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성인된 '선덕여왕', 그 가능성과 숙제

728x90

이미지의 충돌, 미션으로 승부

'선덕여왕'이 아역들을 떠나보내고 성인연기자들을 본격적으로 출연시켰다. 사실 드라마에서 아역의 존재는 가능성이면서도 그 자체로 위험의 요소가 되기도 한다. 아역이 성인으로 넘어가는 과정은 배역과 시간의 변화로 인해 반드시 이미지의 충돌이 생겨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선덕여왕'처럼 어린 덕만(남지현)이 호연한 드라마라면 더욱 그럴 수밖에 없다. 성인 역할을 맡은 이요원이 부담을 느끼게 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게다가 지금껏 가녀린 이미지의 역할을 해온 이요원으로서는 그 이미지를 깨고 새로운 연기변신을 해야 하는 숙제까지 떠안았다. 본인 스스로 그런 자신의 고정된 이미지가 지긋지긋하다고 밝혔을 정도로 그녀에게 이 역할을 모험이자 기회인 셈이다. 그렇다면 그 결과는 어땠을까. 생각보다 아역에서 성인역으로 넘어온 덕만에게서 발생할 수 있는 이미지의 충돌은 덜한 편이다. 심지어 소리를 바락바락 지르는 모습에서는 어린 덕만의 모습이 중첩되는 느낌을 주기도 한다.

이런 무난한 느낌을 주는 데는 물론 몸을 사리지 않는 연기를 보여준 이요원의 자세가 가장 큰 몫을 차지했지만, 드라마의 긴박한 이야기가 가진 힘이 작용한 결과임을 무시할 수는 없을 것 같다. 먼저 덕만은 극 중에서 남장여자의 캐릭터로 존재한다. 따라서 이요원에게서 여성적인 면모를 지워낼 수 있는 기본전제를 제공한 셈이다. 그 중성적 배역이 연기자에게 주는 낯선 힘은 이미, '커피 프린스 1호점'의 은찬(윤은혜)이나 '바람의 화원'의 신윤복(문근영)을 통해 입증된 바이다.

여기에 속도감 있게 전개되는 스토리는 계속 되는 미션 제시로 재빠르게 성인 연기자들을 배역의 새로운 이미지로 정착시켜 나갔다. 화랑들 간의 대결구도를 전면에 내세웠고, 그 속에 백제와의 전쟁을 중첩시킴으로써 '선덕여왕' 특유의 미션사극이 가진 힘을 이미지 변신의 한 과정으로 활용해나갔다. 이로써 미션의 제시와 그 해결과정이 주는 캐릭터의 성장은 성인 연기자들에 와서도 여전히 진행형이 되는 셈이고, 이것은 현재 보여진 이미지(아역에서 넘어와 아직은 낯선)가 앞으로도 변화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갖게 만든다.

이러한 미션의 제시는 가녀린 여성 캐릭터에 강인한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일찍이 김영현 작가는 '대장금'에서 그 가녀린 이미지의 이영애를 누구보다 강한 이미지로 만들어낸 경험이 있다. 즉 고정된 이미지를 넘어설 수 있는 것은 캐릭터에 끝없이 고난과 역경을 제시함으로써 가능했다는 것이다. 이요원은 지금 바로 그 첫발을 디디고 있는 셈이고, 그 결과는 무난한 편이다. 이요원이 이처럼 차츰 성장해나가는 모습을 통해 기존 가녀리기만 했던 이미지를 벗어버릴 수 있게 된다면, 이 사극은 미실 역할의 고현정에 이어 또 한 명의 연기변신을 선보이게 되는 셈이다.

물론 이 사극의 성인연기자로의 재배치에 남은 숙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의외로 그것은 덕만 역할의 이요원에게서보다는 김유신 역할의 엄태웅과 천명공주 역할의 박예진에서 발견된다. 엄태웅은 이미지 자체가 너무 강해서 어린 아역과의 부조화가 크게 나타난 면이 있고, 박예진은 그 역할 자체가 새로운 미션을 제시받지 못함으로써 현재 모습이 성장의 과정이 아닌 고정된 이미지로 보이게 되는 부담이 있다. 결과적으로 보면 이 모든 숙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 또한 스토리 속에 그 열쇠가 있다고 봐야 한다. 이들이 성인이 되어서도 계속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줄 수 있는 스토리는, 어린 아역의 이미지를 그저 성인들이 물려받았다는 오해를 불식시켜줄 수 있는 유일한 길이다. 아역에서 성인연기자로 넘어오며 생겨나는 문제는 물론 연기자의 능력에서 비롯되는 경우도 있지만, 무엇보다 그 성인연기자가 가진 캐릭터가 성장하는 아역과 달리 성장을 멈추는 데서 발생하는 경우가 더 많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