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힘겨운 현실에 영화가 해줄 수 있는 것 본문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힘겨운 현실에 영화가 해줄 수 있는 것

D.H.Jung 2009. 3. 7. 11:15
728x90
불황기, 삶을 성찰하는 다섯 편의 영화들

불황기여서일까. 유난히 삶을 돌아보는 영화들이 눈에 띈다. 이미 독립다큐영화로서는 상상못할 대성공을 거둔 '워낭소리'는 물론이고, 또다른 독립영화의 맛을 보여주는 '낮술', 미키 루크라는 배우와 떨어져서 생각할 수 없는 '더 레슬러', 나이를 거꾸로 먹어가는 한 인물을 통해 시간과 삶을 성찰하는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그리고 심지어 슈퍼히어로 영화지만 정의에 대한 진지한 질문을 던지고 있는 '왓치맨'까지. 답답한 현실을 벗어나 그 현실을 관조하게 해주는 이 영화들이 가진 삶에 대한 각기다른 시선들은 무엇이었을까.

'워낭소리', 당신의 노동은 숭고하다
'워낭소리'의 그 잔잔한 울림은 소가 한 걸음 한 걸음을 걸어나가는 그 노동으로부터 울려퍼진다. 때론 바보처럼 우직하게 숨쉬듯 해온 노동이 달라진 세상 속에서 무화되는 어느 순간은 늘 아련한 노동의 아우라가 피어오르기 마련. '워낭소리'는 우리네 아버지들이 해왔던 노동이자, 이제는 사라져버린 진짜 노동을 소 걸음으로 찬찬히 되새겨보게 해주는 영화다. 영화가 전하는 말, "당신의 노동은 숭고하다"는 그 말은 불황을 살아가는 작금의 사람들의 가슴을 울릴만 하다.

'낮술', 기대와 배반의 삶 그래도 웃는다
'낮술'은 우리네 삶에 존재하는 욕망의 아이러니를 낮에 마시는 술의 그 분위기에서 포착해내는 영화다. 삶의 욕망이 가지게 마련인 기대감은 곧 배반감으로 돌아오게 마련. 낮술에 취해 한바탕 유쾌한 웃음을 던지고 난 후에 남는 것은 이 끝없이 반복되는 삶에 대한 관조다. 기대와 배반의 반복은 그러나 그 과정을 이어나가는 유머감각으로 인해 절망에 빠지지 않게 된다. '낮술'은 낮술 한 잔이 주는 쓰디쓴 현실을 웃음으로 전화시키고 그것을 통해 우리네 일상이 그 한바탕 낮술과 다르지 않다는 얘기를 해준다.

'더 레슬러', 육체는 슬프다 하지만 연민은 사절이다
'더 레슬러'는 한때 잘 나가던 프로레슬러였으나 이제는 남루해진 육신이 버거운 랜디(미키 루크)의 이야기면서, 한때 섹스심볼의 아이콘이었던 배우였으나 이제는 망가진 육체를 던져 연기하는 미키 루크 자신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물론 프로레슬링은 그들이 말하는 '작전'에 의해 짜여진 쇼이지만 살과 살이 부딪치고, 피와 살점이 튀기는 링 위에서의 쇼는 리얼이다. 이것은 연기자의 상황과 정확히 일치하고, 더 확장해서 보통 사람들이 해나가는 노동과 다르지 않다. 그 노동 속에서 나이들어가는 육체는 슬프다. 하지만 이 영화가 대단한 것은 그 슬픈 육체에 보내는 연민마저 헤드락 한 판으로 날려버리는 그 쿨함에 있다.

'벤자민 버튼...', 거꾸로 돌려도 시간은 흐른다
시간을 거꾸로 돌려 원래대로 돌아갔으면, 하는 인간의 욕망. 전쟁에서 죽어 돌아온 자식을 앞에 둔 부모의 마음이 그러할 것이고, 시간에 종속되어 늙어가다 이제는 죽음만을 눈앞에 기다리는 노인의 마음이 그러할 것이다. 이 영화는 거꾸로 나이를 먹어가는 벤자민 버튼이라는 캐릭터를 통해 그러한 욕망이 실현됐을 때 과연 우리는 시간을 넘을 수 있을까 하는 질문을 던진다. 원작소설이 가진 유쾌함은 데이빗 핀처 특유의 진지함으로 바뀌어 영화는 오히려 시간에 종속되어버리는 벤자민 버튼의 상황을 보여준다. 거꾸로 돌려도 시간은 흐른다는 이 영화가 보여주는 시간의 무차별성은, 아마도 이 영화의 초반부 전쟁터에서 전사한 이 땅의 아들들을 다시 고향으로 되돌리기 위해 거꾸로 돌아가는 영상을 끼워넣은 데이빗 핀처에게도 해당되는 이야기였을 것이다. 영화 또한 아무리 거꾸로 돌려도 시간에 종속되기 마련이니까.

'왓치맨', 세상은 구원할만큼 가치가 있는가
그래픽 노블의 정수라고 불려온 '왓치맨'은 세계를 위협하는 적과 그 세계를 구원하는 신적 존재가 등장하는 수퍼히어로 등식 속에 끼워넣어지는 영화가 아니다. 이 영화에서 적은 악당이 아니라 바로 인류이고, 수퍼히어로는 구원자라기보다는 고뇌하는 인간에 가깝다. 유일한 초월적 존재(신은 아니고 초인에 가깝다) 닥터 맨해튼은 왜 자신들이 인간을 구원해야 하는가 하는 의구심에 빠진다. 세상을 구원할 수는 있어도 인간의 본성을 바꿀 수는 없다는 슈퍼히어로의 비관적 고민은 그간 선과 악으로 간단하게 판단해왔던 정의의 개념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왓치맨'은 슈퍼히어로 영화로서 진지한 질문을 던졌던 '다크나이트'의 계보를 잇는 영화다.

불황이 가져온 불안은 자신의 삶과 세계에 대한 새로운 성찰을 욕망하게 만든다. 가벼운 주머니로 짧게 나마 현실을 빠져나와 그 현실을 되돌아보게 해주는 이들 영화들이 가치를 갖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