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정글'과 '남극', 더 눈물 나는 제작진의 고생담

728x90


'정글'의 정순영 PD, '남극'의 김진만 PD

'정글의 법칙'(사진출처:SBS)

"같이 한 번 가실래요? 의향 있으시면 언제든 환영입니다." 아마도 다른 프로그램의 제작진이 이렇게 물었다면 두 말 않고 같이 가자고 했을 게다. 하지만 이 팀의 제안은 어딘지 농담처럼 여겨졌다. '정글의 법칙'이 아닌가. 말 그대로 야생의 정글 한 복판에 툭 던져놓고는 숙식을 알아서 해결하며 며칠을 버텨내야 하는 프로그램. 때론 생존을 위해 말도 안되는 음식을 먹어야 하고, 독충들과 뱀, 야생동물이 출몰하는 곳에서 잠을 청해야 하는 그런 프로그램. 화면으로 보는 것만 해도 살풍경한데, 그 곳에 직접 가자고? 화면 이 편에서 편안하게 TV나 보면서 감 놔라 대추 놔라 글줄이나 써내는 인간이 무슨!

'정글의 법칙' 제작팀들과 함께 점심을 먹으며 이런 저런 얘기를 나누는 자리에서 정순영 국장을 처음 봤다. 거무튀튀한 피부에 예사롭지 않은 포스가 남다른 정 국장은 입만 열면 욕이 튀어나오는 욕쟁이 PD였다. 그런데 참 이상한 게 처음 본 자리였음에도 불구하고 그 욕은 그다지 기분 나쁘게 여겨지지 않았다. 그 욕에는 어딘지 인간적인 냄새가 풍겨 나왔다. 50줄을 넘긴 나이에 정글 같은 야생에서의 촬영, 적어도 의기만은 팽팽해야 버티지 않을까. 정국장의 정감 가는 욕에는 그런 힘이 느껴졌다. 편안히 음식을 먹으며 웃고 떠드는 자리였지만 제작진들의 고생담은 마치 일상처럼 툭툭 던져졌다. 한 PD는 소매를 걷어 벌레에 잔뜩 물어뜯긴 정글의 흔적을 보여주기도 했다.

정글 같은 오지나 히말라야의 산을 배경으로 하는 다큐멘터리 같은 걸 볼 때마다 늘 궁금한 건 거기 정글이나 산에서 버티는 출연자보다 그들을 찍는 카메라맨들이었다. 도대체 어떤 사람들인데 그저 출연자가 오르기도 힘든 경사의 절벽을 오르면서도 그 출연자를 촬영하는 것일까. '정글의 법칙' 마지막 회에서 정글을 빠져나오다 낙오되어 실종된 정순영 국장의 모습이 화면에 비춰졌을 때, 이 프로그램의 진짜 고생담은 카메라 뒤편에 서 있는 제작진들이 아닐까 생각되었다. 하룻밤을 정글에서 혼자 남겨진 채 독충들과의 끔찍한 밤을 보내고 나온 정순영 국장은 걱정할 다른 스텝들을 위해 애써 웃음을 지었다. 미안해서 오열하는 후배 PD에게 "오히려 내가 미안하다"고 말하는 정순영 국장의 허허로운 웃음은 가슴 한 켠을 먹먹하게 만들었다.

'남극의 눈물' 때문에 무려 300일 간을 남극에서 지내고 돌아온 김진만 PD는 마치 록커처럼 긴 머리를 치렁치렁하게 늘어뜨린 채 환하게 웃었다. 까맣게 탄 얼굴, 1년 전보다 훨씬 단단해진 체구, 그 겉모습만으로도 그가 겪은 1년의 고생을 느낄 수 있었다. "아마존하고 남극하고 어디가 더 힘들었나요?"하고 묻자, "아마존이 훨씬 힘들었죠. 하지만 남극은 고립되어 있었기 때문에 정신적인 고통이 더 심했습니다."라고 말했다. 영하 50도를 넘나드는 혹한 속에서 꽁꽁 얼어버린 카메라를 들고 조금이라도 더 생생한 장면을 찍기 위해 얼굴에생긴 동상을 방치하면서까지 촬영에 임한 송인혁 촬영감독의 이야기는 제작진의 고충과 함께 그 남다른 프로정신을 깨닫게 해주었다.

'정글의 법칙'은 그 프로그램의 성격상 출연진들의 고생담을 그대로 보여줌으로써 그 정글의 야생성을 보여줄 수 있다. 하지만 '남극의 눈물'은 남극의 자연을 찍는 다큐멘터리이기 때문에 제작진은 늘 카메라 뒤편에 서 있을 수밖에 없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작진이 카메라에 노출되는 이유는 그 극지의 힘겨운 환경을 시청자들에게 전해주기 위함이다. "아마존에서도 원주민들만 나오면 전혀 그 아마존의 야생을 전할 수가 없습니다." 오지에 적응못한 일반인으로서 제작진의 고생담이 생생한 현장의 모습을 전해주는 것이다.

사실 오지 촬영을 하면서 촬영된 피사체만큼 그 촬영을 하기 위한 고생담이 더 흥미롭다. 카메라에 안전하게 잡힌 영상보다 그것을 찍기 위해 위험을 무릅쓴 이들의 이야기가 훨씬 대중들의 눈을 사로잡는 건, 그 리얼리티에 담겨진 진정성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최근 방송의 한 경향은 이런 생고생을 체험적으로 보여주는 것들이다. 디스커버리 채널이나 내셔널 지오그래픽 채널이 오지에서의 생존이나 그런 곳에 사는 괴물 같은 물고기를 잡으러 가는 식의 체험형 다큐멘터리로 대중들을 매료시키고 있는 건 그런 이유 때문이다. 정순영 PD나 김진만 PD가 겪은 오지 체험의 영상은 그래서 때론 더 큰 감동을 준다. 출연자나 오지의 압도적인 자연경관보다 더 눈물 나는 그들의 고생담. 때로는 작은 편집 실수로 때로는 안전불감증이라는 오해로 비판받기도 하지만, 그래도 적어도 그 진심이 왜곡되지는 않았으면 좋겠다. 오지를 다녀온 그들의 아무렇지도 않은 웃음, 그 짠한 진심.