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라는 뿌리 중의 뿌리는 역시 스토리다
'뿌리깊은나무'(사진출처:SBS)
1시간이 너무 짧다. '뿌리 깊은 나무' 3회는 그 속도감의 진수를 보여주었다. 쏟아지는 화살비 속으로 걸어 들어간 세종(송중기)의 마지막 장면의 긴박감으로 시작한 드라마는 끊임없이 사건을 일으키며 흘러가고 어느새 마지막 장면을 마주하게 만든다. 이토록 빠른 속도감을 주는 드라마가 있었던가. '뿌리 깊은 나무'의 이 미친 속도감은 도대체 어디서 비롯되는 것일까.
이제 고작 4회가 진행됐지만 이 사극은 엄청나게 많은 연기자들이 투입되었다. 세종만 해도 어린 이도(강산), 젊은 이도(송중기)를 거쳐 이제 나이든 세종(한석규)까지 무려 세 명이다. 세종에게 아버지의 복수를 하려는 채윤 역시 어린 채윤(채상우), 소년 채윤(여진구), 그리고 성장한 채윤(장혁)까지 세 명이다. 태종(백윤식)은 강력한 카리스마로 젊은 이도와 대결구도를 만들었으나 이미 죽음을 맞이했고, 잠깐 등장했던 정도전의 아우 정도광(전노민)도 바로 죽음을 맞이했다. 이렇게 짧은 시간 동안 한 역할에도 많은 연기자가 투입되는 이유는 그만큼 속도감 있게 극을 전개하고 있다는 반증이다.
하지만 초반 속도감을 만들어낸 가장 큰 공적은 아무래도 태종과 세종에게 주어야 할 것 같다. 왕권을 중심에 세워두려는 태종(백윤식)의 인정사정없는 피의 숙청은 이 속도의 전제가 되었다. "왕도와 패도는 언제나 양날의 검"이라고 주장하는 태종 앞에서 세종은 "칼이 아니라 말로써 설득하고 기다리는 조선을 세울 것"이라 말한다. 또 경연이 왕을 허수아비로 만들기 위해 만든 것으로 생각하는 태종 앞에, 세종은 사대부들의 왕을 견제하기 위해 만든 그 경연이야말로 고려와 다른 조선의 실체이자 성리학의 이상이라고 말한다.
이 태종이 생각하는 조선과 세종이 생각하는 조선의 대립은, 이제 세워진 지 겨우 26년이 된 조선에서 왕이 해야 할 일에 대한 두 사람의 다른 시각이다. 태종은 칼을 동원해서라도 강력한 왕권을 세워 빠르게 기틀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세종은 신하들과 함께 꾸려나가야 고려와는 다른 조선이 세워질 수 있다고 말한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이 대화는 갑자기 '밀본'에 대한 이야기로 넘어간다.
'밀본(密本)'. '숨겨진 뿌리'라는 뜻이다. 이것은 태종과 함께 조선을 건국했으나 태종에 의해 제거된 정도전이 남긴 글귀 속에 등장한다. 정도전의 아우인 정도광의 집 지하에서 발견된 이 글귀는 왕과 재상의 관계를 꽃과 뿌리에 비유해, 왕이 그저 '화려한 꽃'일 뿐이라면 재상은 뿌리라고 말한다. 즉 이 화려한 꽃은 부실하면 꺾으면 그만이지만 뿌리가 부실하면 나무가 죽는다는 것. 그만큼 나라를 살리는 것은 왕권이 아니라 재상들의 견제에 달렸다는 이야기다. 이것은 태종과 세종이 대립하는 그 사상의 차이와도 그대로 맞닿아 있다.
흥미로운 건 이 정도전의 정치세계를 표현한 글귀가 그저 글이 아니라 실체로 등장한다는 점이다. '밀본'은 정도전이 만든 사대부들의 비밀결사라는 것. 이 밀본의 실체가 밝혀진 후 사극은 숨 가쁘게 이것을 현재의 상황으로 되돌려 놓는다. 즉 '밀본지서'가 등장하고 그것을 갖고 도망치려는 정도전의 아우 정도광과, 그를 잡으려는 태종의 명을 받은 조말생과 부하들, 그리고 그것을 막으려는 세종에 의해 움직이는 무휼. 그리고 이 일에 휘말리게 되는 반촌 사람들과 똘복이(채상우)까지.
드라마의 속도감은 물론 팽팽한 대립구도에서 비롯된다. 태종과 세종의 대립, 그리고 그 밑바닥에 깔려있는 정도전의 밀본에 대한 두 사람의 다른 입장은 이 사극에 강한 내적 동인을 만들어낸다. 하지만 진짜 중요한 것은 이 사극이 정치적이고 심지어 이념적인 대립을, 눈에 보이는 행동의 대결로 보여준다는 점이다. 태종과 세종의 대결을 행동으로 보여준 조말생과 무휼의 대결은 대표적이다. 이것은 앞으로 채윤으로 이어져 집현전에서의 한글 창제라는 역사 속 글귀가 어떻게 추리와 액션이 섞인 극으로 우리 눈앞에 펼쳐질 것인가에 대해 기대감을 갖게 만드는 이유다. 이렇게 한 바탕 숨 가쁜 달리기를 해온 '뿌리 깊은 나무'는 4회에 이르러 잠깐 숨고르기를 하고 있다. 하지만 이 숨고르기는 집현전에서 벌어지는 연쇄살인 사건으로 이어지며 다시 숨 가쁜 달리기를 예고한다.
'뿌리 깊은 나무'가 주는 놀라운 몰입과 속도감은 바로 이 복잡한 정치적이고 사상적인 대결을 하나의 움직이는 행동의 이야기로 보여준다는 점이다. 그저 사상의 대결이라면 얼마나 지루한 논쟁 장면들의 연속이겠는가. 하지만 '뿌리 깊은 나무'는 이 사상의 대결을 실체로 보여준다. '밀본'은 그런 특징을 보여주는 이 작품의 대표적인 사례다. 정치세계의 표현이면서 비밀결사라는 실체로 존재하는 '밀본'. 이것은 '뿌리 깊은 나무'의 핵심적인 메시지면서 동시에 이 드라마를 끝없이 사건에 휘말리게 하고 달리게 만드는 힘의 원천이다. 결국 뿌리 중의 뿌리, 드라마를 팽팽하게 만드는 뿌리는 역시 잘 짜여진 대본인 셈이다. 밀본지서를 빗대 말한다면, 아무리 겉이 화려한 꽃(캐스팅에서부터 연출까지)이라도 그 뿌리(이야기)가 튼튼하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는 법이다.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이킥', 캐릭터들이 말하는 현실은? (0) | 2011.10.20 |
---|---|
'천 일', 추억과 시간에 관한 슬픈 사랑이야기 (0) | 2011.10.20 |
'계백', 백제를 이렇게 그려도 되나 (6) | 2011.10.17 |
'뿌리 깊은 나무', 특별한 사극의 탄생 (0) | 2011.10.09 |
'여인의 향기', 시한부로 삶을 바라보니 (0) | 2011.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