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SNL코리아', '나는 배우다'가 된 까닭 본문

옛글들/명랑TV

'SNL코리아', '나는 배우다'가 된 까닭

D.H.Jung 2011. 12. 17. 12:34
728x90


'SNL코리아', 코미디의 본령을 세우다

'SNL코리아'(사진출처:tvN)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 코리아(이하 SNL코리아)'는 콩트 코미디를 하는 프로그램이지만, 개그맨보다는 배우들이 출연한다. 첫 회에는 김주혁이 그 다음 회에는 공형진이 출연했다. 3회에는 김인권이 출연할 예정이다. 물론 호스트가 배우로 한정된 프로그램은 아니다. 하지만 'SNL코리아'의 유성모PD에 의하면 당분간은 주로 배우들을 호스트로 세울 작정이라고 한다. 왜 코미디 프로그램에 개그맨이 아니라 배우일까.

여기에는 코미디에 대한 일종의 오해와 편견이 들어있다. 물론 최근 들어 이른바 리얼 예능들이 들어오면서 코미디를 연기로 보는 시선은 많이 사라졌다. 즉 이제는 연기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상황에 리얼하게 '반응'하는 것이 예능에서 보여주는 것이라 여겨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것은 '리얼'이라는 단어가 주는 착시현상일 뿐이다. 본래부터 코미디는 하나의 연기 분야였고, 이것은 어떤 면에서는 지금도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우리가 캐릭터쇼라고 할 때 그 캐릭터는 다름 아닌 연기되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과거 구봉서, 배삼룡, 서영춘, 김희갑 같은 원로 코미디언들이 모두 영화배우로서도 활동했다는 사실은(또 그것이 대중들에게도 익숙한 일이었다는 것은) 과거와 현재의 코미디언을 바라보는 시선이 얼마나 달라졌는가를 말해준다. 그래서 연기보다는 재치 있는 입담으로 웃음을 주는 개그맨이라는 새로운 호칭을 붙이게 되었고 그 호칭이 마치 모든 예능인들을 대변하는 것처럼 오인되면서 코미디에서 연기의 영역이 점점 설 자리를 잃었던 것도 사실이다. 즉 한 마디로 말해 코미디언은 또 한 명의 배우라는 사실을 점점 잊게 된 것이다.

'SNL코리아'가 콩트 코미디를 지향하면서 굳이 호스트로 개그맨이 아니라 배우를 그 자리에 세우는 이유는 코미디의 본령인 연기가 그만큼 중요한 프로그램이라는 반증이다. 'SNL코리아'의 특징은 모든 게 라이브로 이뤄진다는 데 있고, 그 형식 역시 철저한 코미디 연기를 바탕으로 하는 콩트 코미디에 있기 때문에 NG없는 연기력은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

바로 이 지점에서 'SNL코리아'만의 독특한 웃음의 코드가 생겨난다. 첫 번째 호스트로 참여한 김주혁은 관객을 웃기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그 콩트 대본 속의 캐릭터를 완벽하게 연기하려 한 것이다. 바로 이 '연기를 통한 웃음'은 우리가 예능 프로그램에서 흔히 보았던 웃음과는 달리, 코미디 장르의 영화나 드라마를 통해 봤던 웃음이다. 김주혁이 'SNL코리아'의 첫 회를 하고나서 만족감을 표시했던 건, 큰 웃음을 주었다는 것이 아니라 여러 콩트 상황에서의 연기를 통해 자신의 다양한 연기 스펙트럼을 마음껏 보여줬다는 데 있다.

여기서 떠오르는 게 바로 '나는 가수다'다. 마치 토크쇼 같은데 나와서 자신의 영역인 노래가 아니라 재치 있는 입담이나 몸 개그로 억지웃음을 주어야 대중들의 시선을 받던 가수들에게 '나는 가수다'는 가수의 본령인 노래만으로 대중들의 주목을 끌 수 있게 해주었다. 배우들에게 억지웃음이 아니라 자신이 가진 연기의 모든 것을 끄집어내는 것만으로 대중들을 즐겁게 해주는 'SNL코리아'는 그런 면에서 '나는 배우다'라고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SNL코리아'는 그래서 그것이 의도했든 아니든 그 자체로 기존 연기에 바탕을 두고 있는 코미디에 대한 폄하의 시선을 상당부분 없애줄 것으로 보인다. 코미디 역시 그 어떤 정극보다 힘겨운 고도의 연기라는 사실. '나는 배우다'라는 성격을 가진 'SNL코리아'는 그 형식 자체로 그 코미디의 본질을 드러내는 프로그램이다. 그 속을 들여다보면 코미디 연기의 진수를 재발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