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뜨거운 형제들', 재미보다 먼저 챙겨야할 것들

728x90

리얼 예능이 재미를 추구할 때 조심해야 할 것들

아마도 낮은 시청률로 인한 조급한 마음 때문이었을 것이다. '뜨거운 형제들-효자 되다'편은 리얼 예능이 하지 말아야 할 최악의 장면들을 보여주었다. 시골 집 할아버지 할머니들을 찾아 일일 아들 노릇을 하고 헤어질 때 "또 와"라는 말을 듣는 것을 미션으로 한 이번 편에서 시골 어르신들에 대한 배려는 찾아보기가 어려웠다. 물론 순박하신 그분들은 애써 웃음을 짓고 애써 좋다고 말씀하셨지만, 기광과 쌈디가 반말을 툭툭 내뱉는 장면들이나, 정성껏 차려주신 밥상에 반찬이 김치뿐이라며 계속해서 투정하는 장면들은 보는 이를 불편하게 만들었다.

"그럼 막내는 버려도 되는겨?" 김장을 더 담그라는 말에 기광이 이렇게 말을 놓은 데는 물론 이유가 있다. 반말은 진짜 아들이라면 응당 할 수 있는 일이다. 그것은 무례가 아니라 오히려 친근함의 표현일 테니까. 하지만 이 짧은 프로그램 속에서 만난 지 얼마 되지 않은 듯 연출된 장면 속에 진짜 아들인 양 반말을 해대는 것은 그저 무례함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첫 만남에서 반말까지 가려면 그만한 시간과 과정이 필요한 셈이다. 하지만 편집된 것인지 아니면 아예 대놓고 친근한 척 뻔뻔하게 연기를 하려 한 것인지 그런 장면은 생략되었다.

게다가 뜬금없이 쌈디가 할아버지께 "어머니 밤에 심하게 괴롭히신다면서요?"하고 자꾸 묻는 장면은 그 자체로도 무례한데다가, 주말 저녁 예능 프로그램으로서는 대단히 부적절한 멘트가 아닐 수 없다. 만일 이런 말이 우연히 튀어나왔다고 해도 연출에서는 분명 편집했어야할 부분이다. 하지만 '뜨거운 형제들'은 편집하기는커녕 오히려 이런 것들을 재미 포인트라고 생각하는 모양이었다.

박명수가 일일 엄마가 된 할머니에게 이런 저런 요리가 먹고 싶다고 요구하고, 할아버지에게는 그리 원하는 것처럼 보이지도 않는 염색을 권하는 것도 예의라고 보기는 어렵다. 염색이 실패해 머리가 퍼렇게 된 결과에도 애써 웃으시고, 시간은 두 시간이나 있었는데 반찬이 왜 김치 밖에 없냐고 타박하는 박명수에게도 그저 웃어 주시는 아주머니의 모습을 보는 건 불쾌한 일이다. 물론 재미를 위해 박명수는 특유의 상황극을 한 것이지만, 그 상황극이 적절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렇게 된 것은 출연자들의 문제라기보다는 연출자의 문제가 더 크다. 연출자가 상황극과 리얼 예능을 혼동한 것이다. 지금껏 '뜨거운 형제들'은 아바타 소개팅 같은 상황극으로 큰 웃음을 주었다. 하지만 '되면 한다'라는 코너로 새롭게 재정비되면서 프로그램은 상황극이 아닌 리얼 예능이 되었다. 특정 현실 속에서 일일 교사, 일일 아들, 일일 엄마가 되는 것은 리얼 예능이지 상황극이 아니고 상황극이 되어서도 안된다. 왜냐하면 그들이 투입되는 곳은 가상이 아니라 진짜 현실이기 때문이다.

상황극을 연출해 재미를 뽑아내려 한다면 자칫 현실에 사는 분들이 소외되거나 왜곡될 위험이 있다. 우리가 흔히 리얼 예능에서 '민폐'라고 부르는 최악의 상황이 연출되는 건 바로 이것 때문이다. 상황극은 재미만 만들면 되지만 리얼 예능은 그 현실 상황에 대한 배려가 우선이다. 그렇지 않다면 재미도 만들어질 수 없다. 도대체 시골 어르신들을 세워두고 "또 와"라는 말을 듣기 위해(목적 자체가 순수한 것이 아니다) 마치 게임처럼 상황극을 연출하는 장면에 누가 진짜 즐거운 웃음을 지을 수 있을까.

'뜨거운 형제들'이 새롭게 가져온 컨셉트인 '되면 한다'는 그래서 위험한 뉘앙스를 갖고 있다. '하면 된다'처럼 무언가 능동적으로 노력하는 태도가 아니라, 인위적으로 부여된 상황 속에서 어떤 인물이 '되면' 그걸 '한다'는 수동적인 태도가 엿보이기 때문이다. 그들은 시골학교의 일일 교사가 되면 그걸 하는 것이고, 시골마을 어르신들의 일일 아들이 되면 그걸 하는 것이다. 바로 그 어울리지 않는 부조화를 통해서 웃음을 끌어내려는 목적이지만, 여기에는 리얼 예능이 갖추어야 하는 상황 자체에 대한 진정성이 빠져있다. 그들은 진정으로 되려하지 않는다. 그저 미션으로 부여되는 '어떤 말'을 듣는 것이 목적이 된다.

이 미션이 환기시키는 프로그램이 있다. 바로 오지에 사시는 시골 어르신들을 찾아가 하룻밤을 지냈던 '1박2일'이다. 같은 아이템이지만 왜 느낌은 이렇게 다를까. 화면으로 드러나는 작은 진정성의 차이는 이렇게 다른 느낌을 만들어낸다. '뜨거운 형제들'이 싫든 좋든 리얼 예능을 선택했다면, 그 리얼한 상황에 대해 진심으로 다가가야 한다. '되면 한다'라는 슬로건을 붙였지만 진짜로 되려고 해야 한다. 그러려면 웃음보다 재미보다 더 필요한 것이 배려다. 현실 속 인물들이 어떻게 느낄 것인가에 대한 공감의식이 없다면, 프로그램 멤버들과 실제 현실 속의 인물들은 겉돌게 되고 나아가 프로그램은 자의든 타의든 현실을 이용하게 된다. 이것은 물론 출연진들도 숙고해야 하는 문제지만, 그보다 더 제작진들이 깊이 생각해야 될 문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