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조의 여왕'이 내조한 그들은?
취업의 벽을 간신히 통과해 겨우겨우 조직에 적응해나가고 있는 신입사원 달수씨(오지호), 회사에서 시키는 대로 다 했지만 결국 팽 당한 부장님 준혁씨(최철호), 모든 걸 다 가진 줄 알았지만 정작 자기 행복 한 자락 쥐지 못하고 살아온 사장님 태봉씨(윤상현). 드라마 '내조의 여왕'이 내조한 이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우리 시대 남성들의 한 전형을 만날 수 있다. 겉으로 보기엔 멀쩡해 보여도 안을 들여다보면 조직사회 속에서 받은 상처들로 가득하다. 어딘지 부족해보여서일까. 그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고, 내조하고픈 마음이 소록소록 돋는 이들의 진짜 매력은 무엇일까. 그들이 표상하는 우리 시대 남성들의 얼굴을 들여다보자.
사회성 부족 신입사원 달수씨, 그 순수함의 양면성
온달수라는 이름은 온달과 백수의 합성어처럼 읽힌다. 취직을 못해 방구석을 전전하지만 좋은 아내를 얻어 그럭저럭 살아가는 모습이 그렇다. 그는 순진하게도 가난해도 사랑 하나만 가지면 충분히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다고 믿어왔다. 또 직장상사에게 잘 보이기 위해 갖은 아양 다 떨어가며, 손금이 없어져라 손바닥 비벼대지 않아도 실력 하나로 능력을 인정받을 수 있을 거라고 믿어왔다. 하지만 웬걸? 세상은 자신의 생각과는 정반대로 움직인다. 능력 없어도 줄만 잘 서고 아부 잘 떨면 승진하고, 행복도 돈이 있어야 얻을 수 있는 게 세상이다.
'내조의 여왕'의 온달수는 바로 이 갓 사회에 나와 아직 때가 덜 묻은 새내기 샐러리맨의 자화상을 담고 있다. 순수함이 여전히 남아있지만 사회는 조금씩 그 순수함을 어리석은 것으로 치부하고, 사회적응이라는 이름으로 때를 묻힌다. 어딘지 가볍고 비굴해 보이는 선배사원들의 패배주의적인 적응기를 영웅담처럼 들어가며, 자신의 직장 내에서의 롤 모델을 찾게 된다. 그 모델은 당장의 눈앞에 가장 높은 존재인 한준혁 부장이다. 자신이 성공하면 앞으로 서 있게 될 그 모습. 하지만 온달수의 눈에도 아니 시청자의 눈에도 그 한준혁의 모습은 어딘지 바람직해 보이지는 않는다.
조직에만 몰두하는 준혁씨, 그 치열함의 양면성
조직에서 초고속승진의 신화로 불리는 한준혁은 성공하기 위해 가정도 뒤로 접어 둔 채 앞만 보고 달려왔다. 자신의 성공 줄을 쥐고 있는 직장 상사를 위해 헌신해온 그는 상사의 정치적인 선택을 위해 동료를 짓밟고 회사의 이익을 저버리는 행위까지도 마다하지 않았다. 자신을 키워주는 건 회사가 아니라 바로 자신의 상사이기 때문. 그렇게 치열하게 살면 성공이 손아귀에 들어올 줄 알았다. 하지만 웬걸? 그토록 믿었던 직장상사는 어느 순간 쓸모없어진 자신을 가차 없이 내버린다. 뒤돌아보니 남은 건 피폐해진 가정뿐이다.
'내조의 여왕'의 한준혁은 치열하게 성공을 향해 달려왔지만 그 끝자락에서 IMF를 맞고 어이없게 퇴출당한 우리네 중년들을 닮았다. 그를 그 자리까지 이끌어준 것이 자신의 능력과 김홍식 이사(김창완)같은 회사에서의 줄 때문이라 생각했던 것은 이즈음 깨져버린다. 그리고 돌아보면 거기 자기 한 사람을 위해 똑같이 치열한 삶을 산 아내 양봉순(이혜영)이 있다. 지독히도 성공만을 바라보며 살았고, 그토록 자신을 지지해줄 것이라 믿어왔던 조직은 그를 저버렸지만, 그래도 끝까지 남아준 것은 가족들뿐이다.
다 가진 것 같던 태봉씨, 그 물질적 풍요로움의 양면성
반면 조직 내에서 사실 상의 모든 권력을 손에 틀어쥐고 있는 허태준 사장(일명 태봉씨)은 모든 걸 다 가진 것 같지만 사실은 아무 것도 손에 쥔 것이 없는 인물이다. 경제적 원칙(?)에 따라 사랑 없는 결혼을 했고, 회사 바깥으로만 나돌았다. 무식해보이고 어딘지 허점이 많아 보이는 천지애(김남주)가 보여주는 가식 없는 모습에 마음이 끌린 건 아마도 그 모든 것이 가짜 같은 물질적 풍요로움의 세계 속에서 그것이 진짜 사람 냄새라고 느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물론 판타지에서나 가능한 이야기지만, 누구에게도 진심으로 내조 받지 못하면서도 숨어서 천지애의 수호천사가 되는 허태준 사장은 어찌 보면 이 드라마에서 가장 외로운 인물처럼 보인다. 게다가 감상에 빠져있을 때, 사장이라는 자리는 늘 그 자리를 노리는 자들로 인해 위태로워지기 마련이다. 아버지의 갑작스런 죽음이 가져온 위기 앞에서 그는 "자신을 믿어주는 사람의 믿음을 저버리지 말라"는 아버지의 말을 떠올린다. 사람 냄새는 취하려고 해서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저 스스로 그런 행동을 할 때 얻어지는 것이란 걸 이제야 그는 알아챈 듯하다.
달수씨, 준혁씨, 태봉씨.(그리고 이들과 정확히 짝패를 이루는 나머지 반쪽인 천지애, 양봉순, 은소현(선우선).) 그들이 이 드라마를 통해 그려내는 풍경에는 현재 우리네 조직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이들의 자화상이 담겨 있다. 아마도 이 수직적인 체계 속에 놓여있는 이들이 점차 경쟁자에서 동지로 바뀌어가는 것을 목격했다면 이 드라마가 보내는 우리네 사회의 남성들(여성들)에 대한 내조의 마음을 본 때문일 것이다. '내조의 여왕'이 내조한 그들은 다름 아닌 바로 우리들이다.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바보', 웃음 없는 세상을 미소 짓게 하다 (0) | 2009.05.28 |
---|---|
미실과 덕만 사이, '선덕여왕'의 현명한 선택 (1) | 2009.05.26 |
'찬란한 유산', 그 괴력의 정체는? (1) | 2009.05.18 |
'그바보', 구동백의 사랑법이 시사하는 것 (1) | 2009.05.15 |
'신데렐라맨', 진품이 될까 짝퉁이 될까 (0) | 2009.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