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애시대에 이은 또 다른 사랑의 해석, ‘썸데이’
‘연애시대’로 명품 드라마 시대를 연 옐로우 필름의 ‘썸데이’는 다시 ‘사랑이란 무엇인가’란 질문을 들고 시청자를 찾았다. 어찌 보면 이것은 흔하디 흔한 질문, 수많은 드라마에서 다루었던 주제가 아니던가. 만일 그래서 “또 사랑타령인가”하고 넌덜머리를 치는 사람이라면 이 드라마를 볼 자격이 있다. ‘썸데이’는 자극적이고 관습화된 사랑 이야기로 가득한 드라마들의 먹구름 속에 한 조각 떨어지는 햇살과 같은 드라마다.
사랑 따윈 없어! - 야마구치 하나
드라마는 시작부터 ‘사랑 따윈 없다!’는 화두를 던진다. 사랑은 호르몬의 장난이며 모든 이에게 상처와 배반감만을 안겨준다는 야마구치 하나(배두나 분). ‘멜로의 해부학자’란 별명이 말해주듯 그녀의 사랑에 대한 불신이 이 드라마의 전체를 장악하는 힘이다. 이것은 아마도 드라마를 시청하는 시청자들의 마음과 같을 것이다. 그러니 야마구치 하나가 앞으로 걸어갈 길과, 그 길 위에서 만날 사람들과, 그들과의 사랑, 이별 등이 어찌 남의 일 같을까.
그러니 이 드라마의 결론은 이미 나와 있다. 야마구치 하나가 믿지 못하던 사랑을 믿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드라마는 결론이 중요하지 않다. 모든 길의 끝이 정해져 있지만, 그 길을 가는 여정이 우리네 인생이듯이, 이 드라마가 하려는 이야기는 그 도정에 있지 끝에 있지 않기 때문이다. ‘멜로의 해부학자’는 과연 어떤 감정의 화학변화 속에 빠져들 것이며, 그것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이것이 이 드라마라는 유기체가 중추로 세우고 있는 뼈대이다.
그 사랑이 궁금하다 - 고진표
그 사랑이라는 실험실을 잔뜩 호기심을 갖고 기웃거리는 남자가 고진표(김민준 분)다. 그의 호기심은 자신이 좋아하던 만화가, 야마구치 하나가 만화를 그리지 않는다는 사실에서부터 출발한다. 그가 그녀의 만화의 광팬이란 점은 ‘사랑 따윈 없다’는 그 사랑관에 스스로도 동조하고 있었다는 걸 미루어 짐작케 한다. 그러나 바로 그 점 때문에 그녀가 만화를 그리지 않게 됐다는 사실은 그에게도 어떤 변화를 요구한다.
최소한 그녀에게 도움을 주어 계속 만화를 그리게 하는 어떤 것. 그 간섭에서부터 그의 사랑은 시작된다. 그 자신이 그녀의 사랑관을 바꾸고 싶게 되는 것이다. 그의 직업이 의사, 그것도 정신과 의사라는 점은 그가 가진 캐릭터의 양면성을 잘 말해준다. 상대방의 얘기를 들어준다는 것은 자신의 직업이기도 하지만, 그 일과 사람에 대한 관심은 종종 그 경계가 모호해지기 마련이다. 그는 마치 의사처럼 하나에게 접근하지만, 쉽게 그 경계를 넘어서 버리며 그런 자신을 또한 그 스스로 알아차린다.
사람, 혹은 사랑을 찾는다 - 임석만
고진표가 그 경계에서 머뭇거리는 사람이라면 임석만은 거침없이 경계를 넘나드는 사람이다. 이 드라마의 큰 줄기는 야마구치 하나가 한국에 와서 구미코의 행방을 쫓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임석만의 직업은 드라마의 또 한 축이 된다. 그는 흥신소라고는 하나 사람을 찾아주는 일을 한다. 사람을 찾는 일은 때론 사랑을 찾는 일이 되기도 한다. 그 사람이 과거 잃어버린 사람들에 대한 상처를 갖고 있는 경우에는.
그는 터전 없이 떠돌아다니는 인생이다. 그는 늘 길 위에 서 있고 그 길에서 사람들을 찾는다. 임석만이라는 캐릭터의 삶은 자못 상징적이다. 인생이란 길을 걸으며 그 위에서 사람들을 만나고 헤어지고, 의미를 찾는 건 우리네 삶을 그대로 상징한다. 사랑하는 사람들을 모두 잃어버렸다는 그의 상황은 그 치유될 수 없는 상처로 인해 사랑을 찾아다녀야 하는 인간의 운명적 순환을 예감케 한다. 그리고 그 길 위로 야마구치 하나가 동행하게 된다.
삼각, 사각, 시한부, 출생의 비밀 따윈 버려! - 윤해영
이 길 위에 또 한 명의 인물이 서성댄다. 그 인물은 어찌 보면 야마구치 하나와 유사하다. 사랑을 주제로 만화를 그리는(물론 사랑은 없다는 주제이지만) 야마구치 하나와 마찬가지로, 애니메이션 PD인 윤해영은 사랑을 주제로 하는 애니메이션을 만든다. 하나가 ‘사랑은 없다’는 인식을 갖고 있는 것처럼, 윤해영은 ‘사랑 이야기’가 갖는 상투성을 혐오한다. 삼각관계, 사각관계, 시한부 인생, 출생의 비밀 따윈 집어치라는 그녀의 말 속엔 저 하나가 말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 존재한다.
사랑하는 여자를 쫓아다니며 병원에 입원까지 한 사장이 ‘연애는 본래 그런 것’이라며 그녀에게 말할 때, 그녀는 그 상투성에 고개를 젓는다. 그런 그녀에게 위안을 주는 인물은 고진표다. ‘사랑은 없다’는 쿨한 모습으로 상투성을 벗어 던진 그의 몸에 밴 호기심과 배려는 그녀를 편안하게 만들어준다. 그녀는 상투적인 사랑보다는 쿨한 배려를 원하는 것이다. 그런 그녀에게 석만의 출연은 새로운 변화를 예고한다. 애니메이션이든 그녀의 삶이든 분석적인 사랑의 접근을 해오던 그녀가 맞닥뜨리는 것은 살아있는 사랑의 이야기다.
실재하는 운명적 사랑의 이야기
고진표라는 캐릭터를 빼놓고, 이 드라마의 인물들은 모두 사랑을 믿지 않는다. 이러한 캐릭터들은 이 드라마가 하려는 이야기를 잘 대변한다. 드라마는 상투적인 사랑 이야기의 혐오에서 비롯되고 그 사랑의 실체를 찾기 위해 길을 떠나는 것이다. 그리고 그 길을 이끄는 것은 영길과 구미코의 운명적 사랑이다. 야마구치 하나는 어느 날 갑자기 텅 빈 골목처럼 스산한 마음에 들려오는 빗자루 소리를 듣게되고 그 소리가 더 이상 들려오지 않는 새벽에 그 운명적 사랑과 조우한다.
길을 떠나는 네 사람. 사랑에 대한 서로 다른 견해들은 결국 이 운명적 사랑 이야기의 커다란 강물 위에 흘러가고 녹아버린다. 드라마 상으로 그것이 단지 이야기 속이 아닌 실재라는 측면에서 이 드라마는 관습적이며 자극적으로만 그려져 왔던 사랑이라는 소재의 겉껍질을 벗겨내고 맨살을 드러내려 하고 있다. 자극 없는 정제된 화면과 스토리를 끌어가는 것이 아닌 감정의 흐름을 담담히 밀고 나가는 듯한 연출은 이러한 실험적인 시도와 잘 맞아떨어지는 것 같다. 기존의 자극에 길들여진 분이라면 조금은 지루하게 느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 자극이 지겨워진 분이거나, 그 자극으로부터 무언가 정화되길 원하는 분들이라면 이 드라마는 한 사발의 정화수가 기꺼이 되어줄 것이다.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몽’, 시즌 드라마가 될 순 없는 건가 (0) | 2006.11.17 |
---|---|
싸가지 귀족녀들이 뜨는 이유 (0) | 2006.11.15 |
30대 여성의 등을 토닥이는 ‘여우야 뭐하니’ (0) | 2006.11.10 |
카리스마는 주몽보다 황진이다 (0) | 2006.11.10 |
‘황진이’, 그 아름다움의 이유 (0) | 2006.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