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력
-
'간신'의 노출, 파격적이지만 왜 야하지 않을까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5. 5. 30. 10:15
이 노출을 쓰는 방식은 에로티즘이 아니다 파격. 아마도 영화 을 한 단어로 표현하라면 그것은 ‘파격’이 될 것이다. 지금껏 연산군의 폭정을 다룬 사극들이 그토록 많이 쏟아져 나왔어도 이처럼 폭력적이고 광기에 휩싸인 연산군은 심지어 낯설게 다가올 정도다. 갑자사화를 짧게 묘사하면서 시작하는 방식은 마치 나 의 한 장면처럼 핏빛 폭력을 심지어 경쾌한 터치로 그려낸다. 연산군은 발가벗은 궁녀들이 기묘한 포즈를 취하게 하면서 그걸 그림으로 담아놓는다. 목이 날아가고 팔이 잘려지는 폭력은 살벌할 정도로 리얼하고, 음부가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노출은 놀라울 정도로 과감하다. 거의 끝까지 밀어붙이는 듯한 폭력과 노출은 그래서 서로 그 살을 뒤섞으며 기묘한 긴장과 이완을 만들어낸다. 육체와 살은 이 두 감정을 하나로 보..
-
천만 '어벤져스2'? '매드맥스'라면 몰라도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5. 5. 19. 08:26
와는 다른 의 입소문 질주 79년도에 상영되어 센세이셔널한 반응을 이끌어냈던 멜 깁슨의 를 기억하는 이들이라면 훨씬 다이내믹한 카메라 기술과 CG로 총무장해 다시 돌아온 조지 밀러 감독의 는 더더욱 흥미로울 수밖에 없을 것이다. 과거의 가 사막과 펑키한 폭주족들 그리고 헤비메탈한 스타일을 엮어낸 그 기발한 아이디어에 환호 받았다면 돌아온 는 이것을 심지어 예술적인 영상연출로 만들어낸 하나의 작품이기 때문이다. 모래 폭풍 속으로 뛰어 들어가 질주하는 차들을 잡아낸 영상은 마치 초현실주의 예술 작품의 세계 속에 관객이 앉아 있는 듯한 착각을 일으킬 정도다. 사람을 ‘피 주머니’라고 부를 정도로 물질화되어 보이는 육체가 터지는 폭탄 위로 날아다니고, 질주하는 자동차 위에서 다른 자동차로 뛰어오르는 장면들은 액..
-
옹달샘 기자회견, 무엇이 현명한 후속 처리일까옛글들/명랑TV 2015. 4. 30. 08:50
옹달샘의 급부상과 추락, 그 후폭풍이 의미하는 것 왜 갑자기 2013년에 있었던 사안이 지금 현재 옹달샘에게 끝없는 논란의 샘이 되었을까. 당시만 하더라고 옹달샘은 이른바 A급 연예인으로 뜨진 못했었다. 그러니 상대적으로 말의 수위가 높은 인터넷 팟캐스트 같은 공간을 통해 문제의 발언들을 쏟아낼 수 있었을 것이다. 거기에는 세 사람이 함께 모여 수다를 떠는 과정에서 생기기 마련인 일종의 상승작용 같은 것도 있었다. 기자회견을 통해 장동민이 거론한 ‘막말의 이유’에는 그 내용이 들어가 있다. “방송이란 틀을 벗어나 저희들이 방송을 만들어 가고 청취자들과 가깝게 소통하며 즐거움을 느꼈고, 더 많은 분들에게 큰 웃음 드리고 싶다고 생각했다. 그렇게 웃음만을 생각하다 보니 어느 순간부터 서로가 내뱉는 발언이 세..
-
풍문의 시대, '무도' 식스맨과 소셜포비아옛글들/명랑TV 2015. 4. 10. 12:31
음모론, 이런 재미없는 소설은 왜 퍼질까 식스맨에 장동민이 내정되어 있다는 찌라시는 한 보도매체에 의해 단독으로 기사화됐다. 측은 펄쩍 뛰었다. 그도 그럴 것이 내정되어 있었다면 은 일종의 대국민 사기극을 벌인 셈이 된다. 아무리 찌라시라지만 있을 수도 없는 일이고 또 있어서도 안 되는 일이다. 하루 간의 해프닝으로 끝난 일처럼 보이지만 이런 근거 없는 찌라시의 풍문이 버젓이 단독기사로 올라온다는 사실 뒤안길에는 섬뜩한 면이 있다. 사실과는 다른 이야기가 아예 사실처럼 둔갑되어 언론에 단독보도 되는 상황. 이건 정상적일 수가 없다. 만일 누군가 사실과 다른 그 풍문의 당사자로 지목된다면 그건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최근 개봉한 영화 는 이 네트워크로 얽혀 있는 우리 사회가 가진 집단적인 폭력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