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어떤 브랜드의 감독을 좋아하나요

728x90

영화감독 브랜드 시대

당신은 어떤 브랜드의 영화감독을 좋아하나요? 어쩌면 앞으로 영화를 골라보는데 이런 질문들이 기준이 될 지도 모르겠다. 그만큼 영화감독이 가진 브랜드 이미지가 영화의 성패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시대다. 올 한해 우리 영화의 성적표를 보면 작품성이나 상업성 이외에 영화감독의 이미지 또한 흥행에 관건이 되었던 징후들을 읽을 수 있다. 그렇다면 올해에는 어떤 브랜드 이미지를 가진 감독들이 어떤 영화를 들고나와 어떤 결과를 낳았을까.

휴머니스트, 이준익
올 한 해 가장 주목받은 감독은 이준익이다. 작년 말에 개봉한 ‘왕의 남자’가 1230만 명이란 대기록을 세우면서 브랜드 가치를 최대로 높인 이준익 감독. 그 정도면 어깨에 잔뜩 힘이 들어갈 만 했다. 좀 쉬어가면서 대작을 준비할 만도 했던 이준익 감독은 올 9월 예상을 깨고 조금은 평범한 ‘라디오 스타’를 들고 돌아왔다. 1천만 관객 동원 감독의 작품이라고는 생각하기 어려울 정도로 어깨에 힘을 쭉 뺀 이 작품은 1백만 관객을 동원하는데 그쳤다. 하지만 이준익의 휴머니스트 브랜드 이미지를 만드는데는 충분했다. 늘 소외되고 주목받지 못하는 마이너리티에 대한 따뜻한 시선을 담아내는 감독으로 자리매김한 것이다.

괴물, 봉준호
봉준호 감독은 대중성과 작품성 양쪽의 줄을 놓지 않는 감독. 그간 영화계와 관객 모두에게 주목받아온 감독이다. 전작 ‘살인의 추억’에서 대중적인 형사물을 바탕으로 시대적 비의를 담아내는 작품성을 보이며 그 가능성을 예감케 한 바 있다. 영화 ‘괴물’은 역시 그 연장선상에 서서, 괴수영화의 재미에 독특한 풍자의 세계를 그려 넣으면서 올 최다관객을 집어삼켰다. 봉준호는 장르의 변용을 통해 그로테스크하면서도 독특한 재미를 주는 감독으로 괴물의 이미지를 고스란히 갖고 있다. 

타짜, 최동훈
영화 ‘타짜’로 하반기 영화관을 달구었던 최동훈 감독은 스타일리스트다. 작가주의 감독이라기보다는 주어진 작품을 최대한 멋지게 만들어내는 장인이라 할 수 있다. 전작 ‘범죄의 재구성’이 스타일에 비해 내러티브가 떨어지던 단점을, ‘타짜’에서는 허영만의 원작이 커버해주면서 영화는 폭발력을 얻었다. 그 역시 봉준호 감독의 괴물 이미지처럼, 저 현란한 손 기술로 상대를 정신 없게 만드는 타짜를 닮았다.

마케터, 강우석
강우석 감독의 이미지는 마케터이다. 그의 작품의 성공 요인은 종종 영화 자체보다는 마케팅에서 찾아진다. ‘실미도’가 그렇고 ‘한반도’가 그렇다. 이 민족주의를 자극하는 소재들은 적당한 영화적 설정들로 포장되어 영화 시장에 나온다. 억지스런 느낌이 강하지만 어쩔 수 없이 보게되는 그런 영화들이다. 문제는 시간이 지나면 기억에서 사라진다는 것.

지능적인 파이터, 류승완
류승완은 이제 저 주먹과 발길질이 오가는 액션 영화에서 자신만의 무공을 완성해가고 있는 듯 하다. 누구나 그 이름을 떠올리면 액션을 떠올리는 감독이 된 것이다. ‘짝패’에서 보여준 그의 액션이 여타의 것들과 다른 점은 한국적이라는 것. 중국식의 뻥도 없고 일본식의 비장함도 없는 약간은 개싸움 같지만 리얼한 그것이 류승완표의 액션이다. 또한 그 액션이라는 재미의 결에 이제 차차 사회적 내러티브를 넣으려는 의도가 보이는 지능적인 파이터다.

빅 마우스, 김기덕
아마도 브랜드 이미지를 가장 잘못 구축한 감독이 김기덕일 것이다. 영화감독의 브랜드 이미지가 영화에 어떤 악영향을 미치는가를 생각하게 만드는 감독이다. 물론 자신을 그렇게 만든 것은 우리네 영화환경이라고 뒤집어 말하지만, 그것조차 관객들로부터 외면되는 감독이다. 그렇게 된 데에는 영화 전편에 흐르는 불쾌한 이미지들이 한 몫을 하고 있는 것 같다. 후기 작품에서는 그런 경향이 많이 줄고 전작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세련되어진 것이 사실이지만 그 강력하게 남은 이미지는 사라지지 않았다. 그래서일까. 영화로가 아닌 말로 더 주목을 끄는 불행한 감독이 되었다.

천재적인 백수, 홍상수
홍상수 감독이 위치한 이미지는 천재와 백수 사이의 그 어떤 것이다. 그의 영화가 가진 이미지는 무언가 나른하고 일상적이며 지루하지만 그 속을 뚫어지게, 집요하게 쳐다보면 무언가를 발견해내는 그런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일상의 발견’이 가진 룸펜의 느낌이 관객들에게 그다지 어필하지 못하는 것 같다. ‘해변의 여인’ 역시 일상을 다루는 영화. 전작과 달리 홍상수식 유머로 대중성이 확보된 영화이기고 했다. 그러나 아직까지 대부분의 관객들은 홍상수 감독의 이미지가 부담스러운 모양이다.

박찬욱표, 박찬욱
박찬욱 감독이 새롭게 들고 나온 ‘싸이보그지만 괜찮아’는 이견이 많지만 대체적으로는 긍정적으로 보는 것 같다. 복수시리즈의 끝에 새로운 작품 ‘박쥐들기 전 간주곡 정도로 만들었다는 이 작품은 그러나 그 완성도에 있어서 박찬욱표라고 붙이기에 충분한 영화다. 애매모호한 화법과 낯선 영상을 만들어내는 그만의 스타일은 이제 그의 영화에 ‘박찬욱표’라는 이니셜을 붙이게 만든다.

더 많은 관객유발자들이 나오길
이밖에도 주목할만한 감독으로는 ‘비열한 거리’의 유하가 있다. 그는 시인이라는 출신성분에서도 드러나듯 톡톡한 내러티브의 맛을 잘 살려내는 감독이다. 올 들어 새롭게 주목받는 감독으로 ‘사생결단’의 최호, ‘구타유발자들’의 원신연이 있다. 최호 감독은 이소룡 영화를 떠올리게 하는 ‘사생결단’의 그 독특한 스타일이 눈에 띄는 감독이고, 원신연은 아직은 매니아적이지만 독특한 작품세계를 예감케 하는 감독이다.

스크린쿼터의 위기감 때문이었을까. 유달리 우리 영화가 많았고, 성공작도 많은 반면, 주목받지 못하고 사라진 작품들도 많았던 한 해였다. 자기만의 색깔을 가진 감독들이 많아진다는 것은 그만큼 우리 영화의 폭이 다양하고 넓어진다는 뜻도 된다. 그 많은 감독들의 브랜드 중에서 여러분들은 어떤 색깔의 감독을 선택할 것인가. 영화감독도 브랜드 시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