸 은연중에 알려주고 시청자는 바로 그 부분은 어느 순간부터 기대하게 된다.

당연한 것이지만 책녀의 개입을 통해 이야기의 사실성을 통한 몰입을 포기하고 나면 오히려 그 마음대로 갈 수 있는 상상력을 얻게 된다. ‘돌아온 일지매’의 이야기 구조가 아주 소소한 엉뚱한 이야기에서 일지매 같은 중심인물로 위치이동하며 흥미진진해지는 것은 바로 이 시공을 넘나드는 책녀의 존재로 갖게된 무한상상의 가능함 때문이다. 왕횡보라는 매력적인 캐릭터는 이런 과정 속에서 빛을 발하게 된다.

‘돌아온 일지매’의 책녀는 몰입을 방해하지만, 거꾸로 무한한 상상력의 재미를 선사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중요한 것은 그 책녀의 내레이션이 얼마만큼 적절하고 촌철살인의 힘을 가졌느냐는 점일 것이다. 그저 책녀의 존재가 설명 그 이상이 되지 못한다면 그것은 오히려 몰입만을 방해하는 방해꾼의 위치에 설 수밖에 없다. 하지만 그 이상을 넘어선다면 이만큼 독특하고 재미있는 사극의 내레이션을 가져온 책녀의 존재에 대해 새로운 평가가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