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미실과 덕만 사이, '선덕여왕'의 현명한 선택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미실과 덕만 사이, '선덕여왕'의 현명한 선택

D.H.Jung 2009. 5. 26. 13:26
728x90

악으로 세우고, 선으로 무너뜨린다

'선덕여왕'은 이야기 구조가 흥미롭다. 제목이 '선덕여왕'이라면 응당 그 선덕여왕에 해당하는 덕만공주(이요원)가 먼저 등장하는 것이 정석. 대체로 이런 경우 성장한 덕만공주의 이야기를 도입부에 넣고, 플래쉬 백으로 과거로 돌아가 어린 시절부터 다시 거슬러오는 수순을 밟기 일쑤다. 하지만 '선덕여왕'은 그런 공식을 따르지 않았다.

아예 첫 회에 덕만공주(아역이라도)를 등장시키지 않았고, 대신 미실(고현정)을 전면에 내세웠다. 즉 첫 회는 미실이 가진 막강한 권력과 그럼에도 채워지지 않는 권력욕, 그걸 채우기 위해 뭐든 하는 위악적이면서 섬뜩한 유혹으로서의 그녀의 면모를 보여주는데 온전히 할애했다. 그렇다면 차라리 제목을 '미실'로 할 것이지 왜 '선덕여왕'으로 했을까.

이 부분에서 엿보이는 것은 이 드라마가 취한 고민의 흔적이다. 사실 미실이라는 인물은 최근 문화계에서 주목받는 여성이다. 김별아의 소설을 통해 재탄생된 미실은 그저 역사가 재단한 요부, 요녀의 틀을 넘어서는 인물로 현대적인 새로운 여성상을 이끌어낸 주인공이다. 소설 속에서 미실은 운명의 틀 속에 사로잡혀 태어났지만, 거기에 함몰되지 않고 자기 운명을 개척해나간 인물이자, 욕망과 본능에 충실하면서도 요녀로 전락하지 않은 자유영혼의 소유자로 그려진다.

따라서 이 시대에 사극의 소재로서 적합한 인물로만 따진다면 그건 선덕여왕이 아니라 미실일 것이다. 그 파격적인 팜므파탈의 여성은 시대를 넘어 자유를 꿈꾸고 자기 욕망을 억압하지 않는 현대여성의 한 아이콘이 아닐 수 없다. 작가들이 밝힌 대로 그들이 미실이라는 매력적인 캐릭터를 창조하기 위해 많은 공을 들인 이유는 바로 그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바로 이 지점에서 부딪치는 것이 사극이 갖는 보편적인 정서와의 대립이다. 아무리 식상하다고 해도 우리네 사극에서 선악구도는 빠질 수 없는 것이며, 그 주제가 여전히 권선징악에서 대중적인 호응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은 엄연한 현실이다. 그러므로 미실이라는 캐릭터는 이 시대가 요구하는 매력적인 캐릭터이면서도 사극으로서의 보편성에서는 벗어나 있는 딜레마를 가지게 된다.

'선덕여왕'이 미실이 아닌 덕만(훗날 선덕여왕)을 주인공으로 내세운 것은 이런 딜레마를 벗어나기 위해서다. 이런 상반된 두 인물을 차례로 세움으로써 이 드라마는 두 가지의 재미를 모두 갖게 되었다. 그 첫째는 미실이라는 팜므파탈이 만들어가는 파격적인 욕망의 질주를 보는 재미이며, 둘째는 이 벽처럼 존재하는 욕망의 화신, 미실의 세상을 하나씩 허물어가면서 선의 세상을 구원해가는 덕만의 성장스토리가 주는 재미다.

먼저 미실을 세우고 그 다음 덕만을 등장시키는 '선덕여왕'의 선택은 여러모로 현명하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은 파격적인 내용을 가지고도 전통적인 시청자들을 편안하게 끌어들일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한다. 한 가지 바람이 있다면 미실을 그저 악독한 요부로만 그리지 않았으면 하는 것이다. 누가 봐도 선악의 대결처럼 보이고 그것이 사극을 보는 보편적인 정서라도 말이다. 선악의 대결이 아닌 서로 다른 생각을 가진 두 여성의 대결을 병치시키는 건 여전히 사극의 작법에서는 위험한 시도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