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네모난 세상

'MBC 스페셜', 가난할수록 행복해지는 이유

728x90

'MBC 스페셜'이 전한 진정한 행복의 의미

사용자 삽입 이미지

'MBC스페셜'(사진출처:MBC)

지리산 동래마을에 사는 버들치 시인 박남준은 자장면 하나를 먹으면서 말한다. "사람이 어떻게 고생만 하면서 사냐"고. "이런 호강도 가끔은 가져봐야 하는 거 아니냐"고. 지리산 중기마을에 사는 낙장불입 시인 이원규는 말한다. "몇 십 억씩 가진 사람들 많지만 자기가 가장 행복한 것 같다"고. 저기 섬진강이 내려다보이고, 친한 친구들이 있기 때문이란다. 최도사로 불리는 최현은 목욕을 하면서 "4500원 주고 이렇게 행복한 게 없잖아"하고 말한다. 이런 호사가 없다는 얘기다.

아마도 도시의 욕망에 찌들어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자장면 한 그릇과 내려다보이는 섬진강 풍경이나 친한 친구들, 그리고 4500원짜리 목욕을 가지고 호사라고 표현하는 이는 별로 없을 것이다. 최도사가 겨울 한 복판에서 햇볕 한 자락을 맞으며 겨울에 빨리 지는 햇볕을 아쉬워하는 모습은 우리에게는 낯선 풍경이 되었다. 아마도 욕망 없이 가벼워진 삶을 살아가는 것이 그에게는 지극히 자연스러운 일이겠지만, 우리에게는 '도사의 삶'처럼 여겨지는 이유는 그런 까닭일 게다.

'MBC 스페셜-지리산에서 행복을 배우다' 편이 지리산에서 가난하지만 행복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을 통해 우리에게 건네는 말은 진정한 행복은 어디서 오는가 하는 것에 대한 질문이다. 일간지 기자로 살다가 시인의 길로 들어선 이원규 시인은 "최저로 조금 벌어도 도시에서 사는 것보다 10분의 1 정도로 살 수 있다"며 심지어 "가난함을 견디는 재미"도 있다고 말한다. 박남준 시인은 "도시에서 살다보니 삭막하고 황폐해져 가는 자신을 느꼈다"면서 "돈을 쓰지 않는 삶을 살아낼 수 있다면 돈을 벌지 않아도 되겠다"고 생각했다고 한다.

젊은 날엔 외항선도 타보고 안 해본 일이 없다는 최도사 최현은 "마음이 비워지면 힘들게 없다"며 "힘들다는 건 뭐냐면 욕심 때문에 힘들어지는 것"이라고 말한다. "모든 근원은 욕심에서 시작되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들의 이야기를 책으로 담아낸 공지영 작가는 더 많이 벌기 위해서가 아니라 더 많이 행복해지기를 위해서 고민하는 이 사람들의 "얽매이지 않는" 삶이 너무나 부럽다고 말한다.

하지만 이들의 행복은 세상과의 인연을 끊고 고립되어 얻는 그런 행복이 아니다. 박남준 시인의 집 보일러가 고장 나자 소식을 들은 동네 사람들이 하나 둘 모여들어 뚝딱뚝딱 고쳐주고는 막걸리 한 사발에 그 수고로움을 나누는 삶이 주는 공동체적 행복감처럼, 그들의 행복은 세상과의 고리를 끊는 삶이 아니라 오히려 그들의 삶을 세상과 나누어 함께 행복해지는 삶이다. 지리산 학교와 동네 밴드는 바로 그런 그의 실천이 담겨진 문화운동의 일환이다. 그런 면에서 보면 'MBC 스페셜' 역시 그들의 행복 나눔을 영상으로서 실천하고 있는 셈이다.

"하고 싶은 걸 다하고 갖고 싶은 걸 다 갖는 게 행복은 아니다.-박남준 시인" "지금 행복하고 내일 불행한 게 낫다-최도사" "내가 내 자신을 밀어붙이다 보면 시는 발자국처럼 남을 것이다-이원규 시인" 도시 삶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이들의 가난하지만 바로 그렇기 때문에 행복한 삶이 전하는 울림은 크다. 유난히 추웠던 겨울, 터진 보일러를 고쳐주고는 갑작스런 사고로 저 세상으로 떠난 고 안차종씨의 부음 앞에 오열하던 박남준 시인이 봄바람에 복수초 새싹이 피어난 걸 보고 누가 밟을까 저어하며 푯말까지 만들어 세우는 그 소박한 삶이 깊은 여운을 주는 건 어쩌면 거기서 진정한 행복의 한 자락을 보았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MBC 스페셜-지리산에서 행복을 배우다' 편은 그 가난하지만 부자인 행복을 전해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