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땅 내 사랑', 진짜 막장 시트콤이 되지 않으려면
MBC 시트콤 '몽땅 내 사랑'의 시청률은 평균 10%(agb 닐슨) 정도. 그렇게 나쁜 성적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좋은 성적도 아니다. 그럭저럭 시청을 할 만하지만 보고나면 그다지 여운이 남질 않는다. 확실한 웃음이 있는 것도 아니고, 보고 싶은 캐릭터가 있는 것도 아니다. 시청률보다 더 안 좋은 건 화제성이다. 그다지 확실한 반응이 별로 없다. 관성적인 시청이 많다는 얘기다.
'몽땅 내 사랑'의 출연진만을 놓고 보면 이런 상황은 사실 의외가 아닐 수 없다. 먼저 연기 지존으로 불리는 김갑수가 있고, 예능돌로 가장 잘 나가고 있는 조권과 가인이 있다. 박미선 같은 이미 시트콤 경험이 있는 베테랑 코미디언도 있는데다가, 비스트의 윤두준 같은 시트콤을 활기 있게 만드는 신선한 얼굴도 있다. 그런데 왜 별 화제를 만들어내지 못할까. 왜 확실한 팬층을 확보하지 못할까.
그 이유는 '공감'이 없기 때문이다. '몽땅 내 사랑'은 재미 포인트로서 '막장 시트콤'을 주창했다. 한 마디로 스토리가 팔자 고치기 위해 김원장(김갑수)을 속이고 결혼하는 박미선네 가족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아들 황옥엽(조권)이 하도 사고를 치는 통에(김원장하고도 얽힌다) 박미선은 가짜 아들을 김원장에게 보여주고 결혼을 한다. 엄밀히 말하면 사기 결혼인 셈이다. 그래서 옥엽은 미선과 함께 살지 못하고 승아(윤승아)네 집에 얹혀산다.
'몽땅 내 사랑'이 아무리 작금의 세태를 비판하려 한다고 하더라도, 최소한 주인공들의 행동에 대한 근거 제시는 필요한 법이다. 세태 비판은 사회적 환경을 비판하는 것이어야지 인물 비판에 머물러서는 설득력이 떨어진다. 결국 이런 세태의 문제가 그 사람만의 문제로 귀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저 가난하다는 이유로 그저 아무에게나 빌붙는 박미선네 가족의 이야기가 설득력을 갖기는 어렵다. 주인공들의 행동에 근거나 이유가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그들의 악행(?)은 그저 인물의 매력을 떨어뜨리게만 만든다.
매력 없는 캐릭터가 제대로 시청자들에게 다가갈 수는 없을 것이다. 캐릭터가 구축되지 않는 이유는 바로 이것 때문이다. 아무리 김원장이 길바닥에서 똥을 싸고, 금지(가인)가 작은 눈 때문에 성형을 고민하며, 옥엽이 승아만 보면 자기를 좋아하지 말라고 오버를 한다고 해도 거기에 합당한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는 한 캐릭터는 세워질 수 없다. 캐릭터가 없으면 웃음은 그 때 그 때 임기웅변적으로 만들어낼 수밖에 없다. 결국 시트콤 같은 연속적으로 방영되는 장르에서 캐릭터에 대한 기대감이 없다면 지속적인 시청은 어렵게 된다.
현재 '몽땅 내 사랑'의 설정들이 대부분 멜로관계로 점철되어 있는 것도 문제다. 김원장과 박미선 사이의 멜로는 이 시트콤의 설정이니 어쩔 수 없다고 하더라도, 옥엽과 승아, 승아와 전태수 같은 멜로 설정은 시기상조다. 멜로는 결국은 가장 쉽고도 뻔한 장치로 흐를 수 있다. 오히려 다른 아이디어들을 과감하게 시도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인물들의 캐릭터가 좀더 분명하게 세워져야 할 시간에 멜로 라인을 만드는 건 시트콤을 더 고리타분하게 만들 위험이 있다.
시트콤은 말 그대로 시추에이션 코미디다. 즉 상황이 그만큼 중요한 것이고, 그 상황은 희극적이어야 한다. 그런데 희극은 비극만큼이나 공감대를 필요로 한다. 고개를 끄덕일 수 있는 상황과 웃음이 아니라면 그것은 어쩌면 희극이 아니고 비극인지도 모른다. 아쉽게도 '몽땅 내 사랑'은 시트콤이라고는 하지만 어쩔 때는 그저 조금 과장된 드라마로 보일 때가 많다. 시트콤도 아니고 드라마도 아니라는 얘기다.
'막장 시트콤'이라고 주창하고 나왔을 때 솔깃했던 것은 막장 드라마가 갖는 비현실성을 패러디함으로써 오히려 현실을 돌아보게 해줄 수도 있을 것이란 기대감 때문이었다. 김갑수 같은 명배우가 자리한다는 것은 그 기대감을 더욱 증폭시켰다. 하지만 지금 상황은 그저 말 그대로의 엉성하다는 의미로서의 막장 시트콤이 되어가는 느낌이다.
'몽땅 내 사랑'이 잃어버린 존재감을 다시 찾으려면 이 드라마의 정체성을 다시 살펴보아야 한다. 그리고 서두르지 않으면서도 확실한 아이디어로 캐릭터 하나하나를 다시 만들어갈 필요가 있다. 이미 각자 강한 이미지를 갖고 있는 출연진들이기 때문에 바로 거기서부터 시작한다면 너무 늦은 것도 아니다. 그렇게 해서 어떤 공감대가 앞으로라도 형성되기를 바란다. 그래도 10% 정도의 시청률을 꾸준히 갖고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기회는 있는 셈이다.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뜨거운 형제들', 재미보다 먼저 챙겨야할 것들 (1) | 2010.12.20 |
---|---|
2010 '무한도전', 무엇을 남겼나 (0) | 2010.12.19 |
'우결', 그들은 왜 노래를 할까 (0) | 2010.12.12 |
'해피선데이'의 불운, 리얼 예능의 후폭풍 (0) | 2010.12.05 |
이경실, 이 땅에서 개그우먼으로 산다는 것 (3) | 2010.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