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드라마, 착한 바보들이 떴다, 왜?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드라마, 착한 바보들이 떴다, 왜?

D.H.Jung 2009. 6. 24. 23:29
728x90

'찬란한 유산'의 고은성, '시티홀'의 신미래

‘바보’의 사전적 의미는 ‘멍청하고 어리석은 사람’. 본래 ‘밥+보’에서 나온 이 말은 ‘밥만 먹고 하릴없이 노는 사람’을 경멸하는 의미로도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경제적인 가치가 최우선 가치로 치부되던 개발 시대를 넘어, 이제는 그 부의 올바른 획득이나 올바른 사용이 새로운 가치로 부각되는 현재에 이르러, 이 ‘바보’라는 용어는 새로운 의미로 우리에게 다가온다. 지나치게 경제논리에만 입각해 살아오다보니 우리가 잊고 또 잃고 있었던 가치들을 여전히 지키고 굽히지 않는 이들. 지금 시대의 ‘바보’는 바로 그런 의미를 부가하고 있다.

드라마 속 바보들, 그들의 지극히 상식적인 삶
SBS 주말드라마 ‘찬란한 유산’의 은성(한효주)은 바로 그런 의미에서의 바보다. 그녀는 아버지의 갑작스런 사망소식(물론 그 아버지는 실제로는 살아있다)과 함께 계모인 백성희(김미숙)에게 유산을 모두 빼앗긴다. 길바닥으로 장애아인 동생과 함께 내동댕이쳐져 심지어 자살을 결심할 정도로 절망에 빠지기도 하지만 바로 그 동생 때문에 곧 털고 일어났던 그녀는 그토록 소중한 동생마저 잃어버린다. 자기 자신 돌보기도 힘겨운 이 상황 속에서 누군가를 돕는다는 것이 가능하기나 한 일일까.

하지만 그녀는 바로 자신이 그토록 많은 것을 잃고 아파해했던 그 경험으로 인해, 그 누군가에게 구원의 손길을 내민다. 기억마저 잃고 길바닥에 쓰러진 장숙자(반효정) 여사를 집으로 데려와 지극정성 보살피는 것. 흔히들 “가난한 사람이 가난한 사람의 마음을 알아 서로 돕는다”는 말은 여기에 해당되는 말이다. 버려진 경험이 있는 그녀는 자신에게 혹처럼 달라붙은 장숙자 여사를 힘겨워하면서도 절대로 버리지 못한다. 후에 장숙자 여사가 사실은 굴지의 기업 대표임을 알게 되고 그녀가 모든 유산을 자신에게 남겨주겠다는 말을 하는데도 은성은 사심을 갖지 않는다. 그녀에게는 유산보다는 장숙자 여사와의 관계가 더 중요한 가치이기 때문이다.

종영한 드라마, ‘그바보(그저 바라보다가)’에서 구동백(황정민)이라는 우체국 직원은 한지수(김아중)라는 톱스타를 만나 사랑을 이룬다. 전형적인 신데렐라 이야기 같지만 실상은 정반대다. 모든 것이 상업적인 잣대로 구획된 세계 속에 살아가는 한지수는 거꾸로 구동백이라는 제목 그대로의 ‘그바보’를 만나 자신의 잘못된 삶을 되돌리게 된다. 이것은 ‘시티홀’에서 10급 공무원인 신미래(김선아)를 허수아비 시장으로 세워 인주시를 장악하려 했던 조국(차승원)이 거꾸로 그녀의 순수한 정치적 행보에 감화되는 것과 궤를 같이 한다. 가만 생각해보면 이 ‘바보들’의 행보는 지극히 상식적이지만 현실 앞에서는 지극히 어려운 일들이 되어버린다. 이것은 거꾸로 상식을 지키기 어려운 현실을 반영한다.

바보들이 전하는 진심, 서민들의 꿈
그렇다면 그들이 말하는 상식적인 가치는 무엇일까. 먼저 ‘찬란한 유산’의 은성이 말해주는 것은 유산이 비단 물질적인 것만을 말하는 것은 아니라는 전언이다. 자본주의 사회 속에서 유산이라면 흔히 변호사가 대동되고 공증된 유서가 읽혀지는 그런 재산의 의미로 읽혀질 수밖에 없다. 이것은 또한 물려진다는 의미에서 핏줄과 혈연의식을 벗어나기가 어렵다. 하지만 ‘찬란한 유산’에서 은성이라는 바보를 통해 말하는 유산이란, 그런 물질적인 것이 아닌 정신적인 유산을 말한다. 부모가 가르쳐준 정직이나 신뢰, 부지런함 같은 것들이 그런 핏줄과 혈연으로 연장되는 물질적 유산보다 더 중요한 가치라는 말이다.

‘그바보’의 구동백이 말하는 가치 역시 이 물질화된 사회와 관련이 있다. 우리는 모두가 자신의 가치를 연봉 얼마로 수치화할 수 있는 사회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따라서 돈이면 다 되는 것 같은 태도의 예의 없는 세상 속에서 구동백은 진정한 관계와 소통을 전하는 예의바른 인물이다. 구동백이라는 서민이 거꾸로 한지수라는 물질화된 사회의 표상으로서 그려지는 톱스타를 감화시키는 내용이 감동적인 것은 그 때문이다.

‘시티홀’은 드라마가 정치를 다루기 때문에 현 우리네 정치적 현실에 대한 빗나간 가치들을 신미래라는 바보를 통해 보여준다. 그녀는 정치는 신념이 아니라 돈으로 해나간다는 현실 속에서, ‘정치란 못 사는 사람 좀 더 잘 살게, 또 잘 사는 사람 좀 더 베풀게’하는 것이라고 설파한다. 물론 현실에서라면 공허한 이상이 될 가능성이 높은 이 말은 그러나 드라마라는 판타지적 공간 속에서나마 어떤 희망을 발견하고픈 대중들의 마음을 움직인다.

드라마가 그려내는 이 시대의 바보들은 흔히 서민들의 모습을 그대로 담곤 한다. 이것은 이들 드라마들이 전하는 가치들이 고단하게 바보처럼 살아가는 서민들이 꾸는 꿈이기 때문이다. 그러니 이 바보들이 전하는 진심의 소리가 큰 울림을 갖지 않을 수 있을까. 이들을 통해 때론 슬프고 때론 웃기며 때론 그동안 잊고 있던 어떤 희망이나 꿈을 찾게 되는 것은 바로 그 진심이 우리에게도 남아있다는 증거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