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수한 경계 위에 선 영화, ‘박쥐’
박찬욱 감독의 ‘박쥐’가 밟고 있는 지점은 실로 애매모호하다. 영화가 개봉되기 전까지 엉뚱하게도 송강호의 성기노출이 논란이 되면서 영화는 마치 에로틱한 어떤 것으로 비춰졌다. 그것은 마치 이안 감독의 ‘색계’같은 분위기를 풍겼다. 거장이 만들었으니 작품성이 뛰어날 것이고, 그러면서도 무언가 파격적인 성 노출이 스펙타클로 보여지는 그런 영화. 이런 분위기는 실로 호기심을 자극한다. 지적인 호기심과 함께 자극적인 호기심까지.
‘박쥐’는 물론 대단히 에로틱한 면모를 가지고 있으나 에로틱한 그 무엇으로만 정의되기는 어렵다. 뱀파이어물이 갖는 에로틱함과 공포스러움을 동시에 껴안고 있으니까. 살갗을 물어 뜯거나 칼날로 그어 피를 내는 장면은 하드고어를 연상시킬 정도로 끔찍하지만, 그 피나는 살을 쭉쭉 소리를 내며 빨아대는 장면은 그 어떤 정사장면 만큼이나 에로틱하다. 영화는 이 두 지점을 왔다 갔다 하면서 그 양극단을 공존시켜 나타나는 기묘한 느낌이 주는 쾌감을 선사한다.
‘박쥐’가 주는 이런 두 가지 상반된 느낌의 공존은, 어쩌면 이 영화가 전달하려는 그 자체일 지도 모른다. 비상하는 새와 어둠 속을 기어다는 쥐의 상반된 이미지를 한 몸에 가진 박쥐, 그 박쥐에서 뽑혀져 나온 인간과 괴물의 이미지를 한 몸에 가진 뱀파이어. 영화 속 주인공 상현(송강호)은 이 중간지대에 선 인물이다. 그는 신부라는 인간적인 존재와 종교적인 존재 사이에 서 있는 인물이며, 누군가를 구원의 길로 이끄는 신부이면서 동시에 파멸로 끌고 들어가는 흡혈귀다.
이 영화가 흥미로운 것은 상현이 그려내는 고뇌하는 흡혈귀라는 캐릭터다. 하드고어적인 잔혹함이 넘치면서도 순간 유머가 번뜩이는 것은 바로 이 상현의 인간적인 면모 덕분이다. 상현은 신부처럼 삶과 구원에 대해 고민하면서 동시에 인간적인 욕망을 드러내는 인물. 뇌사상태에 빠진 자의 피를 마치 빨대로 뽑아내듯 빼먹으면서 사실 그 사람은 본래부터 누군가에게 뭔가를 나눠주는 걸 즐거워했다고 변명을 해대고, 자살을 하려는 사람의 피를 빨아주면서(?) 그것이 그 사람을 편히 가게 해준다고 말하는 장면은 우습지만 인간의 실존을 담아낸다.
이 영화는 밤과 낮 사이에서, 그 타락과 구원 사이에서, 살육과 생존 사이에서, 물과 햇볕 사이에서, 육욕과 사랑 사이에서 그 수많은 경계의 지점에서 딜레마에 빠져버린 인물들을 그린다. 자살은 상현이 신부로서 말했던 것처럼 가장 극악한 죄이지만, 이 딜레마에 빠져버린 인물들에게는 유일한 구원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이렇게 양극단의 딜레마를 한 몸에 지니고 있는 건 단지 영화 속 흡혈귀의 실존만은 아닐 것이다.
박찬욱 감독의 수많은 상반된 이미지를 한 프레임 안에 녹여내는 그 매력적인 연출은, 송강호, 김옥빈의 빛나는 연기로 형상화된다. 송강호는 가장 세속적인 욕망을 드러내면서도 구원을 향한 진지한 몸부림을 포기하지 않는 인물을 특유의 허무와 유머가 뒤섞인 얼굴로 연기해낸다. 상현이란 인물은 송강호를 만나 ‘넘버3’같은 비속함에서부터 ‘밀양’의 진중함,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의 엉뚱함을 모두 표현해낸다. 김옥빈은 에로틱함의 극단에서 섬뜩함을 뽑아내는 그녀 영화 인생 최고의 연기를 해낸다.
이 영화에 쏟아지는 양극단의 평가는 바로 이 영화가 지니고 있는 어느 한 지점에 머물지 않고 끝없이 경계 위에 서려는 그 안간힘에서 비롯된다고 볼 수 있다. 에로틱한 그 무엇을 기대하고 간 관객이라면 그 하드고어적 영상이 충격적일 것이고, 뭔가 진지한 성찰을 꿈꾸고 간 관객이라면 순간순간 보여지는 위악적인 이미지들(성찰을 거부하는 듯한)에 당혹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바로 이렇게 장르와 인물과 이미지를 내파시켜 하나로 혼융하는 면모에서 박찬욱만의 힘이 느껴진다. 그것은 기대의 배반이라기보다는 기대 그 이상의 것을 늘 보여주는 그런 힘이다.
'옛글들 > 영화로 세상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제의 '트랜스포머', '거북이'가 앞지를까 (0) | 2009.06.13 |
---|---|
홍상수의 고현정, 봉준호의 김혜자 (0) | 2009.05.22 |
독립장편 ‘똥파리’, 전 세계가 주목할만한 이유 (0) | 2009.04.18 |
힘겨운 현실에 영화가 해줄 수 있는 것 (0) | 2009.03.07 |
‘워낭소리’에 쏟아지는 폭발적인 찬사, 왜? (0) | 2009.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