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력
-
'타짜2', 곽도원과 이하늬의 발견만으로도 즐겁다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4. 9. 5. 08:56
, 아귀와 정마담의 빈 자리 채운 곽도원, 이하늬 은 전작의 아우라를 가져가면서도 동시에 그 부담감을 느낄 수밖에 없는 영화다. 의 피 튀기는 긴장감을 이 영화의 공기처럼 만들어버린 아귀(김윤석)나 그 속에서 빛나는 팜므파탈의 매력을 보여준 정마담(김혜수) 같은 캐릭터는 로서는 꼬리표처럼 달고 다녀야 하는 불편한 비교점이다. 실로 가 관객들을 열광시켰던 것은 그 도박판에 꿈틀대는 돈의 욕망과 동시에 목숨을 걸어야 하는 공포가 공존했기 때문이다. 그것을 제대로 만들어낸 캐릭터가 아귀와 정마담이다. 아귀는 돈을 따기 보다는 상대방의 손목을 자르는데 더 흥미를 느끼는 것처럼 보이는 인물이고, 정마담은 한번 빠져들면 헤어 나올 수 없는 치명적인 유혹이다. 만일 이 두 캐릭터의 잔상을 그대로 갖고 비슷한 느낌을 ..
-
'신의 한수', 왜 정우성의 겉만 보여줬을까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4. 7. 6. 09:31
가 그토록 잔인해졌던 까닭 는 바둑을 소재로 한 영화다. 사실 바둑을 대중적인 소재로 만든 건 만화다. 로 유명한 오바타 다케시의 은 대표적이다. 우리나라 작품으로는 를 그린 윤태호 작가의 이 있다. 바둑이라는 소재가 주로 만화에서 빛을 본 것은 이 게임이 결코 일반인들에게는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너무 쉽게 다루면 바둑이 가진 그 신묘한 세계의 재미는 사라지기 마련이다. 만화처럼 책의 기능을 어느 정도 갖고 있는 장르라면 바둑의 좀 더 깊은 세계로 들어갈 수도 있고, 만화의 특성상 판타지적인(우리가 흔히 만화 같다고 말하는) 요소들을 덧붙여 그 어려움과 복잡함을 상쇄시킬 수도 있다. 그렇다면 영화는 어떨까. 사실 대략난감이다. 바둑의 그 셀 수 없이 많은 수들을 일반 관객들에게 어떻게 설명한단 ..
-
'SBS스페셜', 무엇이 철거왕 같은 괴물을 만들었나옛글들/네모난 세상 2013. 10. 22. 08:33
철거왕, 영화 같은 이야기? 끔찍한 현실이다 ‘철거왕’. 마치 조폭영화 제목 같다. 실제로 무수한 조폭을 소재로 한 영화들이 재개발 현장에서 이른바 ‘용역’으로 활동하는 이야기는 우리에게 그다지 낯선 것도 아니다. 하지만 그것을 실제 현실로 실감하는 이들은 그렇게 많지 않을 것이다. 각목과 쇠파이프와 화염방사기, 물대포차, 포크 레인 앞에서 뼈가 부서지고 살이 타면서도 터전을 지키려 안간힘을 썼던 주민들의 고통을 어찌 전부 알 수 있단 말인가. 이 다룬 철거왕 이금열에 대한 이야기는 그래서 마치 조폭 영화의 한 장면처럼 드라마 타이즈된 연출로 시작된다. 성공에 대한 욕망과 가진 것은 몸뚱어리 하나밖에 없는 청년의 비뚤어진 야망 같은 것이 우리가 그들에게 갖고 있는 막연한 이미지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
-
타진요 스캔들이 보여준 우리 사회옛글들/네모난 세상 2012. 7. 10. 08:31
왜 그들은 희생양을 찾았을까 타진요(타블로에게 진실을 요구합니다) 스캔들. 이것은 마치 사이비 종교를 닮았다. 20세기 말 휴거가 일어날 것이라는 예언에도 불구하고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던 그 때의 사건 말이다. 당시 그들은 모두 자신의 믿음이 잘못됐다고 여기며 집으로 돌아갔을까. 아니다. 뇌리에 각인되어버린 믿음이란 그렇게 쉽사리 지울 수 없는 일(고통이 따른다)이기에 그들은 또 다른 믿음을 스스로 만들기 마련이었다. 타진요 공판에서 법정이 증거와 사실정황을 들어 그들에게 유죄선고를 내릴 때조차 몇몇은 끝까지 그것을 받아들이지 못했다. 물론 사법적 판결은 이들의 유죄선고로 일단락됐지만, 그렇다고 이 사건의 불씨가 모두 꺼진 것으로 보긴 어렵다. 무엇보다 타진요 문제를 일으킨 장본인인, 이른바 왓비컴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