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파친코, 경계인의 시선으로 포착한 한국, 한국인카테고리 없음 2022. 4. 6. 14:26
‘파친코’가 담아내고 있는 한국인의 저력 “1910년 일본은 제국을 확장하며 한국을 식민지로 삼았다. 일제 치하에서 많은 한국인이 생계를 잃고 고향을 뒤로하고 외국 땅으로 떠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인들은 견뎠다. 가족들은 견뎠다. 여기 몇 세대에 걸쳐 견뎌낸 한 가족이 있다.” 애플 오리지널 시리즈 는 이런 자막으로 시작한다. 이 드라마는 시작부터 한 가족이 4대에 걸쳐 버텨내고 견뎌낸 삶을 담겠다고 한다. 자못 비장한 자막이 흘러나온 후 드라마는 선자의 어머니 양진(정인지)의 결의에 찬 얼굴을 비춰준다. ‘몇 세대에 걸쳐 견뎌낸 한 가족’을 그리는 것이지만, 그 중심에 바로 여성이 있다는 걸 드라마는 그렇게 말한다. 무당을 찾아온 양진은 어머니가 박복했고 자신까지 낳아 고생하다 돌아가셨고 아버지는..
-
‘홍천기’가 그리는 청춘들의 화룡점정은 어떤 위로를 줄까카테고리 없음 2021. 9. 8. 18:55
‘홍천기’, 청춘들을 통해 전하는 위로의 메시지 앞을 보지 못한다는 건 어떤 고통일까. 아마도 누구나 당연한 듯 세상을 보는 눈을 가진 채 태어난 이들은 결코 알 수 없는 고통일 게다. SBS 월화드라마 의 청춘들은 번갈아가며 앞을 못 보는 저주를 입은 채 살아간다. 마왕을 그림 속에 봉인하기 위해 영종어용을 그린 아버지 홍은오(최광일)로 인해 홍천기(아역 이남경)는 앞을 못 보는 마왕의 저주를 받은 채 태어난다. 한편 마왕의 봉인식을 주관했던 하성진(한상진)은 토사구팽되어 구사일생으로 살아남는다. 그로부터 9년 후 마왕의 저주로 인해 오랜 가뭄이 찾아오고 그래서 기우제를 올리는 날 홍천기와 하성진의 아들 하람(아역 최승훈)은 운명적으로 만나게 된다. 하지만 성주청 국무당 미수(채국희)가 하람을 인신공양..
-
‘내가 키운다’, 정상가족 신화를 깨고 있다는 것만으로도카테고리 없음 2021. 8. 7. 13:19
‘내가 키운다’, 기꺼이 김나영의 엄마가 되어준 양희은이 감동적인 건 “조금 있으면 어린이날이다. 네 안에 있는 상처받은 어린이를 위해서 준비했어.” 양희은이 써준 카드 속 글귀를 읽는 순간 김나영은 토닥토닥 해주는 느낌을 받았다고 했다. 양희은은 김나영의 상황을 너무나 잘 이해하고 있었다. 특히 연예계에서 어른 없이 혼자 버티고 살아남는다는 게 너무나 힘들 수밖에 없다는 걸. “나는 아이가 없으니까 나영이한테 어른이 필요할 때는 내가 그 노릇을 해주마. 누구한테 마음이 간다는 건 어떻게 설명할 수가 없거든요. 그냥 마음이 가는 거죠. 내 딸이었으면 좋겠다. 그런 마음을 갖고 있죠.” 양희은의 그 말에는 진심이 가득했다. 마치 모녀지간을 보는 듯한 김나영과 양희은. 이들 사이에는 어떤 일들이 있었던 걸까..
-
'모범형사', 손현주와 장승조가 보여주는 모범의 나비효과카테고리 없음 2020. 8. 23. 15:42
'모범형사', 한 사람의 모범으로 엄청난 가치가 생기는 까닭 "은희야. 나 이대철 생각할 때마다 가슴이 바늘로 콕콕 찌르는 것처럼 아파. 쟤가 나 싫다고 도망가도 내가 붙잡고 매달려야 돼. 나 아프지 않게 해달라고. 내가 은혜를 돌봐주는 게 아니라 은혜가 날 돌봐주는 거야." JTBC 월화드라마 에서 강도창(손현주)은 동생 은희에게 그렇게 말한다. 은희는 은혜가 지병까지 갖고 있고 그것이 반복되면 실명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는 오빠 강도창에게 어떻게 책임지려고 그 아이를 데려왔냐고 추궁한다. 그런데 그런 추궁에 강도창은 은혜의 꿈이 미대라는 사실을 오히려 걱정한다. 그리고 동생에게 은혜라도 돌봐줘야 자신의 가슴에 박힌 이대철에 대한 미안함과 죄책감을 버틸 수 있다고 한다. 강도창의 그런 마음을 잘 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