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무례한 세상, 예의를 아는 드라마, '그바보'

728x90

바보가 헛똑똑이들에게 전하는 이야기, '그바보'

불황이어서인지 세상은 더 무례해졌다. 그 세상을 담는 드라마 역시 마찬가지. 어떤 마음을 담기보다는 당장의 자극을 담아 시청률이라는 수치 올리기에 바쁘기 일쑤다. 그런 점에서 보면 '그저 바라보다가(이하 그바보)'는 요즘 세상에 어울리지 않게 예의를 아는 드라마다. 그저 키득대며 보다보면 어느 순간, 이 바보 같이 웃고만 있는 드라마가 전하는 뭉클한 메시지에 마음까지 먹먹해지는 때가 있다. 구동백(황정민)이라는 이름의 그 바보는 좀 안다는 헛똑똑이들의 무례에도 오히려 그들을 가슴으로 끌어안는다. 그리고 그 헛똑똑이들은 어쩌면 우리들의 또 다른 얼굴인지도 모른다.

구동백은 가진 것 없고 여자 친구도 없으며 영업실적도 제로인 평범한 우체국 영업과 말단직원. 그런 그가 톱스타 한지수(김아중)와 시장후보 아들 김강모(주상욱)보다 돋보이는 건 왜일까. 우연한 사건으로 터진 연애스캔들이자 정치스캔들을 무마하기 위해 김강모 대신 연인 역할을 하게 된 구동백에게 한지수는 사례금을 챙겨주려 한다. 하지만 평소 한지수의 팬이었던 구동백은 도와주고픈 순수한 마음으로 그 일을 하는 것이라며 한사코 그 돈을 받지 않는다. 이것은 어찌 보면 단순한 행동처럼 보이지만, 구동백의 캐릭터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행동이자 그가 그들보다 돋보이게 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한지수와 김강모가 사는 세계는 거래의 세계다. 모든 것이 돈과 권력을 통해 이루어지는 그 곳에서는 심지어 연인 관계까지 돈으로 만들어낼 수 있다. 그러니 거래를 거부하고 관계를 희망하는 구동백은 이들에게는 당혹스런 존재가 아닐 수 없다. 한지수가 억지로라도 사례를 해 관계를 거래로 바꾸려 구동백에게 차를 선물하려 했을 때, 구동백이 대신 요구한 것은 회사 단합대회에 와달라는 것이었다. 한지수와 그녀의 매니저 차연경(전미선)은 그렇게 돈을 건네려는 자신의 손이 점차 부끄러워진다. 한지수가 점점 구동백에게 무례하게 행동하는 것은 그 당혹감의 표현이다.

마치 돈만을 가진 자와 마음만을 가진 자의 대결구도처럼 한지수와 구동백 사이에 벌어지는 미묘한 감정의 변화가 그저 연애담 이상을 전하는 건 그 때문이다. 이것은 돈과 명예를 통해 모든 것을 다 가진 줄 아는 헛똑똑이들에게 아무 것도 가지지 못한 것처럼 보이나 사실은 그 누구도 갖지 못한 것을 갖고 있는 바보가 전하는 경고다. 따라서 이 드라마는 저 '스타의 연인' 같은 남성 신데렐라 이야기와는 거리가 있다. 오히려 구동백이라는 바보의 순수한 세계가, 한 때는 자신도 그런 세계에 있었으나 어느새 그 세계를 떠나버린 한지수를 일깨워주는 이야기가 그 진짜다.

구동백과 한지수의 결혼발표(일은 점점 커져 결국 위장결혼까지 하게 된다)로 귀국한 한지수의 동생, 상철(백성현)은 그녀가 떠나버린 세계에 아직까지 발을 디디고 있는 인물로 구동백과 결을 같이 한다. 그는 한지수가 자신 때문에 외국에 보내졌다는 자책감에 부쳐준 돈보다는, 어린 시절 자전거를 사주기 위해 몇 달을 걸어 다녔던 누나를 더 그리는 인물이다. 그 돈으로 구동백이 수십 대의 자전거를 구입해 아이들에게 자선행사를 하는 장면은 돈이 때로는 거래가 아닌 마음으로 전화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한지수의 눈물은 거래의 세계 속에서 잊었던 그 마음을 되찾게 해준데 대한 고마움의 발로이다.

'그바보'는 돈이면 뭐든 다 된다는 이 무례한 세상에 예의를 전하는 드라마다. 그리고 이것은 작금의 불황을 맞아 자극적으로만 치닫는 드라마 세상에도 해당되는 이야기다. 불황에 시청률 같은 수치적 집착은 더욱 심해졌고, 드라마들은 그 와중에 감정 또한 거래할 수 있는 그 무엇으로 여기는 것만 같다. 이야기의 맥락과는 상관없이 막장으로 치달으면서 공분을 일으켰다가 또 어느 순간 적당히 풀어내는 것을 반복하며 시청자들의 마음을 쥐락펴락하려는 드라마들이 그렇다. 하지만 어디 시청자의 마음이 그리 호락호락할까. 한지수 같은 자본의 세계 속에서 살고 있어도 구동백 같은 변치 않는 순수한 마음은 언제나 남아있게 마련이다. 이것이 '그바보'의 구동백을 보면서 느껴지는 감동과 부끄러움의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