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그바보', 웃음 없는 세상을 미소 짓게 하다

728x90

한지수의 무표정은 우리의 얼굴이다

'그저 바라보다가(그바보)'에서 톱스타인 한지수(김아중)의 표정은 늘 굳어있다. 미소를 지어도 연기하는 듯 하고, 대중들이나 기자들 앞에서 설 때면 그녀는 실제로 연기를 한다. 아무리 슬픈 일이나 힘겨운 일이 있어도 그 얼굴에는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다. 감정이 드러나는 그 순간, 그것은 자신에게 덧씌워진 이미지를 깨뜨리기 때문이다. 늘 외부의 시선을 의식해야 하는 그녀의 삶은 따라서 어느 정도는 늘 연기하는 삶이다.

그리고 이것은 한지수가 처한 불행의 실체이기도 하다. 스타라는 존재는 수많은 대중들에 의해 올려다 보여지지만, 바로 그 수많은 눈들에게 보여진다는 점이 자신의 삶을 살 수 없게 만든다. 그녀는 그래서 자신이 스타가 되기 전의 모습으로 자신을 바라봐주었던 김강모(주상욱)를 사랑한다. 그런데 연기하는 삶은 연기자에게만 해당되는 이야기가 아니다. 정치인이나 기업가 역시 연기하는 삶을 살아갈 수밖에 없다. 아버지에 의해 정치에 입문하는 김강모의 삶은 한지수의 삶과 다르지 않다.

연기하는 삶을 살아야 하는 두 사람의 사랑이 연기가 되어버리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결과일 것이다. 외부의 시선을 의식해야 하는 그들의 사랑이 뒤틀어지는 건 그 때문이다. 그들은 여전히 서로를 사랑한다고 믿고 있지만 그것은 어쩌면 연기하는 자아가 스스로에게 만들어낸 가짜일지도 모른다. 그런 그들 앞에 자신의 감정을 솔직히 드러내는 순수한 바보 같은 남자, 구동백(황정민)이 등장한다. 그리고 구동백 앞에서 한지수는 그 굳어진 얼굴이 차츰 얼음 녹듯 풀어져가는 것을 느낀다.

바로 이 한지수의 '잃어버렸던 자기 표정 찾기'는 '그바보'가 말하려는 전부이기도 하다. 초반부 김아중의 연기력 논란까지 불러일으킨 한지수의 마네킹처럼 굳어있는 얼굴이, 이제 와서 조금씩 진정한 웃음과 눈물을 통해 표정을 찾아가는 과정은 따라서 다분히 의도적으로 설정된 것들이다. 톱스타로서의 한지수가 가진 상품화된 얼굴이 구동백이라는 순수의 인물을 만나 차츰 인간으로서의 얼굴로 변화해가는 과정은 배우 김아중이 이 드라마를 통해 희구하는 것이기도 하다. CF퀸으로서의 늘 똑같은 얼굴이 아니라, 연기자로서의 여러 솔직한 얼굴들을 갖게 되는 것. 그것이 김아중의 바람이다.

그리고 이 바람은 이 드라마를 보는 우리들의 바람이기도 하다. 사실 사회생활을 하는 사람치고 어느 정도 연기하는 삶을 살아가지 않는 사람이 어디에 있을까. 조직생활을 통해서 우리는 울고 싶을 때도 웃어야 하고, 웃고 싶어도 심각해야 하며, 때론 화가 나도 침묵해야 하는 그런 얼굴을 차츰 갖게 되었다. 언젠가 문득 거울을 들여다보면 거기 낯선 자신이 서 있는 그 느낌만큼 슬픈 일이 있을까. 순수했던 그 때의 얼굴을 찾고 싶은 것은 인지상정일 것이다.

'그바보'는 웃음 없는 세상에 미소를 가르쳐주는 드라마다. 한지수의 잃어버린 얼굴이 표상하는 것은 언젠가부터 그렇게 되어버린 우리들의 무표정한 얼굴이다. 거래의 세계 속에서, 그 연기해야 살아갈 수 있는 세계 속에서 우리들의 바보, 구동백은 그러지 않아도 충분히 우리는 행복하게 살 수 있다고 말한다. 실로 이 땅을 미소 짓게 하는 이들은 바보인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